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 문화콘텐츠의 현장

낭만적 사랑(Romantic Love) 신화의 현대적 해석 : 『트리스탄과 이졸데(Tristan und Isolde)』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Modern Interpretation of a Myth of Romantic Love : the case of Tristan und Isolde

김공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opular culture that involves films, dramas and pop songs to which the public is usually exposed is hardly appealing to them without having romance in it. Romantic love is a sort of love and a quite special psychological phenomenon that is‘falling in love,’not merely loving some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ature of romantic love that had the most powerful impact among different kinds of love between man and woman. It’s specifically meant to analyze the work of the Middle Ages titled‘Tristan und Isolde’from the perspective of Carl Jung’s psychology. This work includes the archetype of a myth of romantic love. Romantic love originated from courtly love between knights and noble women in the Middle Ages. That is generated by the projection of anima(or animus) that is the internal opposite sex of man or woman. Romantic love that stems from the projection of anima is very similar to religious experience. Romantic love is toward someone whom one projects, and is built on his or her own expectation and fantasy. So that is love for oneself, not for someone else. Nowadays, myths of romantic love exert a very strong influence on modern people’s love and marriage, but it produces great side effects - a high rate of divorce - when the projection is withdrawn. That is unhappiness that happens due to ignora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romantic love. If modern people know the substance of romantic love, they will be able to sublime it into lofty, humanistic love. They must clearly be aware of the limitation of romantic love, which is that it is love for their own inside, not for those whom they think they love. They should achieve self-realization to exert their native archetypal potentials, and they are in need of‘individuation’to make it happen. If one is in romantic love, he or she should realize that he or she cannot truly love the object of his or her love until the romantic love comes to an end.

한국어

우리가 흔히 대하는 영화, 드라마, 대중가요 등 많은 대중문화의 매 체들은 로맨스 없이는 존재하기 어렵다. 낭만적 사랑은 사랑의 한 형 태이지만,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을 넘어서‘사랑에 빠져 있는’아주 특별한 심리적 현상이다. 본 논문은 오늘날 남녀의 모든 사랑하는 관계에서 가장 강력한 영향 을 발휘하는 낭만적 사랑의 본질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낭만 적 사랑 신화의 원형적 요소를 가진 중세의『트리스탄과 이졸데』를 융 (Carl Jung)의 심리학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낭만적 사랑은 중세 기사와 귀부인의‘궁정연애’에서 유래했다. 낭 만적 사랑은 남성(또는 여성)이 지닌 내면의 반대 성인 아니마(또는 아 니무스)의 투사 때문에 발생한다. 아니마의 투사를 통해서 일어나는 낭만적 사랑은 종교적 체험과 흡사하다. 낭만적 사랑은 항상 자신이 투사하는 것, 자신의 기대와 환상을 향해 있기 때문에 결국 다른 사람 을 향한 사랑이 아니라 자신을 향한 사랑이다. 낭만적 사랑 신화는 오늘날 현대인의 연애와 결혼에 매우 강력한 영 향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투사가 거두어졌을 때 발생하는 부작용- 높은 이혼율- 또한 만만치 않다. 이는 낭만적 사랑의 특성을 알지 못 해서 일어나는 불행이다. 우리가 낭만적 사랑의 실체를 안다면 낭만적 사랑을 보다 차원 높은 인간적인 사랑으로 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낭만적 사랑은 상대방에 대한 사랑이 아닌 자신의 내면에 대한 사랑이 라는 한계를 분명히 알아야 한다. 개개인이 가지고 태어난 원형적 잠 재력을 온전히 성취하기 위해서 진정으로 자신이 누군가를 발견하는 자기실현, 즉 그 과정으로써‘개성화’가 필요하다. 낭만적 사랑에 빠져 있다면 그것이 끝나는 순간이 바로 상대를 진정으로 사랑하기 시작할 수 있는 때임을 깨달아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낭만적 사랑의 개념
  2.1. 낭만적 사랑의 기원(起源)
  2.2. 낭만적 사랑의 특징
 3. 낭만적 사랑의 신화적 분석
  3.1. 융 심리학 관점에서 본 낭만적 사랑의 신화
  3.2.『 트리스탄과 이졸데』이야기
  3.3.『 트리스탄과이졸데』의낭만적사랑에표출된신화적요소
  3.4.『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의의
 4. 낭만적 사랑 신화의 현대적 해석
  4.1. 현대인의 낭만적 사랑 신화
  4.2. 낭만적 사랑 신화와 결혼
  4.3. 낭만적 사랑 신화의 현대적 양상
  4.4. 낭만적 사랑의 진화를 위한 모색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공숙 Kim, GongSook. 방송구성작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1,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