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수운과 원효의 존재론적 통일사상

원문정보

The Existential Thought of Unification of Suwoon & Wonhyo

최민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ature of Wonhyo's thought based upon the logic of “hwajaeng”(和諍, harmonization) and Suwoon's thought based upon the logic of “bulyongiyon”(不然其然, Not being so, and yet being so) from the viewpoint of the principle of unity and equality, and at the same time to explore the existential implicit meaning of their thoughts in the context of the great transition of civilization. Just as the logic of harmonization is founded on the theoretical system of synthesis of “ibyunbijung”(離邊非中, ‘ibyunbijung’ is neither that which is existence, nor that which is non-existence, nor that which is at once existence and non-existence, nor that which is not at once existence and non-existence) transcending a duality, so the logic of “bulyongiyon” being represented as “Innaecheon”(人乃天, human being is God) makes revealing a basic oneness of the universe through “sicheonju”(侍天主, human being bearing God within) the essential point. How, then, are their thoughts closely connected with the principle of unity and equality? The key to this question lies in their cognizance of the monism of immanence and transcendence, substance and operation. In Wonhyo's case, such a cognizance is revealed lucidly in his Daesung Gishin Non So(大乘起信論疏, The Commentary on the Treatise of Awakening Mahayana Faith) in which he clarifies that there is no real existence except “ilsim”(一心). He views “ilsim”, being undivided and undifferentiated “suchness”(眞如, tathata), as the law of Mahayana(大乘). The true mind as “suchness”, due to its being the subject of “wonjunghwaetong”(圓融 會通, total interpenetration) and of “hwajaeng”, is the root of all virtuous deeds and the source of peace and happiness. Here lies the very reason that he stresses the need of “guiilsimwon”(歸一心源, returning to the origin of the true mind). In Suwoon's case, his cognizance of the monism of immanence and transcendence, substance and operation is revealed lucidly in his concept of “si”(侍), being the cardinal point of “Innaecheon”, by which threefold meaning evolves, the meaning of which is “naeyusinlyung”(內 有神靈, the inner sense of the presence of the divine spirit, “Hanulnim”), “yoeyugiwha”(外有氣化, the outer sense of the functioning of the “jigi”[至氣, ultimate energy] of “Hanulnim”) and “gakjibuli”(各知不移, all being aware and not moving from it). That is to say, what is meant by “si” is to perceive the divinity of human being and the organic nature of life and thus to be living in accordance with the voice of a true being, namely “Hanulnim” who dwells within. Seen from this perspective, the philosophy of “si”, the nature of which is the organic unity of the universe and human, and of human and human, assumes the oneness of the totality of all things, the great all-including whole, the substance of which is consciousness, the nature of which is life and the progressive direction of which is spiritual evolution. Thus when we are awakened to our divinity within, we come to be aware of the unity and mutual interrelation of immanence and transcendence, individuality and totality; of the experience of all phenomena in the world as manifestations of the same ultimate reality; and then ultimately reach the final