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증산계 신종교운동의 역사와 사상적 변천에 대한 조명

원문정보

A Study of Historical Change of Jeungsan-Affiliated New Religious Thoughts and Movements

이경원, 백경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eungsan-affiliated new religion movements had generated the numerous denominations with a strong belief system toward Kang Jeung-san. Also the religion movements had taken leads in the national racial movements under Japanese colonial era and have gone the ups and downs as a nationwide religions. Jeungsan-affiliated new religions, which are still making the spread, have still been are studied by many researchers. This research aims to review the present conditions and the outline of Jeungsan-affiliated new religions focusing on the history and the ideological transition. In chapter 2, the history of Jeungsan-affiliated new religion movements are summarized. The schema of more than 130 religious body faction’s and their generation processes are categorized into 6 affiliations. In chapter 3, the individual id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s are reviewed based on their historical backgrounds. The individual faction’s doctrines are analyzed in 6 ideological characteristics. In chapter 4, the uniqueness of Jeungsan-affiliated new religions are derive. This research has it’s own value to offer the objective classification system to categorize the Jeungsan-affiliated new religions.

한국어

한국 근대시기 증산계열 신종교 운동은 강증산에 대한 강력한 신앙체 계를 중심으로 이후에 수많은 분파교단을 발생시켰다. 또한 일제치하 에서 민중 민족 운동을 주도하고 전국적인 신도를 확보한 신종교로서 많은 부침을 거듭하였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활발한 종교활동을 하 고 있는 증산계 신종교는 많은 학자들로부터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증산계 신종교운동의 역사와 사상적 변천에 대 한 문제를 중심으로 그 현황과 개요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문의 제2장 에서는 먼저 증산계 신종교 운동의 역사를 개괄해 보기로 한다. 본고 에서는 총 130여개의 교단에 대하여 계파도를 그리고 그 발생과정을 계열별로 분류해 보기로 한다. 본 문에서는 총 6대 계열로 나누어 분 류하였다. 제3장에서는 개별 교단의 역사를 배경으로 그 사상적인 변 천과 특징을 찾아보기로 한다. 여기서는 지금까지의 모든 증산계열 종 단의 사상적 특징을 특별히 여섯 가지의 사상적 범주를 설정하여 개별 교단의 교리를 각각 분석해보는 것이다. 제4장에서는 앞에서 다룬 교 단의 역사와 사상적 변천을 놓고 증산계 신종교 운동이 여타 한국 신 종교에 비해 두드러진 특징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는 이전까지 진행되어 왔던 현황조사연구를 충실히 종합하고 반영하되 정보의 단순나열을 지양하고 새로운 분류틀을 제시함으로써 일종의 객관적 연구를 시도하는데 있다. 또한 사상적 측면에서 포괄적 으로 서술하기 위해 범주화를 시도하였으며 이로 인해 개별교단의 정체성이 나름 대로 조명되는 계기가 되리라 본다.

목차

한글요약
 1. 머리말
 2. 증산계 신종교 운동의 역사
  1) 고판례 대흥리 교단
  2) 조정산의 무극도 계열
  3) 강순임의 증산향원 계열
  4) 정인표의 미륵불교 계열
  5) 배용덕의 증산진법회
  6) 증산계열 신종교연합운동
  7) 기타 교단
 3. 증산계 신종교의 사상적 변천
  1) 선도(仙道)적 경향
  2) 불도(佛道)적 경향
  3) 유도(儒道)적 경향
  4) 단군(檀君)-수운(水雲)계통의 민족주의
  5) 부록(符籙)중심의 신비사상
  6) 유·불·선(儒佛仙) 삼도(三道) 포괄주의
 4. 한국 신종교사에 있어서 증산계 신종교운동의 특징
  1) 다양한 분파운동과 이념적 스팩트럼
  2) 신비체험 위주의 창교
  3) 증산의 신성에 대한 절대적 숭배
 5.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경원 Lee Gyung Won. 대진대학교
  • 백경언 Baik Kyung Un. 대진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