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언어경관에 보이는 화용에 관한 연구 - 간판과 게시판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Pragmatics of linguistic landscape - In Korea and Japan Centered on Signboards and bulletin boards -

김정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according to data analysis, a researcher found that there were using a fun factor of as similar pronunciation, intentionally remaining long in the memory, and intentionally using unique expressions for gathering the attention of people. As a result,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collected data such as ➀ Pragmatics of imagification through a sense ➁ Pragmatics of parody ➂ Pragmatics of subjective statements ➃ Misdescriptions ➄ Others. In addition, Pragmatics of imagification through a sense was classified visualization and an image of taste. In case of the sign of restaurants, there were overwhelmingly short words because of memorizing them easily. Finally,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has a verification by using Pragmatics in many ways in order to focus their attention on signboards and bulletin boards given the impressive effects. In the future works, the researcher will analyze how Pragmatics is used in case of advertising posts and articles on the internet.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언어경관 속의 게시판과 간판에 사용되는 언어내용 중의 화용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화용의 사용 예를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➀감각을 통한 이미지화 ➁패러디 ➂주관적 문장 ➃오기(誤記) ➄ 기타이다. 특히, 감각을 통한 이미지화의 활용은 시각과 미각으로 사용된 것으로 나눌 수 있고, 패러디에 대한 활용은 유명인의 이름을 패러디한 것과 유명 브랜드의 이름을 패러디한 것, TV 드라마의 제목이나 예능 프로그램의 이름을 패러디한 것이 관찰되었다. 수집한 자료를 점포별로 구분하면 한국의 경우, 술집, 음식점, 전자제품, 병원, 미용실, 상점, 부동산 관련 총 7개 업종에 나눌 수 있었다. 그리고 일본의 경우는 술집, 음식점, 오락 시설 3개 업종으로 나눌 수 있다, 기타 도로 교통이나 공공 장소, 사설의 장소 관련의 간판과 게시판 등이 있었다. 특히 간판의 경우 짧은 단어의 간판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나, 이는 가게를 기억하는데 짧은 단어의 형태의 간판이 쉽고 외우기 쉽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 말의 쓰임에 있어서의 화용 뿐만 아니라 텍스트를 이용한 간판과 게시판에도 여러 형태의 화용을 활용한 전략적 언어의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검토
 3. 연구방법
 4. 결과 및 분석
  4.1 결과
  4.2 분석
   4.2.1 감각을 통한 이미지화
   4.2.2 패러디
   4.2.3 주관적 문장
   4.2.4 의도적 오기(誤記)
   4.2.5 기타
 5. 나오며
 參考文獻
 要旨

저자정보

  • 김정헌 Kim, Jeong-Heon.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대학 일본언어문화학북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