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민중종교에 드러난 유가적 윤리관과 그 사상적 의미 - 동학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Ideal Significance of Confucian Ethics in Popular Religi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장숙필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9호 2005.06 pp.365-39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researches how Confucian ethics, a dominant value system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functioned ideologically in popular religions. In general, studies on popular religions in the late Joseon era have been investigated into these aspects: interrelating to characterizing modernity, customary thoughts, and ideological features of the overall fusion of three religions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owever, this research is focusing on articulating the role and function of Confucianism in popular religions, especially Donghak(Eastern Learning). It deliberates the significance of Confucian ideologies as to why they accepted Confucianism as their ethical system despite criticism and surmount on the prevailed ChuHsi's Neo-Confucianism, political and social systems. First, I explained the foundations of popular religions and the social backgrounds from which they arose. I discussed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popular religions, which were highly linked with Joseon's circumstances. I clarified the reasons why they advocated their national awareness and resisted western impacts. Suggesting causes of its occurrence of Donghak, I surveyed that SooUn(水雲) tried to point out the fallaciousness of western religions and the attempts to overcome western invasions within religious standpoints. He also struggled to show his criticism for foreign religions and the superiorities of conventional Confucian ethics. Through this process, this paper reviewed how Confucianism,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functioned as a predominant factor and provided reasons for its exclusiveness against western forces.

한국어

본고는 조선조의 지배적인 가치체계였던 유가사상의 윤리의식이 조선후기의 민중종교 속에서는 어떤 사상적인 기능을 하고 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후기의 민중종교를 논할 때 그들이 가진 근대성의 측면에 촛점을 맞추거나, 아니면 사상적인 특징으로 서의 삼교융합적인 측면, 혹은 그들이 가진 우리 고유사상의 측면을 확인하려는 것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 는 그와 달리 조선조 유가사상의 입장에서 유가사상은 민중종교에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과 기능을 담당했는가를 동학을 중심으로 고찰 한 것이다. 그리고 그들이 기존의 주자학, 혹은 기존의 정치․사회 체제에 대한 비판과 극복에도 불구하고 유가윤리를 수용한 이유를 밝힘으로써 조선후기 유가사상이 갖는 의미를 확인하고자 한 것이 다. 이를 위해 먼저 민중종교가 성립된 시대․사회적인 배경을 검토하 였으며, 다음으로 그들의 사상적 특징을 시대상황과 연계하여 검토 함으로써 그들이 민족의식과 외세에 대한 대항의식을 갖게된 이유를 밝혔다. 다음으로 동학발생의 시대배경과 그들의 문제의식을 검토하 여 수운이 특히 서교의 도전과 서교를 앞세운 서양의 침략을 극복하 기 위해 서교에 대한 종교적인 측면에서의 비판과 더불어 전통적인 유가윤리를 근거로 하여 우리의 우월성을 제시하고 동시에 서교의 오류를 지적하고 있는 점을 밝혔다. 그리고 이를 통해 조선후기의 유학사상은 그들의 윤리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우리의 우월성과 자부 심 및 외세배격의 근거로서 작용하는 적극적인 기능을 발휘하고 있 음을 확인하였다.

목차

1. 서론
 2. 민중종교 성립의 시대적 배경
 3. 민중종교의 사상적 특징
 4. 동학의 문제의식과 유가윤리의 수용
 5. 유가윤리 수용의 사상적 의미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숙필 Jang, Sookpil. 고려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