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東學 神觀의 再檢討 -수양론적 관점에서 본 신관

원문정보

Reconsidering of the Idea of God in Donghak

동학 신관의 재검토 - 수양론적 관점에서 본 신관

김용휘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9호 2005.06 pp.331-363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jority of researchers have concluded that the idea of God in Donghak(東學) has 'changed' throughout the history: The idea of God initially suggested by Choe Cheu(崔濟愚, 1824-1864) was rather anthromorphic in its character. Choe Sihyung(崔時亨, 1824-1898) interpreted the general idea into panpsychism. Later Son Byunghee(孫秉熙) consolidated the idea into the notion of 'innaecheon(人乃天)' which leaves little part for anthromorphism. The idea went through change of less anthromorphic aspects and more internal characters. This point of view seems to put too much stress on the theology of Donghak. It overlooks the religious practice and the art of self cultivation which play more significant roles in the system of thought. The main inquiry of Choe Cheu and his successors was not about 'what is the divinity(神, 天)', rather about 'how to worship and enshrine the divine'. In other words, the main focus of the inquiry was how to establish the right relationship with god for the purpose of a self elevation. The interest was not a mer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God. Therefore theological approach to the matter is inevitably inappropriate. I think we should shift the focus to the aspects of self cultivation. It would give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 idea of God in Donghak. Taking self cultivating aspects into account, to say the whole transition of the idea as a ‘change’ seems too oversimplifying. There is much more significance running deeper underneath. The anthromorphic God of Choe Cheu did not just change to the panpsychic God of Choe Sihyung, and also 'innaecheon(人乃天)' of Son Byunghee can not be just summed up as a deanthropomorphication of the idea. From the self cultivative point of view, the doctrine of innaecheon is not just the new notion for God, rather it is the disciplinary method of 'the elevation of one's own nature(以身換性)'. The doctrine is not just the introduction of new idea that Human is God so that there is no other divinity to serve other than humanity, but also it is a positive and active conduct for the humanistic practice of religion and the self nourishment. One should not lead his life in the dependent belief of some external divinity or even the blind pursuit of material wellbeing. One should change it to the life of the self-oriented holy spirit. This is what the doctrine wants to suggest. The theological change is not just a change in theory. It is actually a shift of the emphasis on the relation between divinity and humanity, and also a suggestion for better self cultivation.

한국어

수운에서 의암까지의 天(神)에 대한 관념은 일면적이지 않다. 또 한 한 사람 안에서도 그 수도의 단계에 따라 천에 대한 이해가 달라 졌다. 그래서 하나의 신관으로 그 시대를 규정할 수도 없고, 누구는 무슨 신관이었는데, 이후에 이렇게 바뀌었다고도 말하기 어렵다. 결 국 수도의 단계에 따라, 또한 수도의 중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서 天에 대한 이해가 달라졌고, 天과의 관계 설정이 달라졌다. 그러므로 동학 신관이 외형적으로나마 변했다는 파악되는 것은 실 상 신관의 변화가 아니라 천(신)과의 관계의 변화, 천인관계의 변 화, 다시 말해서 수도와 신앙의 강조점이 변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 다. 전반적으로 볼 때, 초기의 타력적 신앙과 신비체험을 중시하던 데서, 해월 이후에는 자력적인 수도와 자각을 강조하며, 이에 따라 서 초월적이고 인격적인 하늘님에 대한 관념에서 나의 마음에서 하 늘을 찾아야 한다는 관념으로 진행되는 것만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 것을 동학 신관의 변천으로 이해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렇게 동학의 신에 대한 담론은 ‘신을 어떻게 이해할 것이냐’가 아니라, ‘수도와 신앙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수양론적 관점에서 논의될 때 제대로 그 의미를 파 악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수운의 신관
 3. 해월의 신관
 4. 의암의 신관
 5. 나가는 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용휘 Yong Hwi Kim. 고려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