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인화에 나타난 儒家와 道家의 상대적 영향력

원문정보

Intercross Influence of Confucianist and Taoist Presented in the Literary Artist Paintings

문인화에 나타난 유가와 도가의 상대적 영향력

박서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the intercross influence of Confucianist and Taoist presented in the literary artist paintings by categorizing into the way to realize the Tao, the way for oneself to exist, and the way to train oneself from the viewpoint that the literary artist paintings is ‘the spiritual training by brush and ink paintings’ with the ultimate goal of cultivating intellectuality and humanity.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belows. Firstly, the way to realize the Tao is presented by ‘wei, doing’ vs ‘wu wei, not-doing.’ In this regard, the spiritual discipline of brush and ink achieves the proficiency of brush and ink as disciplined autonomy derived from the moral belief conflating the ideas of doing and not-doing. Secondly, the way of self-existence is presented either by collectivity or individuality. The spiritual discipline of brush and ink toward these ideas helps to obtain the proficiency of brush and ink as being essential oneself. Thirdly, the way of self discipline is presented by either filling or emptying. In this regard, the spiritual discipline of brush and ink helps to realize the proficiency of brush and ink for ultimately managed creativity. In summary, the Confucianist is the normative tao which intentionally reveals within the finite circle, while the Taoist is the varied tao which naturally expresses itself in its infinite natural form. In the meantime, the literary artist paintings are expressed as the moral intellectualization to materialize the tao, the creation of truthful human nature, through equating the spiritual discipline of brush and ink, the visual forming of brush and ink, with the philosophical acknowledgement of Confucianism and Taoist.

한국어

본 논문은 문인화는 知性과 人性의 수양을 궁극목적으로 하는 ‘필묵화(筆墨畵)의 정신적 훈련’라는 관점에서 ‘道를 구현하는 방법, 나의 존재하는 방법, 나를 수양하는 방법’으로 분류하여 문인화에 나타난 유가와 도가의 상대적 영향력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였다. 유가와 도가의 철학은 문인화의 도덕수양심미의 배경이 되는 중심사상이다. 한편 유가와 도가는 유위 對 무위, 집단성 對 개체성, 채움 對 비움의 상대적 개념으로서, 그 내용은 윤리와 순리, 바로잡기와 버리기, 성실함과 고요함 등의 개념으로 수양방법의 차이를 보였지만, 문인화에서는 이러한 상대적 개념이 수용되어 자기수양적인 필묵화의 정신적 훈련으로서 필묵의 숙련성으로 성취되었다. 성취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를 구현하는 방법에서는 ‘유위 적이면서 무위적인 훈련된 자율성’의 필묵의 숙련성으로, 둘째, 나의 존재하는 방법에서는 ‘본질로 파악된 나다움’의 필묵의 숙련성으로, 셋째, 나를 수양하는 방법에서는 ‘극치로 운용된 창조성’의 필묵의 숙련성으로 성취되었다. 또한 유가와 도가의 상대적 개념은 상대적 특징의 그림양식으로 나타났는데 유가적 문인화는 유한한 범위 안에서 의도적으로 드러내는 ‘규범성의 자연(道)’을 구현하고자 하였다면, 도가적 문인화는 무한 감으로 생겨지는 대로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다양성의 자연(道)’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정리하면, 문인화는 필묵을 통한 시각적으로 구현된 정신적 표상 안에서 참된 인간다움의 창조성 즉 道의 구현을 위한 ‘도덕적 관념화’로 표출되었고, 이러한 도덕적 심미의 동기는 필묵화의 정신적 훈련으로 귀결되어 도가의 자연성, 개성, 허의 개념이 유가적인 숙련성, 나다움, 지적가치의 필묵의 숙련성으로 성취되었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Ⅲ. 문인화에 나타난 유가와 도가의 상대적 영향력
  1. 道를 구현하는 방법 : 유위 對무위
  2. 나(我)의 존재하는 방법 : 집단성 對개체성
  3. 나(我)를 수양하는 방법 : 채움 對비움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서령 Park, Seo-Ryong. 한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