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와 『무체법경(無體法經)』에 나타난 통일사상

원문정보

Unification Thought contained in Hwaumilseongbeubgedo and Muchebeubkyong

최민자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26호 2012.12 pp.429-47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consider unification thought contained in Euisang's Hwaumilseongbeubgedo(華嚴一乘法界圖) and Euiam's Muchebeubkyong(無體法經) in comparative perspective. These two Sutras show us peculiarities of thought assuming strong practicability, pointing to the harmonious unification and great unity. The concept of the middle path(中道) in Hwaumilseongbeubgedo implies a great affirmation and great unity transcending all relative distinction. Euisang's practical thought solidified the base of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by awakening the spirit of harmony and concord in the Buddhist world of unified Shilla and fostering national identity, and leading all living beings to the stage of oneness. Muchebeubkyong aims for the world of Mugeukdaedo as a harmonious unity by returning to the origin of the true mind through practicing human nature and mind. Euiam's practical thought arranged a new turning point of the unity of public opinion and national unity by laying stress on the necessity of change and elucidating the right to live of nation and what one should do for independence. Indeed, our human beings are now condemned to the overall human existential crisis due to the loss of integration of ‘the three central axes' of human existence, followed by proliferation of the mechanistic view of world since modern scientific revolution. The thoughts of Euisang and Euiam suggest today's human beings an alternative thought which enables to overcome the innate limits of western modernization. Particularly, these thoughts are very suggestive for us who bear contemporary challenges such as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all-in-one global village in that they offer a valuable clue to open a new era of hucheon-gaebyuk(後天開闢) through paradigm shift to a new holistic view of reality.

한국어

본 연구는 의상 대사의 『화엄일승법계도』와 의암 손병희의 『무체법경』에 나타난 통일사상을 비교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법계도와 무체법경은 조화적 통일과 대통합을 지향하는 강한 실천성을 띤 사상적 특색을 보여주고 있다. 법계도에 나타난 중도의 개념은 일체의 상대적 차별성을 넘어선 대긍정·대통합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의상의 실천적 사상은 통일신라 불교계에 조화와 화합의 정신을 일깨워 일체감을 조성하고 일체 중생을 일승(一乘)의 경지로 안내함으로써 삼국통일의 기반을 공고히 했다. 무체법경은 성심수련을 통해 복본(復本)함으로써 조화로운 통일체로서의 무극대도의 세계를 지향하고 있다. 의암의 실천적 사상은 변혁의 필연성을 역설하며 민족의 생존권과 독립의 당위성을 설파함으로써 국론통일과 민족통합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의상과 의암의 사상은 근대 과학혁명 이후 기계론적 세계관의 확산에 따른 인간 존재의 ‘세 중심축(天地人 三才)'의 통합성 상실로 인해 총체적인 인간 실존의 위기에 처한 오늘의 인류에게 서구적 근대의 태생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사상적 대안을 제시한다. 특히 한반도 평화통일과 지구촌 대통합의 시대적 과제를 안고 있는 오늘의 우리에게 이들 사상은 새로운 전일적 실재관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후천개벽의 새 시대를 개창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의상의『화엄일승법계도』에 나타난 존재론적 통일사상
  1) 『화엄일승법계도』의 구조와 요체
  2) 『화엄일승법계도』에 나타난 일승원교(一乘圓敎)의통일사상
 3. 의암의『무체법경』에 나타난 존재론적 통일사상
  1) 『무체법경』의 구조와 요체
  2) 『무체법경』에 나타난 진심불염(眞心不染)의 통일사상
 4. 『화엄일승법계도』와 『무체법경』에 나타난 통일사상 비교
  1) 『화엄일승법계도』와 『무체법경』의 사상적 특성
  2) 일승원교(一乘圓敎)의 통일사상과 진심불염(眞心不染)의 통일사상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민자 Choi, Min-Za.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