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학의 정치철학적 원형과 리더십론

원문정보

The Politico-Philosophical Prototype of Donghak and Its Leadership

최민자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9호 2005.06 pp.105-188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litico-philosophical prototype of Donghak based upon the logic of "bulyongiyon"(不然其然, not being so, and yet being so) and the morality of "sicheonju"(侍天主, bearing God within) through Cheonbugyeong, Samilsingo, and Chamjeongyegyeong which are scriptures native to our Korean nation, and at the same time to illuminate Donghak's leadership from the viewpoint of eco-politics. The reason we seek for the politico-philosophical prototype of Donghak in those three scriptures is that the principle penetrating the logic of "bulyongiyon" and the morality of "sicheonju" which could be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Donghak accords with the principle of an eternal "One" which is the nucleus of those three scriptures. This principle of an eternal "One" also penetrates Donghak's leadership, and to illuminate this from the viewpoint of eco-politics is the self-negation of modern civilization based upon the Cartesian formulation of the spirit/matter dualism and at the same time connotes 'paradigm shift' in that it is connected with overcoming modern historical and social conditions caused by human-centered doctrine. It is not difficult to find that our people's political ideas and national founding ideas expressed in those three scriptures are focused on the educational function of politics. This represents our national forefather's will to brighten one's mind and the world and thus to realize the idea of an earthly paradise through building up each person's moral character. The idea of Donghak parallels to our national founding ideas in that it stresses the true practices of cosmic 'One life' together with establishing spiritual identity by facing up the cosmic nature that is omnipresent in all things and the organic nature of life and its penetration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jigi"(至氣, ultimate energy). In a word, the logic of "bulyongiyon" and the morality of "sicheonju" reveal their true character when followed by self-awakening practice. Unlike Seohak that led to breaking off the relation between the three realms of God, world and soul(heaven, earth and man) which are the three central axis of human existence, Donghak's leadership based upon "cheondo"(天道, the heavenly Tao) and "cheonduk(天德, the heavenly virtue) urges all people to be the autonomous and self-awakening subject of "sicheonju" and thus switchover to the impartial horizontal society. That could be realized just through divinitics. Donghak equally sets up all people as the self-awakening subject of "sicheonju" and assumes the rational allotted role system in accordance not with status but with capability and moral quality, and thus makes way to true participatory democracy. Donghak's leadership is not simply strategy or skill which strengthens the linear structure of rule and obedience, and also is not to be a passage for power and wealth in any sense. Donghak's leadership based upon the morality of "sicheonju" enables to establish sustainable community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piritual dimension of one's existence. This is the very reason why the necessity of illuminating Donghak's leadership arises.

한국어

본 연구는 불연기연의 논리와 ‘시천주’ 도덕에 입각해 있는 동학의 정치철학적 원형을 우리 민족 고유의 경전인 천부경 과 삼일신고 그리고 참전계경 을 통해 살펴보고 아울러 동학의 리더십을 생태정 치학적 측면에서 조명하기 위한 것이다. 동학의 정치철학적 원형을 천부경 과 삼일신고 및 참전계경 에서 찾는 까닭은 동학의 철학 적 토대랄 수 있는 불연기연의 논리와 ‘시천주’ 도덕을 관통하는 원 리가 천부경 과 삼일신고 및 참전계경 의 중핵을 이루는 영원한 ‘하나(一)’의 원리에 닿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영원한 ‘하나(一)’ 의 원리는 또한 동학의 리더십을 관통하고 있으며 이를 생태정치학 적 측면에서 조명해 보는 것은 인간 중심주의가 초래한 근대의 역사 적・사회적 상황의 초극과 관련된 것이라는 점에서 데카르트의 정신・물 질 이원론에 입각한 근대 문명의 자기 부정인 동시에 ‘패러다임 전환 (paradigm shift)’을 내포하는 것이다. 천부경 과 삼일신고 그리고 참전계경 에 나타난 우리 민족의 정치이념과 건국이념은 정치의 교육적 기능에 그 초점이 맞춰져 있 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개개인의 도덕적 인격의 완성을 통해 마음을 밝히고 세상을 밝혀서 재세이화의 이념을 구현하려는 우리 국조의 의지가 표출된 것이다. 동학의 이념 또한 만물에 편재해 있는 우주 적 본성과 지기(至氣)로 이루어진 생명의 유기성 및 상호관통을 직 시함으로써 영적 일체성의 확립과 더불어 우주 ‘한생명’에 대한 진정한 실천을 강조하고 있 다는 점에서 우리의 건국이념과 그 맥을 같이 하는 것이라 하겠다. 한마디로 불연기연의 논리와 ‘시천주’ 도덕은 자각적 실천이 수반될 때 그 진면목이 드러나는 것이라 하겠다. 동학의 리더십은, 인간 존재의 세 중심축이랄 수 있는 신과 세계 와 영혼의 세 영역(天地人 三才)의 연관성 상실을 초래한 서학과는 달리, 천도(天道)와 천덕(天德)에 입각하여 만인이 ‘시천주’의 자율 적이고도 자각적인 주체로서 평등무이한 수평사회로의 전환을 촉구 한다. 그것은 바로 디비너틱스(divinitics)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동학은 만인을 ‘시천주’의 자각적 주체로 평등하게 설정하고 신분이 아닌 능력과 도덕적 자질에 따른 합리적인 역할 분담 체계를 상정하고 있으므로 해서 진정한 참여민주주의로의 길을 열어놓고 있 다. 동학의 리더십론은 단순히 지배-복종의 단선적 구조를 강화시 키는 전략이나 기술이 아니며, 또한 그 어떤 의미에서도 권력과 부 (富)에 이르는 통로가 될 수 없다. 동학의 리더십은 ‘시천주’ 도덕에 기초하여 생존의 영적 차원의 중요성을 인식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공 동체를 건설할 수 있게 한다. 오늘날 동학 리더십론에 대한 재조명 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목차

1. 序論
 2. 東學의 政治哲學的 原型의 論議 背景
  1) 傳統과 近代 그리고 脫近代의 辨證法
  2) 東學의 道德觀과 超國家的 發展패러다임
 3. 東學의 政治哲學的 原型과제2의 르네상스ㆍ제2의 宗敎改革
  1) 『天符經』ㆍ『 三一神誥』ㆍ『 參佺戒經』에 나타난東學의 政治哲學的 原型
  2) 永遠한 ‘하나(一)’의 原理와 제2의 르네상스ㆍ제2의 宗敎改革
 4. 東學의 리더십論과 政治實踐的 課題
  1) 東學 리더십의 生態的 本質과 統治의 正當性
  2) 東學 리더십論의 政治實踐的 課題
 5. 結論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민자 Choi, Min-Za. 성신여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