원문정보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rafts and the Problem of Creation of the Times ‒ Supporting Policy for Creative Succession of Traditional Crafts ‒
초록
영어
「The Act on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is the first promotion act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which included the traditional craft that had been passed down by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as a new policy. The political changes to use and activate the traditional craft is an alternative to success the Korean craft in this westernized age and is a chance to seek for evolution of tradition continuously.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supplement points to understand the general flow of craft policies and for creative succession of traditional crafts along with the new law. First, the target of the government departments that support crafts shall be clarified. It is required to define the traditional crafts stated in 「The Act on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in the range of creative succession that includes modern crafts as well. There shall be a clear definition whether the policy supports those to be succeeded or to be industrialized as the departments support different policies for the craft to define the range of creative succession. The craft policies carried forward by each department are not to be integrated but to be systematized for them to be conducted in various ways. Second, there is necessity to introduce the latest technology for preservation of intangible assets like films and books. It is needed to be aware of the whole process from raw material selection to manufacturing of the traditional craft to fully reproduce the dying intangible assets. There shall be enough digital records and analyses for detailed reproduction of intangible traditional crafts from discovery and investigation stage. Third, the craft educational shall be systematized. The new policy regulates that succession education shall take place in a designated organization rather than in an apprentice system. However, it is what matters that there is lack of educational system in the craft world. The succession education shall begin as lifelong education that can arouse the changes in the public awareness, not as unilateral education for transmission. Th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olicy provides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raditional crafts and even the craft industry lacks professional technique education like corporate training, job training to raise experts and self-development educat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ere shall be a systematized educational system in the craft industry.
한국어
최근 우리 정부는 현대적 기술 발전에 밀려나 그 가치가 잊혀져가는 무형문화재 보존을 위한 새로운 법제도를 마련하였다. 「무형문화재 보 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은 최초의 무형문화재 진흥법으로, 그 간 「문 화재보호법」에 의해 전승되어오던 전통공예가 새로운 정책에 합류하게 되었다. 전통공예를 활용하고 활성화 시키려는 정책기조의 변화는 이미 서구화된 오늘날 한국공예를 계승하기 위한 대안이기도 하며, 지속적으 로 전통의 진화를 꾀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예정책 전반의 흐름을 이해하고, 새로운 법률 아래 전통공예의 창조적 계승을 위한 정책 보완점에 대하여 몇 가지 제안하였다. 첫째, 공예분야를 지원하는 정부 각 부처의 달라진 정책의 지원 대상 을 명확한 할 필요가 있다.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의한 전승공예 범위와 현대공예를 포함하고 있는 창조적 계승 범위에서의 전통공예에 대한 개념정리가 요구된다. 공예전반에 대한 정 책이 정부 부처별로 다양하게 지원되고 있고 정책의 지원 대상이 전승 해야할 대상인 것인지, 산업화해야 할 대상인 것인지 구분되어야 창조 적 계승의 범위도 구분된다. 정부 각 부처에서 시행 중인 공예 관련 정 책은 통합 운영되어야 할 것이 아니라 지원 대상을 체계화하여 부처 간 다방면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그 간 영화나 도서 등의 무형문화재 기록 보존사업에 첨단기술 이 도입될 필요성이 있다. 사라져가는 무형의 문화재를 온전히 재현 하 기 위해서는 전통공예의 원재료 선별부터 제작공정 전 과정을 인지할 수 있어야한다. 섬세한 작업의 재현이 가능한 디지털 기록과 분석이 무형문 화재 전통공예의 발굴과 조사 단계부터 충분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예교육의 체계화가 요구된다. 새로운 법률에서 전수교육의 도제식을 벗어나 지정된 시설에서 전승교육이 이뤄지도록 규정하고 있 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공예문화 전반에 교육시스템 자체가 부재하다 는 점이다. 전승교육의 체계화는 전승을 위한 일방적인 교육시스템이 아닌 대중의 인식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 평생교육에서 시작되어야 한 다.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일환으로 전통공예를 경험하는 기회를 우선 제공하고, 공예산업분야에서도 기업교육 또는 전문가 양성을 위한 직업 훈련, 자기개발교육 등 전문 인력의 기술 교육 조차 부재하다. 공예분야 에서도 체계화 된 교육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임을 제안하였다.
목차
1. 머리말
2. 한국의 전통공예
3. 전통공예의 전승정책
4. 전통공예의 진흥정책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