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투고논문

The Meaning of rigs shes in the Geluk Tradition

원문정보

Jongbok Yi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rational consciousness is a crucial concept that can explain Tsongkhapa’s and the Geluk Tradition’s path to enlightenment. There are two types of rational consciousness: a conceptual and a non-conceptual rational consciousnesses. A conceptual rational consciousness is regarded as a concordant ultimate because, while a conceptual rational consciousness itself is not an ultimate due to relying on signs to examine the ultimacy of true existence, this type of rational consciousness concords with an ultimate which is the result of the ultimate reasoning. On the other hand, a non-conceptual rational consciousness is an actual ultimate since it directly perceives the selflessness of persons and phenomena. The former is, according to Sonam Thakchöe’s formulation, ontologically deceptive but epistemologically correct; the latter is correct ontologically and epistemologically. This paper tries to find answers on the two questions. First, how can these two rational consciousnesses—a conceptual rational consciousness and a non-conceptual rational consciousness—be related to each other in meditation on emptiness? A conceptual rational consciousness and a non-conceptual rational consciousness are cause and effect, respectively. That is, by means of refuting both objects of negation in this way, throughout rigorous and constant meditative cultivation to the limit of one’s thought, at the last moment, a conceptual rational consciousness will become a non-conceptual rational consciousness, which is a yogic direct perception. Second, when these two types of rational consciousness have separate designations as a subtle inference analyzing ultimacy and a Superior’s pristine wisdom of meditative equipoise, why are they both still called “rational consciousness”? Although there are two types of rational consciousness, both are called rational consciousness because not only does a rational consciousness indicate the two separate functions which are in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but also the term is an epitome describing the whole process of realizing emptiness. A rational consciousness is a description of the whole process from refuting other systems (the intellectually imbued apprehension of true existence) to clearly understanding the Middle Way School tenets, confirming the nonexistence of true existence, and attaining and sustaining a yogic direct perception that directly perceives the mere absence of true existence.

한국어

논리적 인식(rigs shes)은 쫑카빠 및 겔룩파가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설명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논리적 인식에는 개념적인 것과 비개념적인 것 두 종류가 있다. 개념적인 논리적 인식은 궁극적인 실재와 상응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왜냐하면 개념적인 논리적 인식 그 자체는 참된 존재의 궁극을 탐구하기 위해 표징에 의지하기 때문에 궁극적이지 않은 반면, 이러한 종류의 논리적 인식은 궁극적인 추론의 결과인 실재와 상응하기 때문이다. 한편 비개념적인 논리적 인식은 궁극적인 실재인데 왜냐하면 그것이 개인과 현상의 무아를 직접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소남 딱최(Sonam Thakchöe)의 표현에 따르면 전자는 존재론적으로는 거짓된 것이지만 인식론적으로는 올바르며, 후자는 존재론적으로나 인식론적으로 올바른 것이다. 본고는 두 질문에 대한 대답을 구하고자 한다. 첫째, 이 개념적이고 비개념적인 두 종류의 논리적 인식이 공에 대한 명상을 하는 데 있어 어떻게 서로 연관되어 있는가 하는 것이다. 개념적인 논리적 인식과 비개념적인 논리적 인식은 각각 원인과 결과이다. 즉, 이러한 방식으로 두 부정대상들을 논박함으로써, 생각의 한계에 이르기까지의 엄격하고 지속적인 명상수행을 통해 최후에는 개념적인 논리적 인식이 요가행자의 직접지각에 해당하는 비개념적인 논리적 인식으로 변하는 것이다. 둘째, 이 두 유형의 논리적 인식이 궁극성을 분석하는미묘한 추론과 수승한 이의 명상적 평정에서의 원초적 지혜로 별개의 명칭들을 지닌다면, 왜 둘 모두 여전히 “논리적 인식”으로 불리는 것인가 하는 점이다. 이는 비록 논리적 인식에 두 종류가 있지만, 둘 모두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에 있는 두 가지 분리된 기능을 가리키는 논리적 인식이기 때문일 뿐만 아니라, 그 용어가 공을 깨닫는 과정 전체를 묘사하는 전형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논리적 인식은 (지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 실재에 대한 이해를 지닌) 다른 체계를 반박하는 것에서부터 명확히 중관학파의 교의를 이해하고 실재의 비존재를 확고히 하며 실재의 부재 자체를 인지하는 요가행자의 직접지각을 수지하는 데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에 대한 묘사이다.

목차

국문요약
 1. Introduction
 2. Knowing what is to be negated
 3. Is a rational consciousness merely an inference?
 4.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ultimate consciousnesses
 5. Conclusion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Jongbok Yi 이종복. Stockton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