apprehension of the unity of all things, a state of consciousness where one's individuality dissolves into an undifferentiated oneness, where the world of the senses is transcended and the notion of 'things' is left behind. As Suwoon pointed out, in his Non Hakmun(論學文), that 'the Tao is the same but reasoning is not'(道則同 理則非), the Tao of Suwoon and that of Wonhyo are also the same but their reasoning is not. Through the process of interpenetrating the nature of thoughts of Suwoon & Wonhyo, the true meaning of their thoughts could be clarified. To put it concretely, those are as follows: Suwoon's “sicheonju” ethics and Wonhyo's Mahayana ethics; Suwoon's “osimzekyehsim”(吾心卽汝心, the mind of God is the mind of human being) and Wonhyo's “ilcheyusimjo”(一切唯 心造, all things are from one mind only); Suwoon's “cheon”(天) and Wonhyo's “ilsim”(一心); Suwoon's logic of “bulyongiyon” and Wonhyo's logic of “hwajaeng” and of “mulijijili bulyonjidaeyon”(無理之至理 不然之大然, the great synthesis); Suwoon's world view of “bulyongiyon” and Wonhyo's ethical view of Mahayana and his world view of causality; Suwoon's “bulyongiyon” and Wonhyo's enlightenment and non-enlightenment; Suwoon's “naeyusinlyung” and “yoeyugiwha” and Wonhyo's “ilsimimun” (一心二門, the aspect of Mind's arising and ceasing<生滅門> and the aspect of Suchness<眞如門>); Suwoon's “susimjeonggi”(守心正氣, keeping the good mind and having the right spiritual force) and Wonhyo's “jihaeng・ gwanhaeng”(止行・觀行); Suwoon's “seonggyung”(誠敬) and Wonhyo's “bosi․jigye․inyok”(布施․持戒․忍辱); Suwoon's “dongguiilche”(同歸 一體, returning to the origin and becoming one) and Wonhyo's “guiilsimwon” (歸一心源). In the era of the 7th century when truth was falling to party politics, Wonhyo elucidated the viciousness of disruption and the righteousness of harmony and thus laid a cornerstone of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through new religious movement and new social movement. In the era of the eastern penetration of Western powers of the 19th century, Suwoon advocated Donghak(東學) and solidifi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modern nation-state building based on the populace from the bottom, with “Bogukanmin”(輔國安民, supporting the nation and comforting the people)․“Podeokcheonha”(布德天下, spreading truth throughout the world)․ “Gwangjechangsaeng”(廣濟蒼生, delivering people everywhere from suffering) as slogans. Universality prevails in the thought of Suwoon and that of Wonhyo, the universality that passes through all ages, that transcends history, and that jumps over the barriers of nation and that of religion. Their thoughts could make us shake off fetters of the times, thoughts and religion, and restore original synthetic function of organism and thus come to be motive power of true historical development. The thought of Suwoon and that of Wonhyo is, in a word, to change human life and the world fundamentally through restoration of human's divinity. Their thoughts are beyond the existing old-fashioned doctrine or philosophy, declares dismantlement of all barriers made by ego. Their thoughts are the declaration of one life of the universe, the proclamation of eternity, the requiem soothing life of illusion, and the divine comedy informing the commencement of true civilization. The divine comedy of Suwoon and Wonhyo may well be the first rank of export items of Korean-made spiritual culture.

