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刺繡付金활옷의 衣制와 服色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clothing system and color of Jasu Bugeum Hwarot (Embroidery Gold foil Hwarot)

자수부금 활옷의 의제와 복색 연구

명유석, 김영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warot is a royal wedding robe in the Joseon dynasty. Unlike other kinds of hwarot, the hwarot worn by princess bokon (福溫公主 1818-1832) at the age of 13 was decorated with elaborate embroidery and golden attachments. In particular, the front collar, baerae of sleeves, both ends of apgil were decorated in the shape of a line of arc. This can be found in clothes such as dangui (唐衣) and wonsam (圓衫), and forms a soft silhouette. The origins and age of the Princess Bokon’s hwarot are well-known. Its preservation is also good. Therefore, it can be used for understanding woven, interlacing and embroidered products (編織繡品) and design of mid and late Joseon period. Moreover, it provides specific clues and standards that can be used to grasp social background and aesthetics of those times in depth. The decorative pattern of the clothes was not made by cutting one fabric; the pieces which were separately sewn or attached were placed according to the clothes size. It can be confirmed that this was one of the embroidering methods through the record in Gukjo-oryeui that the pheasant pattern embroidered by the fabric was attached to queen's jeogui (翟衣). In fact, the Subang-nain of the time of the Korean Empire were called Saegimsu. Particularly, in view of the fact that this shirt is the wedding robe of the princess of the royal family, reusing expensive embroidery without producing can be seen as a manifestation of the Aemin-sasang(Love of the people idea), which royal family practiced the lifestyle of eliminating the luxury breeze to be a good example for the people. It can be inferred that by embroidering the circle ornamentation of wonangmun (mandarin duck pattern, 鴛鴦紋) of noui (露衣), or by using the piece of noui again, it became the occasion for the emergence of new hwarot which has more diverse form than others. Based on the above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er named this embroidery as “Jasu Bugeum Hwarot (Embroidery Gold foil Hwarot)" and compared it with the two other hwarots from the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the Brooklyn Museum, respectively. They were flown abroa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addition to this, princess deokon’s (德溫公主 1822-1844) hongjangsam subon (a collection of Changdeokgung) and a modern hongsajijasu hwarot (private collection) were also compared. This study analyzed hwasongmun (花束紋), bomun (寶紋) embroidery, wonangmun (鴛鴦紋), sujamun (壽字紋), bugeum (gold foil) of bonghwangmun (鳳凰文), placement of the decorative pattern, and saegimsu embroidering method. Regarding the color, this study described the color concept of the wedding robe based on Yin Yang Wuxing (陰陽五行) theory, colored embroidery thread reflecting the theor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gold thre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nging formative elements in the process of emergence of a new style through the tradition and experience of crafts. It is worth noting that in the modern fashion world, which is pursuing sustainable fashion with the keyword “reuse”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the times, the environment and humanity, the value of princess beokon’s hwarot is more significant. Therefore, we intend to make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the basic data to produce modern design value.

한국어

복온공주(福溫公主 1818-1832년)가 13세 혼례 때 입었던 활옷은 다른 활옷과 달리 정교한 자수(刺繡)와 황금빛의 부금(付金-금박) 무늬가 옷 전체를 화려하게 장식한 조선 왕실의 예복이다. 특히 옷 모양새기 앞깃의 여밈 부위나 소매 배래, 앞길 양끝이 궁중 의장(衣裝)인 당의, 원삼과 같은 호선(弧線) 형태로 꾸며져 있어 부드러운 실루엣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고 있는 복온공주의 활옷은 그 출처와 년대가 확실하고 유물의 보존 상태도 양호함으로 인해 조선 중후기의 편직수품(編織繡品) 및 의장에 대한 제반 공예기술적 지식 내지 사회 배경, 미학 등까지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준과 구체적 실마리를 제공해준다. 그 중에서도 의복의 구성이 하나의 천으로 재단해서 장식무늬를 제작한 것이 아니라 따로이 수놓거나 부금한 조각 천들을 옷 크기에 맞추어서 배치하였음을 볼 수 있다. 이는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서 왕비 적의(翟衣)가 수놓은 꿩무늬를 옷에 첨수(貼繡)했다는 기록을 통해, 이것이 자수침법의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지로 대한제국 시기의 수방 나인들은 우리말로 ‘새김수’라 불렀다. 특히, 이 활옷이 왕실 외명부(外命婦) 공주의 혼례복임을 비추어 볼 때, 값비싼 자수(刺繡)를 생산하지 않고, 재사용하였던 정황을 보아, 왕실에서부터 사치풍조를 없애고 검약한 생활을 실천하여 백성에게 본보기가 되었던 애민사상(愛民思想)의 일면을 찾아 볼 수 있다. 그리고 노의(露衣)의 둥근 원앙문(鴛鴦紋) 부금장식을 접목시키거나, 혹은 그 천 조각을 다시 사용함으로서 오히려 다른 자수 활옷보다도 더 다채로운 형식의 신 활옷이 출현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위의 특징을 토대로 이 활옷을 “자수부금 활옷”이라고 명명하고 이와 비슷한 유형의 활옷으로 19세기 말 이후로 해외에 유출된 필드자연사박물관, 브룩클린박물관의 소장품 활옷 2점을 비교 고찰하였다. 이밖에도 창덕궁 소장본인 덕온공주(德溫公主 1822-1844) 홍잠삼 수본(繡本)과 개인소장의 근대 홍사지자수(紅紗地刺繡) 활옷을 종합하여 화속문(花束紋), 보문(寶紋)자수와 원앙문, 수(壽)자문, 봉황문의 부금, 장식무늬의 포치(布置), 새김수 자수침법 등을 분석하였다. 색채에 관해서는 음양오행설에 기인한 혼례복의 색채관념과 이를 반영한 채색 수실을 비롯해 광명의 금빛을 지닌 금실의 의의를 서술하였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통의 역사성과 기예의 경험으로 새로운 스타일이 출현하는 과정 속에 변천하는 조형적 요소를 밝혀 현대 예복의 디자인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주목할 점은 환경과 인간이라는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여 ‘재사용’이라는 키워드로 지속가능한 패션을 올바른 소비 지향으로 나아가는 현대 패션계에서 200여년전 복온공주 활옷이 담고 있는 의미는 더욱 크게 다가온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본 연구 결과를 현대의 디자인 가치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목차

<논문요약>
 Ⅰ. 序論
 Ⅱ. 유래와 종류
  1. 활옷의 어원과 유래
  2. 자수부금 활옷의 종류
 Ⅲ. 의복구성과 장식구도
  1. 의복 구성의 특징
  2. 장식 포치의 특색
 Ⅳ. 색채 배합과 의의
  1. 관념적 색채표현
  2. 가시적 색채표현
 Ⅴ.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명유석 Myong Yoo-suk. 건국대학교
  • 김영란 Kim, Yeong Ran. 한상수자수박물관, 건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