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아시아 종교의 근대성과 변혁사상 - 천리교, 배상제교, 동학의 근대체험 -

원문정보

Modernity and Revolutionary Thought in East Asian Religions : Modern Experiences of Tenrikyo, Donghak, and Worshippers of God

임태홍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10호 2005.12 pp.107-14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modernity and the revolutionary thought in the East Asian religions through analyzing the thoughts in Tenrikyo(天理敎), Donghak(東學), and Worshippers of God(拜上帝會). The writer expecially focuses the consciousness of the modernity in the religious bodies, and discuses the modernity and the revolutionary thought of the religions. The consciousness of the modernity, in other words is that the religious members realize the dawn of a new era. Tenrikyo, the Japanese new religion which was greatly affected by the traditional folk belief, protested to the Meiji government not to subject to the National Sinto(神道) system. However, it finally was dominated by the government religious policy. There were two reasons why the Tenrikyo could not powerfully protest to the government. One was that the Meiji government’s political power was too strong for the body to protest. The other was that the supreme god of Tenrikyo itself had the tendency to admit the High God of the National Sinto system, or Amaterasu Omikami which is the Sun Goddess of Denno(天皇)’s Ancestor. This characteristic tendency produced the mild reform thought. Donghak, the Korean new religion, basically received the Catholic’s concept of the supreme God. Also the God of Donghak was affected by the traditional belief such as demon as well as the Great Absolute, the High Being of confucianism. Into the colonial era, Donghak, renamed to Tendokyo, presented the new conception of God. That is “Man is God(人乃天)”, which is seems to have received the idea of “Denno is God” in the National Sinto system of Japan. This view of God produced the revolutionary thought, or the Creation(開闢) thought. To tell the truth, “the Creation” could not be a revolutionary thought, because it is not the reformation by the mankind, but by the God’s power. However into the new ear, man cannot be avoided reforming the society. In this meaning, “the Creation thought” also become a revolutionary thought. Merely, the feature of the thought is that there is a tendency of avoidance. It avoids the clash between man and society, and between you and me, because it gives the message that only God makes a change. Worshippers of God worshiped the God of Protestant as their supreme God. lt was, however, also a little effected by the traditional religious belief. Because of having faith in the same God, Hung Xiuquan, the founder of the Worshippers of God, regarded the Westerners as his friends. On the other hand, the imperial court of Qing was considered as a group of devils which were must be destroyed by Hung and his troops. This sort of thought, afterwards, developed to the revolutional movement. Like above, the leaders of the East Asian religions regarded the age they lived in as the entirely different one in the world’s long history. And so, they hoped to reform their own societies. This kind of conception can be said to be the consciousness of the modernity. Such a consciousness, although various in the strength and appearance of social movements according to the social circumstances, was developed to the reform movement of modern times.

한국어

이 글은 천리교, 동학, 배상제교를 통해서 동아시아 종교의 근대 성과 변혁사상을 살펴본 것이다. 여기에서는 ‘새로운 시대가 되었다’ 라는 자각을 ‘근대성의 자각’이라 하여 동아시아 종교의 근대성과 변 혁사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천리교는 서양 기독교 신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고 일본의 민간 신앙적인 성격이 강했다. 명치정부가 들어서면서 국가신도체제에 편 입되지 않고자 저항을 하기도 하였으나, 결국은 예속되어 정부에서 마련한 종교정책을 따르게 되었다. 이것은 근대화된 명치정부의 강 력한 힘에 의한 것이기도 하지만 천리왕명이라고 하는 신 자체가 지 닌 태생적인 한계에서도 기인한 것이었다. 이러한 경향을 현실적으 로 종교단체가 실현 가능한 범위 내에서의 개혁사상으로 표현되었다. 배상제회의 황상제는 본질적으로 서양 기독교의 신 ‘여호와’ 그 자 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중국의 전통적인 신관념에서 완전히 벗어 난 것은 아니었다. 홍수전은 서양의 여러나라를 친구의 나라로 보고 청나라 조정은 요마의 무리들로 인식하고 타도해야할 대상으로 보았 다. 이는 황상제의 아들인 홍수전과 염라요의 아들인 청나라 천자와 대립관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관념은 결국 혁명사상으로 발전되고 급기야 반란으로 치달았다. 남경에 세워진 태평천국은 그러한 결과 였다. 동학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서양 천주교의 신을 바탕으로 신관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그 위에 성리학적인 신관념도 수용하여 독특한 신관을 형성하였다. 천도교시기에 한반도가 일본의 식민지로 변하자 천도교는 ‘인내천’의 사상을 내세워 새로운 변신을 꾀하였다. 개벽사 상은 본질적으로 세상과 시대, 나아가 우주가 저절로 바뀌는 것이다. 그러나 개벽사상은 「검결」에 나타난 사상과 함께 더 큰 의미로 생각 해보면 새 시대를 맞이한 사람들의 분발을 촉구하는 사상이기도 하 다. 그런 점에서 변혁의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개벽사상은 ‘하늘님’이 타자와 맞서고 있는 상황에서 ‘세상이 바뀐다’고 하는 구 호는 타자와 자아사이의 치열한 대치관계를 무력화시키는 효과가 있 다. 갈등을 ‘회피’함으로써 갈등을 해소하는 방법이다. 동아시아 근대의 종교지도자들은 자신들이 사는 시대를 지금까지 와는 전혀 다른 역사적인 시기로 보고 자신이 처한 사회현실을 바꾸 거나 또는 그 현실이 바꿔지기를 기원하였다. 이러한 인식이 바로 근대성의 자각으로 발전되고 그러한 자각은 각 사회마다 그 강도나 모습에서 차이는 있지만 근대의 변혁운동으로 전개되었다.

목차

1. 머리말: 근대성과 변혁사상
 2. 자아의 형성
  1) 천리교의 자아-천리왕명의 형성
  2) 배상제교의 자아-황상제의 형성
  3) 동학의 자아-하늘님의 형성
 3. 도전으로서의 타자
  1) 천리교의 경우-태양신
  2) 배상제교의 경우-염라요
  3) 동학의 경우-태극, 천주, 태양신
 4. 응전으로서의 변혁사상
  1) 천리교의 개혁 사상
  2) 배상제교의 혁명 사상
  3) 동학의 개벽 사상
 5.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태홍 Lim, Taihong.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