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원불교의 근대성과 변혁사상

원문정보

The modernity and revolution-thought in Won-Buddhism

김방룡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10호 2005.12 pp.81-10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 dealt with the modernity and the revolution-thought in Won-Buddhism in this paper. Won-Buddhism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national religions. First of all, I studied on the modernity of Korea and the discussions of revolution-thought. And I considered the meaning of them in the period of appearance of national religions. It involved consideration from the interrelationships of premodernity, modernity and demodernity. The revolution-thought should have stressed on the subject, the object and the character of revolution. In the angle of modernity, Won-Buddhism showed concrete looks as a modern religion than any other national religions. Especially there were modern appearance of Won-Buddhism in its doctrine, its spirit of the times, its method of propagandism and ceremony. Its revolution-thought was appearanced directly in its slogan, ‘As material civilization develops, cultivate spiritual civilization accordingly’. And that thought was showed in ‘principles by which the inferior and superior can progress’ and ‘the diseases of society and the treatments’. The modernity and revolution-thought of Won-Buddhism was emphasized on the self-sacrificing religious experience and practice not on the method of direct resistance and fighting in the state of colony and division. This method of Won-Buddhism had become an successful model in Korean modern national religion. Nevertheless nowadays the modern value system of Won-Buddhism and other national religions are criticized by the demodern value system. I think that it had partly limitations by unfolding passive resistance in that times.

한국어

본고는 근대의 대표적인 민족종교 중의 하나인 원불교의 근대성과 변혁사상을 다룬 논문이다. 먼저 한국의 근대성과 변혁사상의 담론을 살펴보고 민족종교의 출현기에 있어서 근대성과 변혁사상이 지닌 의 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전근대와 근대 그리고 탈근대의 맥락에서 ‘근대성’이란 의미를 살펴야 하며, 또한 변혁사상이란 변혁의 대상과 변혁의 주체 그리고 변혁의 성격을 분명히 해야 함을 강조하다. 근대성에 있어서 원불교는 여타의 민족종교 보다 근대적 종교로서 의 구체적인 모습을 띠었다. 특히 교리, 시대인식, 포교방법과 의례 등의 모습에서 원불교의 근대적 성격이 두드러짐을 밝혔다. 원불교 의 변혁사상은 ‘물질이 개벽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개교표어를 통 하여 단적으로 드러나듯이 사회의 변혁사상을 표출하고 있다. 그리 고 구체적으로 ‘강자 약자의 진화상 요법’과 ‘병든사회와 그 치료법’ 등을 통하여 드러나고 있음을 밝혔다. 원불교의 근대성과 변혁사상은 식민지와 분단의 상황에 있어서 직 접적인 저항과 투쟁의 방식이 아닌 내적이고 자기희생적인 종교적 체험과 실천을 강조하여 왔다. 이러한 원불교의 방식은 한국의 근대 민족종교로서 성공한 하나의 모델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원불교는 다른 민족종교와 함께 근대성인 가치지향이 탈근대적인 가치체계에 의하여 비판을 받고 있으며, 변 혁 또한 시대에 맞추어 적극적인 방식으로 전개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일정한 한계를 노정 시키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목차

1. 시작하며
 2. 근대성과 변혁사상
 3. 원불교의 근대성
 4. 원불교의 변혁사상
 5. 결론: 원불교의 근대성과 변혁사상의 의의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방룡 Kim, Bang-ryong.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