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As a Comparative Study of Sino-Korean and Sino-Japanese, this Study has used Korean-Language & Japanese-Language Dictionary to extract Chinese-derived words in each language as a whole. In this paper, the review was carried out to correct some errors in the preceding paper. As a result, 23,653 words of Sino-Korean and 31,587 words of Sino-Japanese were extracted. Among them, 12,450 words were in both languages, and 11,203 words only in Korean, 19,137 words only in Japanese. Generally, a few 1 Chinese-character words are independent. And 2 Chinese-character words have the highest percentage, for that is the basic pattern of Chinese-derived words in both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Also a number of 3 and 4 Chinese-character words are derivatives or compound words by secondary combination of 2 Chinese-character words. As Chinese-character increases to 5, 6 and more in Chinese-derived words, the percentage was lowered, and there were many technical terms which we rarely encounter in our daily life. Meanwhile, through some considerations on Chinese-character words only in Korean and only in Japanese, we could confirm that Korean language has been more influenced by Chinese words than Japanese language. And also we confirmed that Korean language has many Chinese-character words stemmed from Japanese language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that there are many Chinese-derived words related with culture of the two countries, such as history, politics, culinary tradition, traditional art and entertainment, society, religion, etc.
한국어
본 연구는 언어 체계 전체를 시야에 넣은 한국어와 일본어의 한자어 비교연구로서 각 언어의 국어사전을 조사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앞선 논문의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 재조사를 실시하여 한국어는 23,653語, 일본어는 31,587語의 한자어를 얻었다. 그 중 공통한자어는 12,450語, 비공통한자어는 한국어 11,203語, 일본어 19,137語로 나타났다. 전체적 경향으로서 1字 漢字語로서 자립어인 단어는 그다지 많지 않았고, 한일 양 국어 모두 한자어의 구성이 2字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2字 漢字語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3字와 4字 漢字語에는 2字 漢字語의 2次 結合에 의한 파생어와 복합어가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5字, 6字로 글자 수가 늘어날수록 그 비율은 떨어졌으며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전문용어가 많이 나타났다. 한편 비공통한자어의 고찰을 통해 한국어가 일본어에 비해 한자어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에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우리말에 한자어로 수용된 일본어계통의 단어가 많은데, 광복 이후 꾸준히 이어져온 국어순화운동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도 완전히 배제되지 않고 있다는 점, 비공통한자어에는 각 언어의 역사, 정치, 식문화, 전통 예술과 예능, 사회, 종교 등 양국의 문화와 관련이 있는 한자어들이 많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목차
2. 한자어 연구
3. 조사 대상 및 기준
3.1 조사 대상
3.2 조사 기준
4. 고찰
4.1 단어 길이별 구성
4.2 비공통한자어
5. 나오며
參考文獻
要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