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일제강점기 청년운동 연구의 성과와 과제

원문정보

Results and Problems of Researches of Young Men Movement in Japanese Colonial Period

조규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is a paper on results and problems of researches of young men movement in Japanese Colonial Period. I examined these by dividing two periods, before 1995 and after 1996. In 1970s and 1980s, Seonwoo Ki-sung and Cho Chanseok found out young men societies by investigating news papers. And they presented them as nationalist young men societies, socialist young men societies, and religious young men societies. The first half of 1990s, first, researches of socialist young men societies were fulfilled. The representative achievement of them is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Young Men Movement History by The Organization of Korean History. Second many researches of religious young men societies were done. Especially, Hwang Seonhee and Kim Jeong-in studied them of Cheondogyo like Cheondogyo Young Men Party, Jeon Taekboo studied the Christian young men socities like YMCA, and Kim Kwangsik studied them of Buddhism. Third researches of local young men societies were come into action. After 1996, researches of religious young men societies were done as an in-depth study of theory and argument. Of socialist young men societies, Seoul Young Men Association and East Manchuria Young Men Union were studied. Dealing with local national movement, researches of young men movement and its leaders were fulfilled. Problems of researches of young men movement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concept and category of young men movement must be set up. Second, we have to study the background of raising its head and the national character of it. Third, we must define character of young men union and alliance. Fourth, the mechanism of local young men movement must be explained. Fifth, we must disclose relationship of young men societies and other socities. Sixth,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ims of young men movement, like ideal society and culture. Seventh, we must give the entire picture of the social mobility of young men in line of young men movement.

한국어

이 글은 일제강점기의 청년운동에 대한 국내 학계의 연구 성과를 검토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고, 과제에 대하여 제시한 글이다. 해방 이후 행해진 일제강점기 청년운동에 대한 연구가 검토의 대상이지만, 1996년 이후의 연구에 집중하였다. 1970~80년대에는 선우기성과 조찬석이 『東亞日報』 등의 신문기사를 활용하여 전국의 청년단체를 개괄적으로 조사하여 일제강점기의 청년단체를 민족주의계열, 사회주의계열, 종교계의 청년단체로 분류하였다. 1990년대 전반기에는 사회주의계 청년단체의 청년운동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그 대표적인 업적은 한국역사연구회 근현대청년운동사연구반이 1995년에 발간한 『韓國近現代靑年運動史』이다. 그리고 종교계의 청년운동에 대한 연구로, 전택부 등이 YMCA를 비롯한 기독교의 청년운동을, 황선희와 김정인 등이 천도교청년당을 비롯한 천도교의 청년운동을 김광식 등이 불교의 청년운동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이어 지방자치제의 정착과 아울러, 지방 각 지역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을 다루면서 지역의 청년운동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었다. 1996년 이후에는 종교계의 청년운동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먼저 천도교 청년이 주도한 문화운동론의 패러다임과 내용, 천도교 청년운동 주도세력의 특징, 천도교 청년과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등의 문제가 밝혀졌다. 다음으로 기독교청년운동의 담론에 대한 검토가 있었다. 사회주의계 청년단체의 활동에 대해서는 국내의 서울청년회와 그 전위단체인 고려공산동맹, 만주의 동만청년총연맹, 일본 지역의 청년단체에 대한 검토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역의 청년운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행해졌다. 특히 김승은 2003년 『1920년대 慶南東部地域 靑年運動』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리고 水原의 朴勝極, 光州의 강해석 같은 지역의 청년운동가에 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다. 청년운동 연구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靑年運動의 槪念과 範疇를 명확히 하여 定立할 필요가 있겠다. 둘째 靑年運動의 擡頭 背景과 民族的 性格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셋째 聯盟⋅同盟的 靑年團體의 社會主義的 性格 與否를 分明히 파악해야 할 것이다. 넷째 地域 靑年運動의 作動 메카니즘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靑年團體와 다른 運動團體와의 關係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靑年運動에서 指向하는 文化와 社會의 具體的인 모습과 특징을 밝혀야 할 것이다. 일곱째 靑年運動과 靑年의 社會的 地位의 上乘 問題를 糾明해야 할 必要가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1995년 이전의 청년운동 연구
 Ⅲ. 1996년 이후의 청년운동 연구
 Ⅳ. 청년운동 연구의 과제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조규태 Cho, Kyu-Tae. 한성대학교 역사문화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