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文人藝術의 三敎思想에 관한 고찰

원문정보

The Three Religions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of Literati’s arts

문인예술의 삼교사상에 관한 고찰

장기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en discussing about literati art, literati paintings comes first, and it is easy to access to the theories about it. The theory of ‘gentry paintings’ established by Su Dongpo(蘇東坡) in Song Dynasty was the beginning, and it was the objection to the group of painters at that time, which was biased towards a painting form. In addition, it had been affected by the social background of ethnocracy in Yuan Dynasty. Furthermore, it had been compiled as the concept of ‘literati’s paintings’ by Dong Qichang(董其昌) in Ming Dynasty. After all, as it was called ‘literati paintings’, it has been changed with the identity that suited the needs of the time. To comprehend literati art as mentioned above, we should grasp the mutual concepts of literati and art first because both are inconsistent due to their extensive and subjective scopes. Among the mutual concepts, the most distinguishing one is to pursue a social significance. In other words, it is the objective to propagate literati’s ideal to the public through art as an indirect means. Since it is also evitable t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not only the art works as a result but also the production process matters. Thus, personality used to be emphasized natur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self-consciousness that literati have exhibited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The self-consciousness here connotes literati’s subjectivity, social purpose and mental action. Especially literati’s practical spirits that pursue essence underlie it, that is to say, there is a stage of ‘process’ directly related to their own ideal result. Historically, literati have emphasized on the stage of ‘process’. In the categories of art, there are two tendencies. One is ‘the process based on the premise of a painstaking effort’, and the other is ‘the transcendence from the process’. The former is Confucian aesthetic interpretation, and the latter is about Taoistic or Buddhist aesthetics. Consequently, it could transcend only through the ‘process’ based on the premise of an effort, and the subsequent stage mutually fused is regarded as the best ideal. By the way, there might be a cacophony of art practices by denying the others due to a blind self-consciousness. The ‘process’ of artistic activities is sometimes neglected by biased towards the result of art works. Fortunately, there has appeared artistic activities that emphasize on ‘process’ lately. For example, ‘performance’ activities have been performed in East Asian calligraphy cultural area. Especially in Japan, it is ideal that teachers and students cooperate as a way of educating. The collectivity of calligraphy makes students realize the pleasure of the process to resolve conflicts of group activities experienced during an artistic production with cooperation. It is the phenomenon that a subjective concept of calligraphy turns into an objective concept, and it could be the modern significance that starts to emerge in literati art.

한국어

일반적으로 文人藝術이라고 하면, 詩·書·畵가 대표적이다. 그 가운데 ‘畵’의 영역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宋代 蘇東坡의 ‘士夫畵’이론을 시초로 한 文人畵가 있다. 이는 元代에 이르러 독특한 사회배경에 영향을 받고, 明代에는 董其昌에 의해 ‘文人之畵’로 집대성된다. 이후 ‘文人畵’로 약칭되면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에 적합한 정체성을 운운하며 변천된다. 이와 같은 文人藝術의 이해를 위해서는, 文人과 藝術 사이의 상통개념을 살펴보는 것이 우선이다. 이는 兩者의 범위가 매우 광대하고 주관적이라서 일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그 상통개념 가운데, 가장 특징적인 것이라고 한다면 사회적 意義 熊秉明, 『中國書法理論體系』, 雄獅美術, 2011. p.108. 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즉, 文人의 理想을 예술이라는 간접적 방식을 통해 대중에게 전달한다는 목적성을 말한다. 그 목적성은, 각 시대의 정세에 따라서 발휘되는 文人들의 ‘自覺’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自覺’이란, 개인적 主觀과 사회적 客觀, 거기에 主·客觀의 경계를 넘나드는 心적 작용을 모두 함축하고 있다. 특히 그 바탕에는 본질을 추구하는 文人들의 실천정신, 즉, 그들만의 理想적 추구에 직결되는 ‘過程’이라는 단계가 존재한다. 그 핵심은 바로, 文人의 철학·미학적 사유방식이며 儒·道·佛이 대표적이다. 역사적으로 동양의 三敎관계는 대립적 입장도 물론 존재하지만, 서양의 종교 갈등처럼 극단적 상황까지는 이르지 않았다. 오히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상호교류 해왔는데, 특히 佛의 역할이 적지 않다. 佛은 신속하게 상류층과 文人에게 접근하기 위해 黄老사상을 활용하거나, 상황에 따라서 格義佛教 혹은 敎禪一致도 주창한다. 최종적으로 三敎는 각자 독립적이면서도 융합의 과정을 거쳐, 三敎融合에 이른다. 한편 최근의 문인예술은 맹목적 自覺으로 인해 현상(작품)에 치우친 나머지 ‘과정’이 홀시되기도 하지만 미약하게나마 ‘과정’중시의 동향도 보인다. 예를 들면 동아시아 서예 문화권에서 행해지는 performance이다. 특히 일본의 경우는 교육의 일환으로써 지도자와 학생 사이의 협력이 이상적이다. 특히 그 가운데 등장한 서예에서의 단체성은 작품제작까지 겪게 되는 단체생활의 교감과 갈등을, 협력으로 해결해 나가면서 즐거움으로 승화시킨다. 이는 그 동안 주관적 개념의 서예가, 객관적 개념으로써 거듭나는 ‘과정’이며, 文人藝術에서 드러나기 시작한 自覺의 현대적 意義라고도 할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序論
 Ⅱ. 文人藝術三敎交涉의 철학적 배경
 Ⅲ. 文人藝術三敎一律의 미학적 지향
 Ⅳ. 文人藝術三敎一味의 現代的 변용
 Ⅴ.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기준 Jang, Ki Jun.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