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김지하 시에 나타난 ‘생명’의 재현

원문정보

Reappearance in 'Life' Shown in Kim Ji-ha's Poetry

김인옥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26호 2012.12 pp.261-29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at attempted absorption and transformation by connecting it as 'inter-textual isotopy' with putting Donghak in the center of the ideological and literary discourse is revealed in the whole of Kim Ji-ha's poetic world. Especially examining a work related to the thought of Donghak revolution, which dominated Kim Ji-ha's early poetic world, the consciousness of life can be found, which is springing up amid the spirit of death and rebellion through embodying the people who are suppressed and suffered under the Yushin regime. The recognition dubbed 'existence who attended on Hanulnim inside me' that can be said to be a key of ecological discourse together with the life thought is made even through conversation with this history. And this is just the invariable constant, which intervenes between intertextuality and text, which distinguish other poetic texts that addressed ecological issue. 'Deification' as a human invariable constant is the core in the theory of life that Kim Ji-ha aims to spread as a fighter of belief as saying that there is a ground of existent in every life. This was gradually progressed as the process of seeking an individual's inner side and the essence of life while being embodied literally through a series poem 「Ae-Rin」. 'Ae-Rin' is indicated to be true oneself that we lost in this period, and to symbolize every life alive. Kim Ji-ha himself healed and recovered the damaged ego while spreading fierce confrontation with the world with the intention of resistance in the past, through the process of proceeding with finding human nature. Literature was defined with further putting weight in how it will be embodied, not what remains only in the aspect of reality imitation, which revives literature.

한국어

김지하가 동학을 사상 및 문학적 담론의 중심에 두고 ‘상호텍스트적 동위소(isotopy)'로써 연계하여 흡수와 변형을 시도하였음은 그의 시세계 전반에 드러난다. 특히 김지하의 초기 시세계를 지배한 동학혁명사상 관련 작품을 살펴보면, 유신체제 아래 억압받고 고통당하는 민중의 형상화를 통하여 죽음과 반역의 정신 속에서 싹트고 있는 생명의식을 발견할 수 있다. 생명사상과 함께 생태 담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제 안에 한울님을 모신 존재’라는 인식은 이러한 역사와의 대화를 통해서도 이루어진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생태문제를 다룬 여타의 시 텍스트를 구별하는 상호텍스트와 텍스트를 중재하는 불변항수이다. 인간 불변 항수로서의 ‘모심’은 모든 생명의 존재 근거가 있다는 믿음의 투사이며, 김지하가 펼쳐 가고자 하는 생명론의 핵심이다. 이는 연작시 「애린」을 통해 문학적으로 형상화되면서 점차 개인의 내면과 생명의 본질을 찾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애린’은 이 시대의 우리가 잃어버린 참다운 자기이며, 살아있는 모든 생명을 상징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과거 저항의지로 세계와의 치열한 대결을 펼치면서 훼손된 자아를 김지하는 본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치유․회복하였다. 문학을 재현하는 측면에만 머문 것이 아니라, 형상을 구체적인 언어로 자기 속에 전개함으로써 김지하 자신의 과거와 미래의 접점에 다가서게 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생명’과 ‘모심’의 상호텍스트성
 3. 살림의 노래, 생명문학
 4.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인옥 Kim, In-Ok. 명지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