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Development and Pattern of Buddhist Reformation in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
초록
영어
This article classified the patterns of the Buddhist reformation in Korea by approaching by two steps. The first step includes Kwon Sang-Ro’ "Joseon Buddhist reformer", Han Yong-Un’ "Joseon(Korea) Buddhist theism", and Lee Young-Jae's “Joseon Buddhism hyeoksinron”. The first step of the Buddhism reformation was not yet developed as to offer the concrete alternatives for then current Buddhism. Kwon Sang-Ro’ "Joseon Buddhist reformer" was focused on analysis of abstract concepts of Buddhism, Han Yong-Un’ "Joseon Buddhist theism" also had limitations to present alternative solutions. Lee Young-Jae's “Joseon Buddhism hyeoksinron” was also attached into the ideal blueprints, which was insufficient for concrete answers. The second step of the Buddhism reformation includes Han Yong-Un’ “Joseon Buddhist reform”, Baek Yong-Seong’ Daegakgyo Movement, Baek Hak-Myeong’s view of reform of buddhism, and Son Gyu-Sang’ view on Buddhism reform. The second step of the Buddhism reformation showed the detailed alternatives for Joseon Buddhism. Han Yong-Un’ “Joseon Buddhist reform” insisted the following three theme; to establish a organization for the 31 head temples, to pursue the public Buddhism and to organize guiding principles of zen practice and teaching methods of Buddhism’s doctrine. Baek Yong-Seong’ Daegakgyo movement coincides with Han Yong-Un’ “Joseon Buddhist reform”. Baek Hak-Myeong’s opinion was similar with Han Yong-Un for pubic Buddhism and the training of the Buddhism’s doctrine. In this regard, Baek Hak-Myeong’s opinions are classified as a partial Buddhism reformation. Son Gyu-Sang’ opinions consists with Han Yong-Un’ inrespect of persuing the pubic Buddhism. But Son Gyu-Sang’ Jingakjong with a new discipline theory could be regraded as to insist “new sector” for Buddhism reformation.
한국어
이 논문은 한국근현대에 제기된 불교개혁론을 두 단계로 나누어서 접 근하고 그 유형을 구분한 것이다. 불교개혁론의 1단계에는 권상로의 「조선불교개혁론」,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 이영재의 「조선불교혁 신론」등이 포함된다. 1단계에 속하는 불교개혁론은 아직 구체적 대안으로 발전되지 못한 것이다. 예를 들면, 권상로의 「조선불교개혁론」에는 추상적 개념분석에 공을 들이는 부분이 있고,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에도 추상적 내 용이 섞여 있고 또한 대안제시에서도 문제점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이영재의 「조선불교혁신론」에는 이상적 청사진을 제시하는 데에 치중 하였고 아직 구체적 대안으로 발전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불교개혁론의 2단계에는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 백용성의 대 각교 운동, 백학명의 불교개혁에 관한 견해, 손규상의 진각종 창종 등 이 포함된다. 2단계의 불교개혁론은 1단계의 불교개혁론과 비교해 볼 때, 구체적 대안으로 발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은 3 가지 내용으로 구분된다. 첫째, 31본산을 통괄하는 기구를 설치하자는 것이고, 둘째 대중 불교의 추구이며, 셋째 선수행의 지도 원리와 불 교교학의 교육방법을 정비하는 것이다. 백용성의 대각교운동은 한용운 의 「조선불교의 개혁안」의 내용과 문제의식에서 거의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과 백용성의 대각교 운동을 한 가지로 보고, 그들은 ‘당시의 불교계를 개혁하자’고 주장하였 다. 백학명의 불교개혁적 견해는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과 비 교해 볼 때, 첫째 주장 곧 31본산을 통괄하는 기구를 설치하자는 것은 없지만, 둘째와 셋째 주장에서는 내용과 문제의식에서 상당히 일치한 다. 이 점에서 백학명의 불교개혁적 견해는 온전한 불교개혁론이 아니 고 ‘부분적인 불교개혁의 주장’이라고 분류한다. 손규상의 진각종 창종 은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과 비교해볼 때, 대중불교를 추구한 점에서는 서로 일치한다. 차이점은 손규상이 새로운 종파를 세우고, 거 기에 걸맞는 수행론을 제시한 점에 있다. 이 점에서 손규상의 진각종 창종은 ‘새로운 종파를 창종하자는 주장’으로 분류한다.
목차
Ⅰ. 서론
Ⅱ. 불교개혁론의 1단계
1. 권상로의「조선불교개혁론」: 추상적 개념분석에 치중함
2. 한용운의『조선불교유신론』: 구체적 대안으로까지 전개되지 못함
3. 이영재의 「조선불교혁신론」: 혁신의 이상적 청사진을 제시함
Ⅲ. 불교개혁론의 2단계: 구체적 개혁안의 제시
1.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
2. 백용성의 대각교 운동
3. 백학명의 불교개혁에 관한 견해
4. 손규상의 진각종 창종
Ⅳ. 결론: 구체적 개혁안의 유형구분
Abstract
참고문헌
키워드
- 권상로의 「조선불교개혁론」
-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
- 이영재의 「조선불교혁신론」
-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
- 백용성의 대 각교 운동
- 백학명의 불교개혁에 관한 견해
- 손규상의 진각종 창종
- Kwon Sang-Ro’ "Joseon Buddhist reformer"
- Han Yong-Un’ "Joseon Buddhist theism"
- Lee Young Jae's “Joseon Buddhism hyeoksinron”.Han Yong-Un’ “Joseon Buddhist reform”
- Baek Yong-Seong’ Daegakgyo Movement
- Baek Hak-Myeong
- Son Gyu-S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