한국어

본고는 화쟁의 논리에 기반한 원효사상과 불연기연의 논리에 기반 한 수운사상의 본질을 통일과 평등의 원리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고, 문 명의 대전환기를 맞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들 사상의 존재론적 함의 를 구명하기 위한 것이다. 화쟁의 논리가 이분법적인 사유체계를 초 월하여 ‘이변비중離邊非中’의 즉자대자적 이론체계에 입각해 있듯, 인 내천으로 대표되는 불연기연의 논리 또한 ‘시천주’를 통해 하나(Oneness) 의 진리를 드러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러면 어떻게 이들의 사상이 통일과 평등의 원리와 연결되는가. 그 비밀은 바로 내재와 초월, 본체와 작용의 합일에 대한 인식에 있다. 원효의 경우, 이러한 그의 인식은『대승기신론소』에서 일심 이외에 다른 실재가 있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밝히는 데서 명징하게 드러난 다. 이 진여한 마음을 그는 대승의 법이라고 말하고 있다. 온전히 하 나가 된 진여한 마음은 원융회통의 주체요 화쟁의 주체인 까닭에 일 체의 공덕의 근원이 되며 평화와 행복의 원천이 된다. 그가 ‘귀일심원’ 을 설파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수운의 경우, 내재와 초월, 본체와 작용의 합일에 대한 인식은 인내 천의 요체라 할 수 있는 ‘시侍’가 함축하고 있는 세 가지 의미, 즉 내유 신령・외유기화・각지불이 속에서 명징하게 드러난다. 안으로 신령이 있고 밖으로 기화가 있어 온 세상 사람이 각기 알아서 옮기지 아니한 다는 뜻은 인간의 신성(靈性)과 생명의 유기성을 깨달아 순천의 삶을 지향하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우주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의 유기 적 통일성을 그 본질로 하는 ‘시侍’의 철학은 우주의 실체가 의식이고, 그 본질은 생명이며, 진행 방향은 영적 진화라는 사실을 직시하는 것 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리하여 우리 내부의 신성에 눈 뜨게 되면 내재 와 초월이, 개체성과 전체성이 결국 하나임을 알게 되고, 궁극적으로 우주가 ‘한생명’이라는 사실을 체득하게 됨으로써 여여한 실재에 이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수운이「논학문」에서 ‘도즉동道則同 이즉비理則非’라고 했듯이, 수운 과 원효의 도 역시 하나이나 그 이치를 밝혀냄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것이다. 필자는 수운과 원효 이들 두 사람의 사상의 본질을 회통시키 는 과정에서 이들 사상이 함유하고 있는 진의를 보다 명료하게 읽을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운의 ‘시천주’ 도덕과 원효의 대승 윤리, 수운의 ‘오심즉여심’과 원효의 ‘일체유심조’, 수운의 천天과 원효 의 일심, 수운의 불연기연의 논리와 원효의 화쟁의 논리・‘무리지지리 無理之至理 불연지대연不然之大然’의 논리, 수운의 불연기연적 세계관과 원효의 대승적 윤리관・연기적 세계관, 수운의 불연기연과 원효의 본 각・불각, 수운의 내유신령・외유기화와 원효의 일심이문(眞如門・生滅門), 수운의 수심정기와 원효의 지행・관행, 수운의 성경과 원효의 보시・지 계・인욕, 수운의 동귀일체와 원효의 귀일심원 등이 그것이다. 7세기 진리가 당략으로 전락하던 시대에 분열의 죄악성과 융화의 당위성을 설파함으로써 신종교운동 내지 신사회운동을 통해 삼국통일 의 정신적 초석을 다졌던 원효. 19세기 서세동점의 시기에 동학을 창 도하여 ‘보국안민 포덕천하 광제창생’의 기치를 내걸고 아래로부터의 민중에 기초한 근대적 민족국가 형성의 사상적 토대를 마련한 수운. 수운과 원효의 사상에는 고금을 통하고 역사를 초월하며 민족과 종교 의 벽을 뛰어넘는 보편성이 있다. 이들의 사상은 우리 인류가 시대적・ 사상적・종교적 질곡에서 벗어나 유기적 생명체 본연의 통합적 기능을 회복하게 함으로써 진정한 역사 발전의 동력이 될 수 있게 할 것이다. 수운과 원효의 사상은 한마디로 인간의 신성 회복을 통해 인간의 삶을, 이 세상을 근본적으로 바꾸기 위한 것이다. 그것은 기존의 낡은 교의나 철학을 떠나 있으며, 에고(ego, 個我)가 만들어 낸 일체의 장벽 을 해체할 것을 선언한다. 그것은 우주 ‘한생명’에 대한 선언이요, 영 원에 대한 갈파이며, 미망의 삶을 잠재우는 진혼곡이요, 진정한 문명 의 시작을 알리는 신곡이다. 수운과 원효의 ‘신곡’이야말로 ‘한국산 정 신문화’의 수출 품목 제1위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목차

I. 서론
 II. 원효의 대승적 윤리관과 화쟁사상
  1.『대승기신론소・별기』・『금강삼매경론』・『십문화쟁론』
  2. 원효의 대승적 윤리관
  3. 화쟁의 사상과 그 방법
  4. 일체유심조사상과 회통의 정치이념
 III. 수운의 ‘시천주’ 도덕과 후천개벽 사상
  1. 수운의 불연기연적 세계관
  2. 수운의‘시천주’도덕
  3. 수운의 후천개벽사상
 IV. 수운과 원효의 존재론적 통일사상
  1. 수운과 원효의 인식론
  2. 수운과 원효의 실천론
  3. 문명의 전환과 존재론적 통일사상
 V. 결론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민자 Choi, Min-Za.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3,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