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 문화콘텐츠의 현장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Operating Activation of The World Festival of National Theaters

이주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ulture is one of the most valuable legacies of human beings and their treasure chest of times. Among many aspects of culture, festivals can unify most cultural activities the best. Performing arts festivals are the most aesthetic and effective as concentrated culture among others in short times.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s have been boosting up mutual understanding, economic growth, and global images between nations in contemporary societies. The National Theatre of Korea(NTOK hereinafter) is symbolic for performing arts of Korea. This study has been done into systematic analysis and revitalization measures of management for (TWFNT hereinafter), specially programed, managed, and hosted by NTOK since 2007.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WFNT needs to keep its direction as early planned. This leads to identity and uniqueness of the festival. From audience’s point of views, pellucid positioning of festivals direction is an extremely significant and critical element for confirmation and general management of the programs. An active support and cooperations from government are needed. Second, lacking regular employees, TWFNT office needs to organize and run (a) festival team(s) for professionalism and continuity of the work. By setting up its own human resource management manual, it can maximize employing and using civil festival staff and volunteers. Third, TWFNT needs to strengthen the role of the management council. It should expand the period of appointment for the council members for two years so that the council can cooperate with TWFNT office for actual programming work. Considering programs of the year, TWFNT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the council members and build the system for practical unition between TWFNT and the council. Fourth, TWFNT needs to fix programs matching with the direction of the festival in earlier stage. This is very critical for programming as theatre’s planned performances and as an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For quality elevation and thorough checking on the spot, the programs should be chosen after being watched, invitations be posted after a close filtering, and the best ones must be taken strict standards for selection. These are for the organization to obtain enough time, secure finances, and professionalism. Fifth, TWFNT needs to develop advertisement resources continuously and set up executive marketing strategies except for the basic tools in terms of advertisement and marketing. Co-advertisement and co-marketing plans allied with related organs must be set and done in a long run. Integrated marketing plans must be built through proper choices of the programs and concentration on the chosen programs of the year. Development of progressive management resources is effective for festival contents information to be connected to strategical advertisement and finally to get successful marketing outcomes, such as wider public awareness plans for the theatre and festivals. Marketing partnerships with corporations and institutions from participant countries to the festival are highly precise and efficient in terms of international exchanges. Based on the management of , this study shows what TWFNT lacks for better management and programs, analyzes the results of the festival, and suggests revitalization methods of it.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contribute for the National Theatre of Korea as the capital of performing arts and as the representative theatre in Korea to grow as the international pivot in performing arts culture, to expand its global exchange with excellent performing arts theatres and organizations in the world and to activate the differentiated performing arts festival internationally.

한국어

인류의 가치적 소산이자, 시대의 보고(寶庫)가 문화이다. 문화의 다양 한 측면들이 있지만, 이를 총체적으로 결집시킬 수 있는 것은 축제이 다. 축제의 유형 중 단시간에 가장 심미적이면서도 효과의 정도가 높 은 것이 공연예술축제이다. 그중에서도 현대사회에서 국제공연예술축 제를 통해 국가 간의 상호 이해 증진, 경제의 활성화, 국가 이미지 제 고 등 여러 효과를 증진 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공연예술을 대표하는 국립극장이라는 상징성을 바탕으로 극장의 프로그래밍 차원에서 2007년부터 특별기획 되어 현재 까지 시행되어 오고 있는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의 운영실태를 토대로 운영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시행 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운영 활성화 방안을 요약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에서 초기 설정한 방향성 유지이다. 이 는 페스티벌의 정체성이자 고유성으로 직결된다. 수요자 중심 측면에 서 볼 때 페스티벌의 방향성이 명징하게 포지셔닝 되는 것은 물론 프 로그래밍 확정 및 총괄 운영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서 정부 차원에서도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이 요구된다. 둘째, 조직재편 및 인력 운영 측면에서는 우선 세계국립극장페스티 벌 사무국의 정규인원이 부족한 바, 전문성 획득과 연속성 확보 차원 에서 극장 내에 페스티벌(축제)팀을 신설, 운영함이 요구된다. 인력 운 용 매뉴얼을 설정하여 자원봉사자들을 비롯한 시민 축제 요원들에 대 한 적극 발굴과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 셋째, 운영자문위원회의 역할 강화이다. 위촉기간을 만 2년으로 둠으로써 사무국과 더불어 실질적 프로그래밍 업무에 함께 하도록 창구 를 확장해야 할 것이다. 해당년도의 프로그램을 감안하여 자문위원의 구성원 보강을 통해 실질적인 조직위가 구성되는 체계를 구축함이 중요하다. 넷째, 페스티벌 방향에 부합되는 프로그램 조기 확정이다. 이는 극 장기획공연으로서의 프로그래밍 측면과 국제공연예술축제로서의 측 면 모두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질적인 고양과 실질적 검증을 위해 가 급적 현장을 통한 작품 선정, 면밀한 필터링을 통한 초청작, 우수작에 대한 엄격한 선별과정이 필요하다. 결국은 충분한 시간과 재원 확보, 전문성이 근간이므로 조직 차원에서 이를 충족시켜야할 것이다. 다섯째, 홍보 및 마케팅 측면에서는 기본적인 툴 외에 지속적인 홍 보 소스 개발 및 마케팅 실행 전략 수립을 기해야 한다. 기관 및 단체 들과의 공동(연계) 홍보, 마케팅은 지속적인 발굴과 실행이 요구된다. 해당년도의 프로그램에 맞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통합 마케팅이 필요 하다. 극장 및 페스티벌의 인지도 확산 프로그램 운영을 시작으로 페 스티벌 콘텐츠 정보가 전략 홍보에 연동되어져, 마케팅의 결과물로 이 어지는 단계별 운영 소스 개발이 필요하다. 국제교류 관점에서 참가국 들의 기업, 기관과 파트너 마케팅의 추진은 적실성이 높다 하겠다. 본 연구는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의 운영실태를 토대로 문제점 도출 및 운영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 구결과는 대한민국 공연예술의 중심이자 대표 공연장인 국립극장이 세계 공연예술문화의 중심으로 성장하며 해외 우수 공연예술단체들과 의 교류 확대를 진작시켜 차별화된 국제공연예술축제의 장이 활성화 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논의
  2.1. 공연예술축제의 이해
  2.2. 국제공연예술축제의 이해
 3.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운영 실태
  3.1.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개요
  3.2.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운영 실태
 4.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운영결과 분석
  4.1.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일반운영 분석
  4.2.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사업 운영 분석
 5.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운영 활성화 방안
  5.1. 조직구성 및 운영체계상의 활성화 방안
  5.2. 프로그램의 강화
  5.3. 홍보·마케팅의 강화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주영 Lee, JooYoung. 국립중앙극장 기획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