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itizen Learning System for Community Renewal Governance
초록
영어
Destroying community caused by backward of downtown, identity crisis of community development and deep income cap give big stress to the government. Citizens become to have high recognition of identity, comprehension, concerns and accountability to their community. In modern society, it is recognized that education for citizens is fundamental factor for community development. Citizen learning system as a precondi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for enhancing their capability is becoming important factor of community development. Therefore, future way for citizen learning system have 1)forming perspective of community renewal governance, 2)making citizens as a acting agent with stimulating citizen participation, 3)stimulating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and community enterprise, 4)community development with cooperation of enterprise and government and 5)central government’s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institutional assistant system. If governance management of community renewal organization and citizen learning system for citizen participation are completed, we can expect citizen’s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for community renewal.
한국어
도심의 낙후, 정체성 없는 지역재개발, 소득격차의 심화 등으로 인한 지역공동체의 붕 괴는 정부에게 많은 부담감을 주고 있다. 그리고 지방자치제가 성숙되어지는 것과 함께 로컬거버넌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주민들은 지역발전의 주체로 등장하고 있다. 지 역사회자본으로서 문화가 강조되는 시대에 지역주민들은 자기 지역에 대한 정체성, 이해, 관심 및 책무성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지게 되었다. 지역발전을 위한 주민 참여의 전제조건으로서 주민의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주민학습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지역발전의 요소가 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마을공동체재생 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미래 의 주민학습체계 방향은 1)마을공동체재생 거버넌스의 형성적 시각 구축, 2)주민참여의 촉진으로 주민들이 행위주체로서 참여 할 수 있어야 하고, 3)주민과 지역기업의 공생을 촉진할 필요가 있으며, 4)기업과 행정의 협력 촉진을 통한 지역발전이 있어야 하고, 5)중 앙정부의 행정․재정․제도적 지원체계 구축이 있어야 한다. 마을공동체재생기구의 거 버넌스적 운영과 주민참여를 위한 주민학습체계가 제대로 갖추어지면 마을공동체재생을 위한 주민들의 자발적이고 활발한 참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1. 마을공동체와 마을공동체재생
2. 마을공동체재생 거버넌스
3. 마을공동체재생을 위한 주민학습
Ⅲ. 정부사업별 주민학습체계 현황과 문제점
1. 도시재생사업
2. ‘마을만들기’ 사업
Ⅳ. 마을공동체재생 거버넌스를 위한 주민학습체계의 방향
1. 마을공동체재생 거버넌스를 위한 환경 구축
2. 마을공동체재생 거버넌스를 위한 주민학습체계 모형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공동주택연구회. (2007). 「MA와 하우징 디자인」. 동녘.
- 2김도상. (2016). 「우리나라 지역공동체사업의 정부지원체계 개선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 3Residents’ Autonomy and Collaborative Community - Building: From a Perspective of Collaborative Community Governance네이버 원문 이동
- 4김석. (2007). 「10년 후 우리동네 상상 프로젝트를 통한 순천지역 마을만들기」. 제2회 마을 만들기전국대회(마을만들기전국네트워크) 자료집.
- 5김정현. (2006). 지역(마을)만들기. 「한일 지역만들기 지원제도의 현황과 과제」. 희망제작소. 125-132.
- 6김현수. (2006). 주민참여와 지역정체성 확립을 통한 고유모델 만들기. 「한일 지역만들기지원제도의 현황과 과제」. 희망제작소. 133-137.
- 7김혜정. (2007). 「희망을 꽃 피우는 지역 공동체 희망세상」. 제2회 마을만들기 전국대회(마을 만들기전국네트워크) 자료집.
- 8도시의 '마을만들기'에 따른 공동체의 형성과 메티스(mētis)의 기능네이버 원문 이동
- 9류홍번. (2007). 「푸른경기21 도시대학 사례」. 제9회 지방의제21전국대회 주제회의 자료집.
- 10복득규 외. (2003). 「클러스터: 한국산업과 지역의 생존전략」. 삼성경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