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말 시기 조선에서 서양인이 본 동학운동 - “습격자”인가 “개혁자”인가?

원문정보

Contemporary Western Views on the Donghak Movement - “Marauders” or “Reformers” ?

비온티노 유리안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27호 2013.04 pp.383-42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Korean Historiography, the Donghak Movement remains in the center of scholarly attention, and also non-korean scholars of East Asian History have become aware of pending issues in research about Donghak. One remaining central issue is the very basic issue of how to name the movement. Was it only a rather premodern uprising, or a full-fledged peasant movement? A peasant war? Even a revolution? The question about the name is intrinsically linked to a definition of the movement's character. What started as Jeon Bong-juns attack on the magistrate in Gobu in early January 1894 is now widely considered as the main trigger that lead to the outbreak of the First Sino-Japanese War of 1894-1895. At that time, many foreigners lived and worked in Korea, and thus first-handedly witnessed the “Donghaks“and their movement. There is a rich body of material available by the European-American foreign “Westerner” community that lived in Korea at the time of the Donghak movement or shortly thereafter. Some of the foreigners wrote about their experiences in memoirs, letters or diaries, others published works about Korea that followed a certain scholarly standard. One the one hand, especially the missionaries in Korea, be it the Anglicans, the French Catholics, or the American Presbyterians, had a special interest in the religious character of the Donghaks. Others, be it reporters or travelers, also made up their opinion about recent events. Even though the historical source material is sparse, the foreign ministers to Seoul and their staff also had their opinions and concerns about the movement. In this paper, I used the aforementioned material to find a differentiated and encompassing Western View of the Donghak movement. As a result, it can be shown that the foreigner's accounts share several fixed images about the “Donghaks”. Foremost, most Westerners wondered how people can be as folly to believe to be invulnerable against bullets. Still, there are ruptures in the overall picture as well – some tended to interpret the Donghaks as marauders, fanatics and rebels, while others where quite early able to see the reformist character of the movement.

한국어

이 글은 동학운동이 진행되었던 당시 한반도에 살았거나 다른 일로 인해 한반도와 관계가 있었던 서양인의 자료를 바탕으로, 그들이 바라본 동학운동에 대한 연구이다. 즉, 이 논문은 서양인이 동학의 본질과 성격에 대해 어떻게 인식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오늘의 동학운동의 명칭이나 이슈에 대해 새로운 시야가 열릴 수있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진행되었다. 당시 서양인의 5개 그룹을 기자, 선교사, 학자,외교관, 여행가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그동안 서양인이 당대 동학운동에 대해 커다란 움직임이었음을 잘 알 수 있는 자료를 많이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이 자료들은 주목을 받지 못했었다. 본고는 이러한 자료를 발굴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흥미로운 일화와 왜곡되지않은 동학운동에 관한 언급을 찾아낼 수 있었다. 당시 선교사들은 동학에 대해 종교로써 관심이 있었다. 또 여행가로서 이사벨라 버드 비숍과 몇 명의 서양인들은 동학운동에 대한 소문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해석을 하면서 동학에 대한 새로운 생각을 펼쳐보인 것은 의미있는 지적이라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서양인 기자의 시각
 3. 서양인 선교사의 시각
 4. 서양인 학자의 시각
 5. 서양인 외교관의 시각
 6. 서양인 여행가의 시각
 7.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비온티노 유리안 Juljan Biontino.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