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History of Religion Study and Assignment on New Religions of Korea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the historic development process of new religion of Korea and its significance through a classification into modern new religions and contemporary new religions. In regards to new religions of Korea, leading new religions have been changing according to the social role of new religion and assignment of time per each period from the period of enlightenment to the period of democratization. Traditional modern new religion played the leading role in new religion during the opening port period and colonization period. Korean new religion of Christianity played such role from liberation period to the Korean War, while new religion of denomination type Christianity played that role during the period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Since the period of democratization, however, contemporary new religions that seek human liberation entirely different from previous new religion appeared extensively. During the periods of opening port and colonization, traditional modern new religion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history of Korean people by accepting social core assignments such as social revolution, civilization enlightenment and national independence but they deteriorated rapidly. In addition, they were not able to grow except for certain religions during the periods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s they lack the ability to adapt to society.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new religions of Christianity dominated the new religion circle of Korea since then. Since the period of democratization, however, a contemporary new religion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namely, spirituality religion, appeared. During this development process, issues that can be raised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new religion history are as follow. For the purpose of settling new religion into the history of Korean culture, it is necessary to not only describe individual new religions but also ask again from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history centering on the topographic change of new religions. Next, there is the issue of preserving the history of modern new religion. This is to solidify the cultural foundation of futur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s well as preserve the spirit of people and the modern history of life & spirit of people. Lastly, there is the issue of conducting a research study on the surging contemporary new religions of 'religion after religion'. It appears that the concept of Christianity centered 'civilization religion', namely the frameworks of religious life formed centering on the dichotomy of sacredness and secularity will become an issue. Accordingly, it stated the need for an in-depth research study on the examination of the continuity and severance between modern new religion and contemporary new religion, as well as various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of new religions.
한국어
이글은 한국 신종교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그 의의를 근대 신종교와 현 대 신종교로 구분하여 살펴본 것이다. 한국의 신종교들은 개화기로부터 민 주화기 이후까지 각 시대마다 시대적인 과제와 신종교의 사회적 역할에 따 라 주도하는 신종교가 변화해 왔다. 개항기와 식민지하에서는 전통적 근대 신종교가, 해방 이후부터 한국 전쟁에 이르는 시기가 되면 기독교계 한국 적인 신종교가, 산업화 도시화 시기에는 산업사회에 잘 적응한 종파형 기독교계 신종교가 신종교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민주화 이후 에는 이전 신종교와는 전혀 성향이 다른 인간해방을 지향하는 현대적 신종 교들이 대거 출현한다. 특히, 전통적인 근대 신종교들은 개항기와 식민지하 에서는 사회변혁과 문명개화 그리고 민족독립 등의 사회 중심과제를 수용 하여 민족사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으나 해방 이후 급격하게 쇠락한다. 또 도시화 산업화기에는 사회적응력이 부족하여 일부 종교를 제외하고는 성장의 혜택을 입지 못했다. 이후 기독교계 신종교들이 한국 신종교계를 지배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다가 민주화 이후에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현대 신종교 즉, 영성종교가 출현한 것이다. 이런 전개 과정에서 신종교사 서술과 관련해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들 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신종교를 한국문화사에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개별 신종교들의 서술만이 아니라 신종교들의 지형변화 중심으로 문화사적 의미 에서 되물어 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다음은 근대 신종교의 역사를 보존하 는 문제다. 이는 미래 남북통일의 문화적 기반을 다지는 것이고, 동시에 민족의 얼과 근대 민중의 생활사·정신사를 보존하는 일이 된다. 마지막으 로 ‘종교 이후의 종교’, 현대 신종교들이 밀려오고 있는데 대한 조사연구 다. 지금까지 우리가 사용해 왔던 기독교중심의 ‘문명종교’라는 개념, 즉 성과 속의 이분법을 중심으로 형성된 종교적인 삶의 틀걸이들이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근대적 신종교와 현대적 신종교간의 연속성과 단절 성을 심층 검토하고, 향후 다양한 신종교들의 전개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한국 신종교의 종교사적 전개
III. 한국 신종교의 종교사적 의의(意義)
IV. 결론: 신종교에 대한 종교사적 연구와 과제
참고문헌
Thesis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