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김행숙 시에 나타난 죽음과 침묵의 역설 고찰 - 시집『 에코의 초상』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Consideration of paradox about death and silence appeared in the poem of Kim Haeng Sook - Based on poetical work [potrrait of Echo]

김재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manuscript is focusing on Heidegger’s philosophy which shows that the return to “nothingness” or death defines existence methods of Dasein as the continuity which continues constantly, and is about to reveal through Heidegger that death and silence appeared in the poetical work of Kim Haeng Sook paradoxically defines life. Heidegger said that human beings who are different from animals are Dasein as Entia who can ask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Human beings realize the limit of time or feel anxiety when they face death of themselves or others, however, not life but death is the starting point to find out their real selves and they can finally realize their values of life and the reason for their existence when they accept death without running away from it. He also, said that languages are ‘home of existence’ and we can not correctly understand existence without languages. However, paradoxically, silence is the fundamental language which lets us know the essence of existence and it makes the true speakingness possible. Heidegger said that we can experience new possibility when we become silent and focus on the voice of conscience. [Portrait of Echo] ,which is the fourth poetic work of poet Kim Haeng Sook, makes Echo ,who is a fairy who had to be silent until other people speak in a myth, as a poetic ego by bringing Echo as ‘an existence without an Ens’. Echo sings for silence and death but there is true desire of communication and love for life. At this point, we can find the contact point between Heidegger and Kim Haeng Sook. The reason of Heidegger and the poetic world of Kim Haeng Sook have the common denominator of the ‘paradox of silence and death’. They, one of whom was following philosophical reason and the other who was following poetic reason, agonized about the authenticity of human beings and the restoration of human beings’ essence. Furthermore Kim Haeng Sook told us that we should on look back our lives by focusing on our inner voices, not stop and keep going forward to ask questions by investigating dark realities and contradictions of the world. In this way, we can assume that silence, as explained by Kim Haeng Sook, took one more step forward by emphasizing social articulation and the conscience of artists from Heidegger’s reason, which was focused on introspection by listening to inner voices.

한국어

본고는 끊임없이 지속되는 지속성으로서의 “무” 혹은 죽음으로의 환원 이 오히려 현존재의 존재 방식을 규정한다는 하이데거의 철학에 주목하 고 하이데거를 통해 김행숙의 시집에 나타난 죽음과 침묵이 역설적으로 생을 규정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하이데거는 동물과 다르게 인간만이 자신의 존재의 의미를 질문할 수 있는 존재자로서 인간을 현존재라고 말했다. 인간은 시간의 유한성을 깨 닫거나 자신이나 타인의 죽음에 직면하면 불안을 느끼기 마련이지만 삶 이 아닌 죽음이야말로 본래적 자기를 찾아가는 출발점이며 죽음을 피해 도망치지 않고 받아들일 때 비로소 삶의 가치와 존재의 이유를 깨닫게 된 다고 했다. 또한 그는‘ 언어는 존재의 집’이며 언어를 통하지 않고서는 존 재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고 했지만 역설적으로 침묵이야말로 존재의 본질을 알려주는 근원적인 말이고 진정한 말함을 가능케 한다고 했다. 하 이데거는 침묵하며 양심의 소리에 집중할 때 새로운 가능성을 경험할 수 있다고 말한다. 시인 김행숙의 네 번째 시집『 에코의 초상』은 다른 사람이 말을 하기 전 까지는 침묵할 수밖에 없는 신화 속 요정 에코를‘ 존재자 없는 존재’로 불 러들여 시적 자아로 삼는다. 침묵과 죽음을 노래하지만 그 안에는 진정한 소통의 욕구가 있고 삶에 대한 사랑이 있다. 이 지점에서 하이데거와 김 행숙의 접점을 찾을 수 있다. 하이데거의 사유와 김행숙의 시세계는‘ 침 묵과 죽음의 역설’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한 사람은 철 학적 사유로, 한 사람은 시적 사유로 인간의 본래성과 인간의 본질 회복 을 위한 고민을 한다. 그리고 김행숙은 우리에게 자신의 내면의 소리에 집중하여 스스로의 삶을 되돌아보되, 거기에서 그치지 말고 더 나아가 어 두운 현실과 세상의 모순을 찾아 질문을 던지라고 말한다. 이런 면에서 김행숙이 말하는 침묵은 사회적 발화와 예술가의 양심을 강조함으로써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개인의 성찰에 집중했던 하이데거의 사유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갔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하이데거의 존재 진리와 시
 3. 죽음과 침묵의 역설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재희 Kim, Jae-Hee. 고려대학교 응용언어문화학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