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범죄발생 인식에 대한 잠재성장모형 분석

원문정보

Latent Growth Model(LGM) Analysis on Crime Occurrence Awareness

주일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nge of people’s awareness on crime occurrence in 2010, 2012, 2014, 2016 from analysis of Latent Growth Model(LGM) on Crime Occurrence Awareness, such as ① Crime Safety Awareness, ② Crime General Awareness, ③ Crime Anxiety Awar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atent Growth Model(LGM) of Crime Safety Awareness was significant because the model had .600 of Chi Squared’s p-value, .945 of NFI, 1.000 of CFI, and .000 of RMSEA. It could be seen that the growth from ‘Crime Safety Awareness 2010' to ‘Crime Safety Awareness 2016' had increased overall. Second, Latent Growth Model(LGM) of Crime General Awareness was not significant because the model had .148 of Chi Squared’s p-value, .864 of NFI, .945 of CFI, and .137 of RMSEA. It could be seen that the growth from ‘Crime General Awareness 2010' to ‘Crime General Awareness 2016' had decreased overall. Third, Latent Growth Model(LGM) of Crime Anxiety Awareness was not significant because the model had .003 of Chi Squared’s p-value, .816 of NFI, .864 of CFI, and .274 of RMSEA. It could be seen that the growth from ‘Crime Anxiety Awareness 2010' to ‘Crime Anxiety Awareness 2016' had increased overall.

한국어

본 연구는 통계청에서 2010년, 2012년, 2014년, 2016년 등 격년으로 실시하는 사회안전에 대한 인식(범죄발생) 중 ① 범죄발생 안전인식, ② 범죄발생 보통인식, ③ 범죄발생 불안인식 등에 대한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국민의 범죄발생 인식정도 변화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죄발생 안전인식에 대한 잠재성장모형(비조건 자유모수)은 카이제곱의 p-value는 .600, NFI는 .945, CFI는 1.000, RMSEA는 .000이므로 적합도 판정 결과 유의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범죄발생 안전인식 2010년’에서 ‘범죄발생 안전인식 2016년’으로의 성장은 전반적으로 상승하였다. 둘째, 범죄발생 보통인식에 대한 잠재성장모형(비조건 자유모수)은 카이제곱의 p-value는 .148, NFI는 .864, CFI는 .945, RMSEA는 .137이므로 적합도 판정 결과 유의하지 않은 모형으로 나타났다. ‘범죄발생 보통인식 2010년’에서 ‘범죄발생 보통인식 2016년’으로의 성장은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셋째, 범죄발생 불안인식에 대한 잠재성장모형(비조건 자유모수)은 카이제곱의 p-value는 .003, NFI는 .816, CFI는 .864, RMSEA는 .274이므로 적합도 판정 결과 유의하지 않은 모형으로 나타났다. ‘범죄발생 불안인식 2010년’에서 ‘범죄발생 불안인식 2016년’으로의 성장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범죄발생 안전인식이 전반적으로 상승한 것은 2008년 2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이명박 정부와 2013년 2월부터 출범한 박근혜 정부가 사회안전 관련 국정과제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실천한데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범죄발생 불안인식의 경우에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범죄발생 불안인식을 해소할 수 있도록 다양한 범죄 예방 및 근절 활동이 필요하며 사회안전 국가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대국민 홍보가 필요하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범죄인식
  2.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문제
  3.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범죄발생 안전인식
  2. 범죄발생 보통인식
  3. 범죄발생 불안인식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주일엽 Ilyeob Joo. 중부대학교 경찰경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