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조선왕조 궁중음식(宮中飮食) 중 전유화(煎油花)의 문헌적 고찰

원문정보

Literature Review on the Jeonuhwa in the Royal Cuisine of Joseon Dynasty

오순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d the different types of Jeonuhwa as recorded in 16 royal palace studies from the Joseon dynasty (1392-1909). The ingredients used in Jeonuhwa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categorized as follows: 16.0% for gray mullet(秀魚) and fish(生鮮), 14.2% each for liver and cow stomach, 12.3% for sea cucumber(海蔘), 4.7% each for crab(蟹), clam(生蛤), and chunyup(千葉), 3.9% each for pork meat(豬肉), octopus, 2.8% each for oyster(石花), pheasant(生雉), and chicken(鷄), 2.0% each for croaker(民魚), and brain (骨), 0.9% each for duck(鴨子), pigeon(山鳩), dobi(都飛), snapper, white fish(白魚), mussel(紅蛤), haeran( 蟹卵), quail(鶉鳥), egg(鷄卵), and sesame(實荏子). This observation may be associated with commercial industrial development that prevail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urther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recipes and ingredients recorded in Euigwe in order to develop a standardized recipe for Jeonuhwa.

한국어

조선시대 의궤 16책에 수록되어 있는 궁중음식 중 전유화(煎油花)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조선왕조 궁중 음식의 전유화는 주재료에 따라 분석한 결과 수어 & 생선이 16.0%로 가장 높았고, 간과 양이 각각 14.2%, 해삼 12.3%, 게(蟹: 해)· 생합·천엽이 각각 4.7%, 돼지고기(저육)·낙지(락제) 각각 3.9%, 굴(석화)·꿩(생치)·닭(계) 각각 2.8%, 민어·골 이 각각 2.0%, 오리(鴨子: 압자)·산비둘기(山鳩: 산구)·도비(都飛)·도미·백어·홍합·해란·메추리(순조)·계란·실임자 각 각 0.9%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전유화(煎油花)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메뉴개발을 통해 한식의 세계화에 기 여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문헌
  2. 조사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 조선왕조 궁중음식 중 전유화의 종류
  3. 조선왕조 궁중음식 전유화의 차림표
 Ⅳ.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오순덕 Oh, Soonduk. 정회원, 조선왕조 의궤음식 문화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