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ㆍ중 관광문화상품 형성에 대한 추론 - 대도시 전통공연상품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Study on the formation of performances of traditional arts in Korea and China - Centered on the tourism performing arts of the main capital city’s -

윤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backdrop of formation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s cultural tourism products in Korea and China, especially focused on the tradition of baixi(all kinds of performance for the entertaining including musics and acrobatics) and the bottom of the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 recent years cultural tourism products related to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both countries have dramatically differed, despite that two neighboring countries had baixi culture in common from ancient history. While in China, circus performances reflected with their artistic tradition baixi have still gained a great popularity as a tourism performance in Beijing and Shanghai, however those of Korea have almost been disappeared except folk music genres. This phenomenon is caused from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ideology of own. Baixi of Korea had become treated as a taboo after the late period of Goryeo dynasty(912-1392), and in addition to that, baixi after Joseon dynasty(1392-1910) could only be presented one time at the year-end ceremony of the year. Even when it was presented, the king could not officially watch baixi, because of the ideology Song Confucianism. However, baixi of China had occupied a high position relatively with those of Korea when it had been presented at the royal palace. Emperors in Chinese history would use baixi as a cultural tool to unify tributary states and show off the power of central government. Moreover, modernized performances such as Jinmianwangchao(Golden mask dynasty) and Shikongzhilu(jorney from the past to the future) made absorbing traditional culture of Baixi have gained a great popularity, not as Miso(Beautiful smile) and Nanta(percussion performance) of Korea. That is, in Korea, performing arts had relatively attached importance to sanyue(산악(散樂), folk music) among baixi, and in China, those had placed much emphasis on zaji(잡기(雜技), acrobatics). This will be the good answer to how rulers and ideology and the education of those times affect the traditional cultures and what the result came into realization in the future.

한국어

관관공연문화상품은 그 나라의 고유한 공연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현대적인 공연이다. 특히 대도시, 주로 수도 서울에서 공연되는 관광문화상품의 경우 그 나라의 전통문화라고 하는 필수 요소를 가지고 정제된 작품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는 곧 그 나라의 오래된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어느 정도 가능하게 해준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한국과 중국 양국은 고대부터 백희라고 하는 공연 문화를 공유했었다. 이것이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문화적, 정치적 영향으로 인해 점차 자국화되어 고유성을 갖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백희(百戲) 중 산악류(散樂類)와 잡기류(雜技類)가 고루 존재하기는 하였으나 위정자층은 광대와 잡기를 금기시했고, 사회적으로는 반감이 지배적이었다. 반면, 중국에서는 산악뿐 아니라 잡기도 문화통치의 도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이후 개항도시를 중심으로 무난히 근대화에 성공하였다. 근대 이후로도 백희의 교육기관의 유무와 저변화의 정도에 따라 양국의 공연문화형성의 차이점은 더욱 뚜렷해지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산악의 맥을 이은 음악 교육기관이 주가 되고, 잡기를 담당하는 연희전공자를 키우기 위한 교육기관이나 전문 직업단체는 거의 사멸되었다. 반면 중국에서는 음악 위주의 교육기관뿐 아니라 잡기의 육성을 위한 교육기관들이 독립적으로 설립되어 있으며, 여기서 교육받은 이들이 곧바로 활동할 수 있는 연행단체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한국과는 저변화에서 차이가 벌어지게 되었다. 현대 한국의 대표 관광문화상품은 정동극장의 ‘미소’와 난타전용극장의 ‘난타’인데, 이 공연들은 산악, 즉 민속악무를 위주로 전통적인 이야기나 실생활에서 일어날 법한 내용에 효과를 더해주는 식으로 구성되었다. 반면 중국의 대표 공연문화상품은 북경 환락곡의 ‘금면왕조’나 상해 마시청의 ‘시공지려’인데, 이들 공연은 잡기, 즉, 주로 신체기교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전설이나 환상적인 내용을 결합된 쇼형식의 공연이다. 즉, 현대의 관광문화상품은 이처럼 한 민족의 오랜 역사적 전통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그 가치가 더욱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며, 이와 같은 형성배경은 앞으로도 국가문화상품의 제작 방향에도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한·중 전통 공연문화의 형성 배경
  1. 고대 백희(百戲)의 교류와 형성
  2. 중세 광대와 백희에 대한 인식
 Ⅲ. 한·중 관광문화상품의 발전 과정
  1. 근대 곡마단으로의 이행과 사회상황
  2. 현대 교육기관의 성립과 저변화
 Ⅳ. 한·중 대도시 관광문화상품의 특성
  1. 한국의 ‘미소(美笑)’와 ‘난타(亂打)’
  2. 중국의 ‘금면왕조(金面王朝)’와 ‘시공지려(時空之旅)’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아영 Yoon, Ahyoung. 백석예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