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접근 경로에 대한 연구 - 2009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검정교과서 6종에 나타난동학의 내용과 이미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and Approach Route of Donghak - ocused on the images and contents of Donghak in 6 high school Korean history authorized textbooks revised in 2009

김경진, 임상욱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27호 2013.04 pp.137-16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the opportunities that university students approached and recognized Donghak is and how they recognized the character of Donghak. To achieve this, first, after conducting a survey of 113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 route of the awareness of Donghak, the study analyzes the main route that they approached Donghak and the image of Donghak. Second,this study reviews Donghak-related units of 6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that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that they learned a lot about Donghak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at most of them approached Donghak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Third, this study discusses a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 of Donhak that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and textbook content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outcomes of the titles and contents of Donghak-related un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university students approached Donghak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and had few opportunities of approaching Donghak through media and their surroundings. Accordingly, learning Donghak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is the only way of approaching Donghak. Second, Korean history, Ethics and thoughts and Society are chosen by university students as subjects to learn about Donghak and they responded that Korean history is the subject that contains the most contents about Donghak among these. Third, the percentage of university students who thought that the character of Donghak is not religion but national movement is high. In this regard, the study reviewed Donghak-related contents of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consequently,the narrative of Donghak peasant movement mainly featured the narrative of social and political significance and historical evaluation of Donghak peasant movement rather than the narrative of Donghak as religion. Fourth, the responses to open-ended questionnaire to know about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Donghak considerably corresponded with expressions to emphasize in 6 Korean history authorized textbooks. Most of the responses usually featured the assessments of Donghak peasant movement, leader Jeon bong-jun and the appellation and character related to these, therefore this study can comment that the content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strong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awareness of Donghak. Based on this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results of many preceding research that pointed out the revision of errors of Donhak-related contents on textbooks have to be reflected in real curriculum. Furthermore, expressions and contents of textbooks that have discrepancies in interpretation because of different positions and views need sufficient discussion and considera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동학을 접하고 인식하는 계기가 무엇인지에 대한경로를 살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동학이 처한 위치와 그 의미는 무엇이고, 동학사상 발전을 위해 제안할 수 있는 점은 무엇일 수 있는지에 대한 단초를 발견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대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이들이 동학을 접하는 주요 인식 경로와 동학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고, 둘째, 대다수 대학생이 학교 교과를 통해 해당 내용을 배웠다고 인식하고 있는 고등학교 한국사 6종 교과서의 동학 관련 단원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 결과 및 교과서 단원의 내용 검토를 토대로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동학의 성격과 교과서 내용의 관계를 구명한다. 이로부터 도출 가능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대학생들은 학교 교과를 통해 동학을 접하게 되었으며, 대중 매체나 주변의 지인을 통해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동학을 접할 기회는 거의 없어 교과 내용의 일부로 이들의 기억에 남아 있는 지식이 동학을 이해하고 인식하는 거의 유일한 접근 경로라는 점이다. 대학생들은 동학 관련 내용을 배우는 교과목으로 한국사, 윤리와 사상, 그리고 사회 과목을 꼽았으며, 이중 한국사에서 가장 많은 내용을 배웠다고 응답하였다. 이로부터, 둘째,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동학 관련 내용은 한국사 교과의 지식 형태로학습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대학생들은 동학의 성격을 종교보다는 민족 운동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이다. 이는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동학 관련 내용이 종교로서의 동학에 대한 서술보다는 동학농민운동이 지니는 사회·정치적 의의와 역사적 평가가 서술 내용의 주류를 이루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19세기 열강의 침략이 강화되던 시대적 상황에서 전개된 동학도의 전국적 움직임은 특정 종교가 아닌 민족적 차원에서기술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사 교과서에 실린 내용은 오늘의 대학생들이 동학에 대해 갖는 인식 형성에 결정적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이다. 이는 동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알아보기 위한 개방형 설문의 응답 내용이 한국사 검정 6종 교과서에서 강조하고 있는 표현과 상당히 일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잘 드러난다. 응답의 대부분은 동학농민운동과 지도자 전봉준, 그리고 이와 관련된 명칭과 성격에 대한 평가들이 주를 이루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 시점에서 제안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바로그동안 교과서에 실린 동학 관련 내용의 오류 수정을 주장해온 여러 선행 연구들의결과물들이 실제 우리의 초·중등 교육 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다른 한편, 연구자들 간 서로 다른 입장과 견해로 해석의 차이를 보이는 내용들에대해서는 충분한 논의와 숙고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교과 지식의일부에 불과한 동학, 과거 역사의 한 사건으로 기억될 뿐인 동학은 가장 반(反) 동학적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분석대상과 연구방법
  1) 대학생들의 동학에 대한 인식조사
  2) 한국사 교과서 선정
 3. 관련 연구 현황
 4. 대학생들의 동학 접근 경로와 동학에 대한 이미지 분석
  1) 설문지 분석
  2) 한국사교과서 속의 동학 내용 분석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경진 Kim, Kyoung-Jin. 숙명여자대학교 박사과정
  • 임상욱 Yim, Sang-Wook.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