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development of Donghak thought. I have divided Donghak history into two periods, to better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Donghak thought. One is the Donghak period, the other is the Chodogyo period. I researched the first three leader`s (Suun, Haeweol and Uaim) thinking as they were the developers and masters of Donghak Suun, who was the founder of Donghak, received a defining religious experience in April 1860 where he met Hanulnim (God). He then spent almost a year in spiritual training, during which time he scientifically systematized the Tao that he had receive from God. The main thought that developed through the systemization of the Tao was "serving God within me" (侍天主). He revealed that the "post-cosmic creation" (後天開闢) was based on this concept of "serving God within me" which would create a new system of life. He also revealed the "keep a good mind and have a right spiritual force" (守心正氣) as the method to reach the "post-cosmic creation" (後天開闢). He also revealed that "incantation" (呪文) was the core of Tao. Therefore he systematized Tao scientifically. Haeweol, who was a second leader of Donghak, practiced the principles of Tao in his life. Haeweol taught us that the daily meal, the sun and the moon, and bird-singing in the forest, are all objects which explain Tao. Also, the family, which consists of a husband and wife, the children, the daughter-in-law, and even the problems between a husband and wife are also an explanation of Tao; as are sacrificial rites and practical ethics, and every part of ordinary life. Haeweol`s desire was to change an ordinary life into a holy life through practice of Tao. Haeweol wanted to build a life of new dimension on the earth through a holy life, and to open the new post-cosmic creation in our life. Uaim, who became the third leader, studied Tao under the tutelage of Haeweol, Due to the incursion of Western society, Uaim changed Donghak, which means Eastern Learning, to Chondogyo, which means The Heavenly Way. Political and social upheaval in those days demanded a new way of thinking. Uaim incorporated Western religious methods of worship, creating a new systematized way of practicing Tao religious doctrine. He changed the ancient Tao philosophy into a Western style religion. It follows Western system and order on the outside, but maintained the original religious beliefs of Tao on the inside. This resulted in Tao spreading out into ordinary life, and becoming a major religion. While on the outside it may appear that he changed Donghak`s thought, this is not true. It is instead, a positive change in the practice of Tao in keeping with the changing times(用時用活).
한국어
본 논문은 동학사상의 전개를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동학사상의 역사적 전개를 살펴보기 위하여 먼저 동학의 시대와 천도교의 시대로 나누었다. 그러므로 동학의 가르침을 편 스승들인 수운, 해월, 의암의 동학사상 전개의 특징을 찾아보고자 했다. 동학을 창도한 수운은 경신년 결정적인 종교체험 이후 일년 가까운 시간을 수련을 하며 보낸다. 그러므로 자신이 받은 도를 학문적으로 체계화한다. 수운은 도의 학문화를 통해 ``시천주``를 중심사상으로 삼는다. 이 시천주를 근거로 새로운 차원의 삶을 이루고자 하는 ``후천개벽사상``을 세상에 내놓는다. 아울러 후천의 세상에 이르기 위한 수도법인 ``수심정기``와 도의 요체를 이루는 ``주문``을 내놓는다. 그러므로 이들을 통해 자신의 도를 학문적으로 체계화시켜 나갔다. 수운으로부터 도를 전수받고 동학의 2세 교주가 된 해월은 ``도의 생활화``를 꾀하게 된다. 일상 속에서 우리가 매일 같이 먹는 ``밥``에서부터, 하늘에 떠 있는 ``해와 달``, 그리고 숲속에서 우는 ``새소리``까지, 모두를 자신의 도를 펴는 대상으로 삼게 된다. 또한 한 가정의 구성원을 이루고 있는 며느리에서 어린아이, 또 부부의 문제, 조상에게 행하는 제사, 나아가 생활 속에서 실행하는 실천윤리까지 모두 도를 설명하는 대상으로 삼게 된다. 해월이 꾀하였던 ``도의 생활화``는 우리의 일상 속에 도를 실천하므로, 우리의 속화된 일상을 성화(聖化)된 삶으로 이끌고자 하는 데에 그 본의가 있다. 즉 해월은 ``일상의 성화``를 통해 차원을 달리하는 삶을 이 지상에 이룩하므로, 새로운 후천의 세상을 우리의 삶 속에 열어가고자 노력했던 것이다. 해월로부터 도를 받아 동학의 3세 교주가 된 의암은 동학의 시대를 접고 천도교의 시대를 새롭게 연 인물이다. 이는 곧 당시 처해 있던 시대의 요청에 의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의암은 서구적 종교의 제도를 받아들이므로 체제를 정비하고, 또 교리를 체계화시키므로 ``도의 종교화``를 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도의 종교화``는 그 외양상 서구의 제도와 체제를 따르고 있지만, 실상 그 내면적으로는 수운과 해월이 견지해 오던 자력적 신앙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데 주력을 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동학의 스승들이 펼친, ``도의 학문화``, ``도의 생활화``, ``도의 종교화``는 단순한 동학사상의 시대적 변천만은 아니라고 본다. 즉 용시용활(用時用活)에 의한 시대적 적용의 적극적인 모습이었던 것이다.
목차
2. 도의 학문화
3. 도의 생활화
4. 도의 종교화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