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40년대 후반 唯物史家들의 동학농민 운동 인식 - 소위 농민전쟁설의 원형을 찾아서 -

원문정보

The characteristics of recognition on Donghak Peasant Movement by marxist historians in the late 1940’s

1940년대 후반 유물사가들의 동학농민 운동 인식 - 소위 농민전쟁설의 원형을 찾아서 -

오영섭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10호 2005.12 pp.229-28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is supposed to look into recognition on Donghak Peasant Movement by marxist historians in late 1940’s which had a great impact on Donghak Peasant Movement’s studies conducted by scholarly communities i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Japan after the 1950’s. The limi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ndencies of their studies are like the followings. First, marxist historians recognized the occurrence of Donghak Peasant Movement as a feudal society in a developmental stage of Korea. They also thought of it as a peasant riot that broke out in the course of abolishing feudalism and formulating capitalism. This perspective has two positive factors. One is to overcome identity of colonial historians under Japan’s control by emphasizing the existence of feudalism and the other is to provide a newly sight to analyze Korean history in a macro and structural way. Second, marxist historians were the first to apply social and economic sight to the studies of Donghak Peasant Movement. The researchers before the 1940’s tried to find out the reason of Tonghak Peasant Movement from Chosun’s political and religious perspectives. However, marxist historians derived the reason from not only an urgent international situation but also a degraded national one. Hence they argued that peasant war throughout the nation broke out with a link of the organization of Donghak Party. They built their own recogniton of Donghak by linking their accomplishment over Korean economic history with the studies of Donghak Peasant Movement. Third, marxist historians order to attain political purpose, not pursue academic one. They pointed up historical lessons and cause of failure of Donghak Peasant Movement to get practical lessons required in a real life through Donghak Peasant Movement. In other words, they studied it so as to get tactical instructions for completing revolution of proletariat. In South Korea, relic historians studied it to justify violence of Daegu riot led by Namro party, while in North Korea, they utilized it to rationalize Kim, il-sung’s political power as a ideological and educational tool. Fourth, marxist historians studied Donghak Peasant Movement based on class struggle theory implying that every history is made by class struggle. They understood Donghak Peasant Movement as class struggle between exploitative classes which include not only peasants but also the oppressed people, landholders, and corrupt officials. They insisted that the fundamental drive force of Donghak Peasant Movement was peasant, themselves even though peasant troop was made of different classes such as normal peasants, poor peasants, poor civilians, Hyangli, and collapsed Yangban. This perspective is to drive from what subjective will and autonomic behaviors were the one and only factors that could enable social changes and developments in class struggle theory. Fifth, marxist historians called Donhak peasant troop revolutionary peasant one. It shows that relic historians stipulated Donghak Peasant Movement for revolutionary movement by naming them revolutionary peasant troop. To prove reasonability of this argument, the documents left by Donghak peasant troop were supposed to present some characteristics of revolution at least to some extent, however, there was no evidences demonstrating characteristics of revolution in present data. marxist historians chose 12th article in The history of Donghak by Oh Jee young, to verify their arguments, however, it didn’t include land revolution, establishment of democracy and demand for political liberty. Furthermore, there is need to consider that at the time of Donghak Peasant Movement, Korea didn’t accomplish land revolution requiring confiscation of land and its redistribution. Sixth, marxist historians of the late 1940’ in North Korea had an influence on Korean-Japanese historians of the early 1950’ in Japan. They introduced the studies on Donghak Peasant Movement by marxist theory in North Korean scholarly community to Japanese one. Park Kyung sik took on translation of the struggle for independence of Chosun’ peoples and soon published accomplishment of North Korean studies through the thesis, ‘the opening of a country and Gabo Peasant War’. In this thesis, he stipulated the characteristics for anti-colonization and anti-feudalism. Kang Jae en released a thesis, titled in ‘the Collapse of Feudalism and Peasant War in Chosun’. He argued that Donghak Peasant Movement was the riot against feudalism and colonization by demanding thorough reform by peasants, themselves. This interpretation was to accept research methodology and accomplishment of marxist historians without filtering. Furthermore, it’s outstanding that Korean-Japanese scholars had great impact Japanese and Korean scholars.

