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크로드 문화권에서 회전춤의 역사와 발전 : 호선무(胡旋舞), 수피춤(sufi dance), 사마춤(sama)

원문정보

A Study on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Spinning Dance in the Silk Road Cultural Area : Hoseonmoo, Sufi Dance and Sama Dance

황희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oseonmoo(whirling dance) is a kind of spinning dance that was first developed in Samarkand during the Sui Dynasty in the 6th century at latest and became so popular during the Tang Dynasty through Silk Road, commonly called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This dance features spinning round endlessly and fast. Sufi Dance is a kind of danc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meditation by sufism(the mysticism religious body) of Islam. As a dance created by Rumi Mevlana around the 13th century, it helps fall into a state of ecstasy through spinning, further being into a state of being united with God through self-extinction. Sama Dance is a kind of the modern Uyghur folk dance, and it has the same with ‘Sufi’ which names ‘Sama’ in Iranian. It was also assimilated and performed in Islamic culture. At present, its religious tinge is removed, but it has considerable correlation with Sufi Dance, in that dancers spin counterclockwise and it is mainly performed by men. Since Sama Dance was created in Kashgar and Kucha where the spinning element of spinning still remained in the folk dance, it is presumed the dance affected by Hoseonmoo or cultural of Hoseonmoo. Therefore, it seems that Hoseonmoo, Sufi Dance and Sama Dance have developed with historically organic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by sharing the same geographical adjacency to the Silk Road Cultural Area and cultural aspects of the Persia Islamic region. In this study, we can find out that despite a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the element of ‘Spinning’ has been successfully handed down with tenacious vitality.

한국어

<호선무>는 늦어도 6세기 경 수나라 때 강국에서 발생하여 중국에서 서역이라 불리던 실크로드를 거쳐 당나라에서 크게 유행한 회전춤이다. 빠르게 이리저리 끝도 없이 도는 것이 특징이다. <수피춤>은 이슬람 신비주의 교단에서 명상을 목적으로 연행되는 춤이다. 13세기 경 메블라나 루미가 창시한 춤으로 자아 소멸을 통해 신과 합일 상태가 되고자 끝없는 회전을 통해 황홀경에 이른다. <사마춤>은 현대 위구르족의 민속춤으로 <수피춤>의 이란어인 ‘Sama’와 같은 이름이다. 또 이슬람 내에 흡수되어 연행되었었으며, 현재는 종교적 색채가 제거되었지만 반시계 반향으로 선무(旋舞)하고, 남성들이 주로 연행하다는 점에서 <수피춤>과 상당한 연관성을 가진다. 이 <사마춤>은 또 <호선무>의 회전 요소가 민간춤에 남아있는 소륵과 구자에서 발생한 춤으로 <호선무>이거나 혹은 <호선무> 문화권의 색채가 담긴 춤일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호선무>, <수피춤>, <사마춤>은 실크로드 문화권에서 지리적 인접성과 페르시아 이슬람권이라는 문화적 공유를 가지면서 끊임없이 각각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여러 변이 과정 속에서 ‘회전’이라는 요소는 끈질긴 생명력을 가지고 이어져 왔음을 알 수 있고 앞으로도 그 변모는 계속될 것이라 생각한다.

목차

I. 서론
 II. 고대의 회전춤 <호선무>
 III. 중세의 회전춤 <수피춤>
 IV. 현대 위구르족의 <사마춤>
 V.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황희정 Hwang, Hee-Jeong.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