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주민소통을 위한 지방의회의 평가지표 개발과 적용

원문정보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indicators of Local Councils for Citizen's Communication

송건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communication indicators and model of the councilor-citizen about the local council activities an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is. The communication indicators between the councilor-citizen are selected based on 4 items such as communication mind, communication base, communication effort, communication performance considering the activity of local council service, quality of service, environment of administration. The case study is the integration of Changwon city. It was integrated into Changwon-Masan-Jinhae on July 1, 201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mind is negative in Changwon area, but Masan and Jinhae areas are active. Second, the communication base is weak in all three regions, but it is gradually gaining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channels. Third, communication effort is strong in Masan area, middle of Jinhae area and Changwon area weakest. Fourth, communication performance is not well known before integration, but it is revealed after integration. In order to activat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uncilor and the citizen, the local council should establish institutional devices to guarantee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establish communication space in the council and diversify communication channel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ke communication efforts in various ways such as the assembly of councilors and residents, NGO activities, polls, and referendums. Finally, continuous feedback is required to achieve communication performance.

한국어

이 논문은 지방의정활동에 대한 의원-주민간의 소통지표 및 모델을 개발하고 이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한다. 그리고 주민소통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의원-주민간의 소통지표는 의정활동, 의정서비스 질, 의정환경 및 행정 등을 고려하여 소통마인드(태도), 소통기반, 소통노력, 소통성과 등 4개 항목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창원-마산-진해지역을 통합하여 2010년 7월 1일 부로 출범한 통합 창원시의 사례이다. 소통지표와 4개의 시스템 관점에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ⅰ)소통마인드는 창원지역은 소극적이었지만, 마산과 진해지역은 적극적이었다. ⅱ)소통기반은 세 지역모두 약했지만, 점차 소통기반 및 채널을 확보하고 있다. ⅲ)소통노력은 마산지역이 대체로 강했고, 진해가 중간, 창원이 가장 약했다. ⅳ)소통성과는 통합 전에는 잘 발견되지 않았지만, 통합 후에는 일부 나타나고 있다. 의원-주민간의 소통활성화를 위해, 첫째, 의회에 주민참여를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의회 내의 소통공간을 마련하고 소통채널을 다양화해야 한다. 셋째, 의원-주민간의 협의회 구성, NGO활동, 여론조사, 주민투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소통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넷째, 소통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피드백이 요구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의정활동과 주민소통
  2. 의회-주민 간의 소통
  3. 선행연구와 차별성
 Ⅲ. 의회-주민간의 소통지표개발
  1. 의원-주민간의 소통요인
  2. 의원-주민간의 소통지표 개발
 Ⅳ. 통합창원시의 사례 적용
  1. 소통지표 및 시스템
  2. 사례개요
  3. 소통지표의 적용
  4. 종합 및 소통활성화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송건섭 Song Keon-Sup. 대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