한국어

이 논문은 1950년대 이후 남한․북한․일본 학계의 동학농민운동 연구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 1940년대 후반 유물사가들의 동학농 민운동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그들의 연구경향에 나타난 특징과 한 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물사가들은 동학농민운동 당시의 한국사의 발전단계를 봉 건사회로 인식하였다. 그들은 동학농민운동은 봉건제를 타파하고 자 본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농민전쟁이라고 보았다. 이 해석 은 두 가지의 긍정적 측면이 있었다. 하나는 봉건제의 존재를 강조함으로써 일제 식민사학자들의 정체성론을 극복하려는 것이었다. 다른 하나는 한국사를 거시적․구조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시 각을 제공한 것이었다. 둘째, 유물사가들은 동학농민운동 연구에 사회경제사적 시각을 최 초로 적용했다. 1940년대 이전의 동학 연구자들은 동학농민운동의 발생원인을 조선의 정치 종교 등 국내적 요인에서 찾았다. 그러나 유물사가들은 동학농민운동의 발생원인으로서 급박한 국제정세와 부 패한 국내정세를 중시하였다. 나아가 각지에서 발생한 민란들이 동 학의 조직과 연결되어 대규모의 농민전쟁이 벌어졌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한국경제사에 대한 자신들의 연구성과를 동학농민운동 연구에 접목시켜 특유한 유 물사관적인 동학농민운동상을 정립했다. 셋째, 유물사가들은 학문적 진리추구를 위해서가 아니라 정치적 목적달성을 위해 동학농민운동을 연구했다. 그들은 현실에서 필요한 실천적 교훈을 얻으려는 동기에서 동학농민운동의 실패 원인과 역사 적 교훈을 특별히 강조했다. 즉, 그들은 피압박 대중의 혁명완수를 위한 전술적 교훈을 얻고자 동학농민운동을 연구했다. 남한에서 유물사가들은 남로당의 대구폭동의 폭력성을 정당화하기 위해 동학농 민운동과 3ㆍ1운동을 연구했다. 북한에서 유물사가들은 김일성정권 의 권력장악을 합리화하는 사상적․교육적 도구로서 동학농민운동을 서술했다. 넷째, 유물사가들은 계급투쟁론에 입각하여 동학농민운동을 연구 했다. 그들은 동학농민운동을 농민을 중심으로 하는 모든 피압박 대 중과 지주 및 貪官을 포함한 봉건적 착취계급간의 계급투쟁으로 보 았다. 그들은 농민군은 농민ㆍ빈농ㆍ도시빈민ㆍ吏屬․몰락양반 등 상호 이질적인 계급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농민전쟁의 기본적 추진력은 무엇보다 농민이었다고 강조하였다. 이는 노동자ㆍ농민을 기본 계급으로 설정하고 이들의 주체적 의지와 자주적 행동에 의해서만 사회의 변화․발전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계급투쟁사관에 의한 것 이었다. 다섯째, 유물사가들은 동학농민군을 혁명적 농민군ㆍ인민의 혁명 군․혁명군 등으로 불렀다. 동학농민군을 혁명군으로 부름으로써 동 학농민운동을 혁명운동으로 규정한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주장이 타당성을 얻으려면 동학농민군이 남긴 문서에서 혁명적 성격이 나타 나야 한다. 그러나 현존하는 일차 자료들에는 농민군의 혁명성이 분 명히 나타나지 않는다. 유물사가들은 동학사 의 12개조 개혁안의 혁명성을 강조하지만, 거기에는 토지혁명의 구호와 민주정권 수립과 정치적 자유 요구 등이 실려 있지 않았다. 아울러 동학농민운동 당 시 한국에서는 아직 토지의 전면 몰수와 재분배를 요구한 토지혁명 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사실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1940년대 후반 북한의 유물사가들의 연구성과는 1950년 대 전반에 일본의 재일동포 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북한학계의 유물사관에 입각한 동학농민운동 연구성과를 일본학계에 소개했다. 북한학계의 연구성과를 최초로 일본에 소개한 박경식은 동학농민운동의 성격을 반식민지ㆍ반봉건 운동으로 규정했다. 강재 언은 동학농민운동은 농민을 주체로 하는 혁명세력이 철저한 개혁을 요구함으로써 민족과 농민의 해방을 위해 싸운 반식민지․반봉건 투 쟁이었다고 주장했다. 이런 해석은 이후 일본학계 및 남한학계의 동학농민연구에 튼 영향을 미쳤다.

목차

1. 머리말
 2. 1920~1930년대 동학농민운동 연구경향
 3. 1940년대 후반 유물사가들의 동학농민운동 인식
  1) 全錫淡의 동학농민운동 인식
  2) 李淸源의 동학농민운동 인식
  3) 金斗鎔의 동학농민운동 인식
 4. 맺음말: 유물사가들의 동학농민운동 연구의 특징과 영향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오영섭 Oh, Young-sob. 연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1,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