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re are 40 versions of the Han-geul-Printed version of Bumoeunjungkyeong that has been found since its first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Chinese version of Bumoeunjungkyeong by Oh Eung-Seong in 1545 until early 19th century in Buddhist temples throughout the country in the form of reprint or reproduction. Korean literature academia classifies the 40 versions into 4 systems with 30 sorts of the first translated version (Choyeokbongye); 2 of Jowonambongye and; 4 of Geumsansabongye along with 4 of Hangeulbongye based on print form and characteristics of letter styl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letter style on 18 versions among the 40 which have been obtained, for example, via visit to places where they are possessed. As a result of analyzing collected consonants and vowels, its character shape shows a distinctive change on vertical strokes at the tip, which demonstrates that Choyeokbongye (1545) and Jowonambongye (1689) were most of a rounded or quadrangular shape while the tip of Geumsansabongye changed into tilted one. As to the character shape of consonants, Geumsansabongye represents change in lingual sounds and the angular point on ‘ㅇ’ (Ieung). Another lingual sound of 'ㅌ' (Tieut), except for Hangeulbongye, has a horizontal stroke at the center of 'ㄷ' (Digeut) while Hangeulbongye represents Tieut by putting the horizontal stroke separately over Digeut. Among syllables in terms of combined letters of left and right initial consonant and vowel, Choyeokbongye and Jowonambongye are most of square form while Geumsansabongye and Hangeulbongye are of rectangular one. The letter ‘워’ (Wo) has the horizontal tittle under the horizontal stroke of 'ㅜ‘ (Wu) in Hangeulbongye but in other systems, the tittle is located over Wu. Combined letters of initial consonant, vowel and final consonant most have a long angular point on the final consonant of Ieung except for Hangeulbongye. With change on size of the final consonant, it is most of the same with or bigger than the initial consonant up until Jowonambongye while it is most of the same size starting from Geumsansabongye. A mixedly used and laterally attached letter of ‘' adopts connected writing on its final consonant of ‘ㄼ’ in Choyeokbongye and Jowonambongye while it is shown as ‘ㅂㄹ’ in Geumsansabongye in a reverse order of the left and the right and then ‘ㄼ’ in Yongjusa-printed version. Except for Gangjaehee-printed version, the 18 versions of Bumoeunjungkyeong are all of the square style. In terms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Choyeokbongye and Jowonambongye are substantially the same while Geumsansabongye shows distinctive changes. Therefore, it is regarded reasonable to have a current classification with 4 systems by the Korean literature academia.
한국어
조선시대 『부모은중경』 한글판본은 한문본 『부모은중경』을 1545년 오응성에 의해 초역 간행된 이후 19세기 초까지 전국의 사찰에서 覆刻 또는 飜刻되어 현재 40종이 발견되었다. 국문학계에서는 40종을 판화의 양식과 서체의 특징 등에 의해 초역본계, 조원암본계, 금산사본계, 한글본계 등 모두 4계통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소장처 등을 방문하여 확보한 15종을 계통별로 구분하여 판본서체의 조형적 특징 변화 樣相을 살펴 이들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서체의 조형적 특징은 자모자형과 음절자형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먼저 子母字形가운데 모음자형은 세로획의 收筆부분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이는데, 초역(1545)본계와 조원암(1689)본계는 圓畫이나 方畫이며, 금산사(1720)본계부터 수필부분이 斜畫으로 변하였다. 그리고 자음자형도 금산사본계부터 설음자형 등에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다음 음절자 가운데 초중성합자의 외형은 한글본계인 ‘용주사(1760)’판본은 세로로 긴 長方形이고, 그 이외는 가로로 약간 긴 長方形이다. 그리고 문자 ‘워’의 ‘ㅓ’ 왼쪽 점획 위치에서 변화가 보이는데, 한글본계를 제외한 초역본계 등은 ‘ㅜ’의 가로획 위에 위치하고 있으나 한글본계는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초중종성합자의 외형은 초역본계나 조원암본계는 대체로 正方形인데, 금산사본계나 한글본계는 세로로 긴 長方形이다. 그리고 종성의 크기에 변화를 보이는데, 초역본계와 조원암본계는 초성과 같거나 큰 자형이 혼재하는데, 금산사본계부터 전체적으로 작아졌다. 또한 초역본계와 조원암본계는 종성 ‘ㅇ’에 긴 꼭지점이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끝으로 합용병서자는 ‘’자의 종성 ‘ㄼ’에서 특징을 보이는데, 초역본계와 조원암본계는 위아래로 連書하였으며, 금산사본계는 左右위치를 바꾸고, 한글본계에서 바로 쓰고 있다. 이상 15종의 『부모은중경』 한글판본은 강재희판본을 제외하고는 모두 정자체이다. 그리고 서체의 조형적 특징은 초역본계와 조원암본계가 대체로 같고, 금산사본계부터 변화가 확연하였다. 따라서 서체의 특징만으로는 초역본계, 금산사본계 및 한글본계 등 3계통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부모은중경』한글판본의 개황
1. 『부모은중경』한글판본 현황
2. 『부모은중경』한글판본의 서지적 개요
Ⅱ. 『부모은중경』한글판본 서체의 조형적 특징
1. 자모자형의 조형적 특징
2. 음절자형의 조형적 특징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