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제규제입법의 한계와 개선과제 - 경제민주화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Limit on legislation on economic regulations and improvement tasks - Centering around discussions related to economic democracy -

문재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line with recent expansion of new liberalism trends, differences appear between business groups and conservative groups in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economic democratization as mentioned in Paragraph 2, Article 119 of the Constitution. The assertion that economic democratization shall be viewed from the harmonious standpoints between economic entities, not from regulatory ones even becomes stronger so as to propose a constitutional amendment. Today, the increasing polarization between rich and poor that appeared under the influence of new liberalism applies as a serious element of separating society. If the wage gap between chief executive officers and workers in 1980s was 40 times in 1980s, today the gap greatly increased by about 300~400 times. In spite of the fact,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took various actions for economic democratization and provided government grants to an enterprise whose managerial situation is worsened, there are many cases and trends which make economic democratization difficult. For example, zombie companies are prevalent, and an enterprise being provided with government grants, going through reorganization procedures, commits accounting frauds with regard to lots of tax revenue. Because the general public has various expectations from the slogan of economic democratization, it is very likely that the policies carried out under the slogan of economic democratization fail to meet the expectation of the general public. Also, to secure freedom of individuals, it is important to set rules which restrict an area where a nation's right to disposal arises to an area formed by agreement. Such a state in which democracy is realized is called to as 'Restrictive democracy', 'Free democracy'. New liberalism which has denominated the world economy up to now caused an anxiety reduced job, reduced welfare, deepened gap between rich and poor, etc,, resulting in sluggish world economy and occurrence of Brexit, etc. Accordingly, the present world economic crisis that is rapidly returning to neoisolationism is rapidly expanding into the entire world. Under these situations, now Korea is urgently required to make and materialize balanced economic policies enabling Korea to cope with the worldwide economic crisis and rectify the weighted phenomena of wealth. Though there is no a secret method to be able to solve income inequality, it is necessary to enforce regulations to weaken to some extent the monopolistic power structure of an enterprise which mass produces low-wage workers. However, social wasteful phenomena and separation must be prevented that arise from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and viewpoints of Paragraph 2, Article 119 of the Constitution, by clearing disclosing provisions forming grounds for such restriction from Article 1 and Paragraph 2, Article 37 of the Constitution.

한국어

최근 신자유주의의 물결이 확산되는 가운데 기업집단과 보수진영 간에 헌법 제119조 제2항의 경제민주화에 대한 적용과 해석차로 인해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 경제민주화를 시장경제에 대한 규제가 아닌 경제주체 간의 조화적 차원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주장은 개헌론으로까지 그 주장의 강도를 더하고 있는 상황이다. 오늘날 신자유주의 여파로 큰 문제로 등장한 ‘부의 양극화’ 현상은 사회를 분열시키는 매우 심각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980년대 최고경영자와 근로자의 임금격차가 40배였다면 오늘날에는 300배~400배 정도로 크게 증가하였다. 최근 우리나라는 이에 대하여 경제민주화적 조치를 단행하여 경영이 악화된 기업에 대한 국고지원을 시행하였음에도 좀비기업이 만연하고, 기업회생절차를 밟으면서 국고지원을 받는 기업이 분식회계를 통해 막대한 세원에 대하여 회계사기를 범하는 등 경제민주화 실현의 한계에 직면한 상황이기도 하다. 경제민주화라는 구호로부터 일반 대중들의 기대가 다양하기 때문에 경제민주화를 내걸고 추진한 정책들이 일반 대중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개인의 자유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처분권한이 발생되는 영역을 합의로 인해 형성되는 영역으로 제한하는 규칙의 설정이 중요하다. 이러한 민주주의가 실현되는 상태를 ‘제한적 민주주의’, ‘자유민주주의’라 한다. 지금까지 세계경제를 지배해 온 신자유주의가 일자리 감소, 복지의 축소, 빈부격차 심화 등에 대한 우려를 낳았고 그 결과 세계경제불황, 브렉시트 등이 야기되었다. 이로 인해 급속히 신고립주의로 회기하고 있는 작금의 세계 경제위기상황은 전 세계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오늘날 대한민국은 세계적 경제위기 상황을 극복하면서도 부의 편중현상을 시정할 수 있는 균형 잡힌 경제정책 수립과 실현이 절실한 시점이다. 소득불평등을 완전히 해결할 비책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저임금 근로자를 양산하고 있는 기업의 독점적 권력구조를 어느 정도 약화시킬 규제의 시행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규제의 헌법상 근거조항을 헌법 제1조와 제37조 제2항에서 도출하여 헌법 제119조 제2항의 실현에 대한 시각과 해석차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사회적 소모와 분열을 지양하여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I. 들어가며
 II. 헌법상 경제질서의 성립과 그 원칙
 III. 경제민주화의 구현으로서 경제규제입법
 IV. 경제규제의 한계로서의 경제민주화
 V. 나아가며(개선과제에 갈음함)
 <참고문헌>

저자정보

  • 문재태 MOON, Jae Tae. 동국대학교(서울) 강의초빙교수, 법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