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충청북도 북부 지역의 동학농민혁명 전개과정 연구

원문정보

A Study in the Development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North-East Area of North Chungcheong Province

채길순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26호 2012.12 pp.403-428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Korean religion, Donghak, had been introduced to, and enthusiastically greeted by, the people of the north-east area of North Chungcheong Province (Chungju, Goesan, Eumseong) soon after the ideology of Donghak was established by Je-U Choe in 1860. Their warm reception gave the momentum to Donghak and its religious and revolutionary movement to be spread all over the nation. Its historical significances are as follows. 1.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Donghak followers in the north-east area of North Chungcheong Province triggered the spread of Donghak's influence from the mountainous area of Gangwon Province to the plain area of north and northwestern part of Seoul, Gyeonggi Province, Gyeongsang Province, and Jeolla Province. 2. Donghak followers in the north-east area of North Chungcheong Province played the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Donghak into the civilian social activities, led by Gongju, Samrye, Gwanghwamoon, Boeun Synod. 3. The north-east area of North Chungcheong Province provided a battle field while the Donghak Revolutionary Army waged the war against the government troops in September 18, 1894. 4. Through the examination of various incidents following the Battle of Eumseong (Doejani) area, we can have access to the whereabouts of the leaders of the Revolution, Si-Hyeong Choe and Byoung-Hee Son. 5. Through the in-depth study of the Donghak religious movements developed in the north-east area of North Chungcheong Province, we can get lots of hitherto unavailable valuable information as to the activities of the leaders of the Donghak Pesants Revolution such as Heonpyo Lee, Si-Hyeong Choe, Byoung-Hee Son, Jang-Ok Seo, and Du-Han Sung.

한국어

충청북도 북부 지역(충주, 음성, 괴산)에는 동학이 일찍부터 유입되었다. 이로 인하여 동학의 교세가 충청 내륙 지역을 넘어 서울․경기, 호남 지역 등 전국으로 확장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지역 동학 활동의 특징 및 의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880년대의 충청북도 북부지역 동학교도의 증가는 강원도 산악 중심의 동학 포교 영역에서 평야 지대로의 교세 확장을 의미한다. 충청남도 내륙 깊숙이 동학이 전파되었고, 북으로 서울 경기 지역으로, 경상 서북부, 전라도 지역으로 교세가 확장되는 교두보 역할을 했다. 2, 뒷날 공주취회, 삼례취회, 광화문복합상소, 보은취회 등 시민사회 운동으로 옮겨가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9월 18일 동학농민혁명 재기포 때는 경기도와 충청북도 북부 지역 동학 투쟁의 주요 거점이 되었다. 4, 보은 북실과 음성 되자니 전투를 통해 최시형 손병희 등 주요 동학지도자들의 마지막 도피 과정을 살필 수 있다. 5, 관 일본군 기록이나 교단 기록에 언급되지 않은 괴산 이헌표 접주의 활동, 최시형의 활동 범주, 손병희의 동학 포교 지역, 서장옥 성두한 등 주요 동학 지도자의 투쟁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충주 지역
  2. 1. 충주 지역 동학 유입 과정
  2. 2. 충주 지역 동학농민군과 일본군의 대립 과정
  2. 3. 재 기포 시기 충주 동학농민군 활동
 3. 음성 지역
  3. 1. 초기의 음성 지역 동학교도 활동
  3. 2. 동학 지도자 3인의 ‘음성 결의’
  3. 3. 재 기포 시기의 음성 지역 동학농민군 활동
  3. 4. 음성 지역 동학농민 혁명 시기 주요 전투
 4. 괴산 지역
  4. 1. 기축사화와 신양동 고찰
  4. 2. 괴산 전투에 대한 고찰
 5.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채길순 Chae, Gil-Soon. 명지전문대학 문예창작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