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종교집단에 대한 양적 조사의 의의 및 방법 - 한국 신종교 교단 및 집단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Significance and Methods of Quantitative Study on Religious Groups

남춘모, 박승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quantitative approaches on religious believer’s value, faith attitudes, faith degree, their social isolations,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the world view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explain how the religious believer’s values and inner motivations are related with their attitudes and behaviors. First, quantitative data about the religious communities could compensate with research results with literature review or qualitative approaches. Second,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itself could explain to the point which qualitative studies could not figure it out. Third, the quantitative data on individual religious communities could be used to as a method to compare the communities it self and to measure the status of their social-cultural status. The quantitative approaches on religious communities have several challenges. The limitation of accessibility to a research target is prime issue to conduct a research. The efforts to form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arget religious group are required to ensure accessibility. The issues of controlling research situation, variable configuration and ensuring the reliability-validity on data results could become raised. The alternativ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hich could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are required.

한국어

종교 신자들의 가치관, 신앙태도 및 정도 그리고 그들의 사회적 고립 과 집합의식, 세계관에 관한 수량적 조사는 신자들의 가치관, 그리고 신앙에 바탕을 둔 내면적 동기가 그들의 태도 및 행위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 째, 종교교단 및 신자들에 대해서 양적 자료를 수집한 데이터와, 그리 고 그것들을 처리 및 분석한 결과는 문헌연구나, 질적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 혹은 보충하는 데 있어서 역할을 한다. 둘째, 양적 분석결과 그 자체가 질적 연구로는 설명 및 해석할 수 없는 부분까지 규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셋째, 통계적 처리 결과를 다른 종 교집단 및 사회집단과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집단 으로서 해당종교가 가지고 있는 사회문화적 위치도 확인할 수 있는 측 정 수단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교집단에 대한 양적 분석을 위한 조사는 여러 가지 현실적인 문제들로 인해서 상당한 제약을 가질 수밖에 없다. 첫 째는 ‘접근성의 확보’가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대상 종 교집단과의 친밀한 관계 형성이 필요하다. 둘째, ‘조사상황에 대한 통제’를 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셋째, 설문이나 인터뷰의 ‘변수 구성’을 하기 어렵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분석결과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을 확보하기가 힘들다는 점이다. 이에 대한 대안을 만들어 종교집단에 대한 양적조사가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는 연구성과가 이루어지도 록 할 것이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종교집단에 대한 사회학적 조사
 Ⅲ. 종교연구에 있어 양적 조사의 의의와 한국 신종교 연구 동향
  1. 종교조사와 신종교에 대한 양적 연구의 현황
  2. 종교집단에 대한 양적 조사의 의의와 한계
 Ⅳ. 종교 교단 및 신자에 대한 양적 조사
  1. 종교집단에 대한 관찰조사
  2. 종교집단에 대한 설문조사
  3. 종교 신자들에 대한 인터뷰
 Ⅴ.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남춘모 Nam Chun Mo. 대구가톨릭대학교
  • 박승길 Park Seung Gil. 대구가톨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