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학교조신원운동과 동학농민혁명의 상관연동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rrelated Linkage between Donghak Unwrap of Sheik Depression Movement and Donghak Peasant Revolution

김용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osun authorities recognized Donghak as a threat to the ruling feudal order and the threat principle to vested interests, and executed the first religious leader, Suwun on charges of deluding the world and deceiving the people. Since then until the beginning of 1890, Donghak church had deployed a legal petition as unwrap of sheik depression and it is identified with spread of Donghak’s teaching. Donghak church deployed constant a demonstration action against Chosun authorities to receive of facial recognition through petition system. In addition, Public-common Regiment linked to a sense of solidarity and care Gongju-rally through the exploitation of local officials, including the obtaining, the dynamics denomination Expulsion agitation against Western and Japan with an emphasis on the realization of the week was held Samrye rally. Meetings and at the same time Bo-wun rally Cholla Geumguhyeon Wonpyeong rally was held in the bracket. Expulsion agitation against Western and Japan banner brackets on the front of the congregation in the Gum-gu assembly had left the sustainable life. It could be turned into a political rally while public-common were strengthening solidarity. Realization which an armed uprising of the people in the large-scale revolutionary, green beans, Mundane era up the banner of Mung bean General Jeonbongjun bracket assembly through the struggle against the government to strengthen a sense of dynamics is leading a peasant revolution, has been developed independently. Donghak was based to build a revolutionary organization. Peasant forces dynamics of the struggle in the transition to peaceful protest and gave rise to large-scale dynamics of the peasant revolution, and at the same time correlated linkage to the matter again to revive a sense of Mundane era while, and finally came to battle Righteous foremost is switched to the struggle for independence ceremonies against Japan and Western.

한국어

조선정부는 동학을 봉건사회 질서와 지배세력의 기득권을 위협하는 원리로 인식하고, 제1세 교조 수운을 혹세무민의 죄목으로 처형하였다. 그 이후 1890년 초까지 동학교단은 수운의 교조신원운동이라는 합법적인 청원운동을 전개하면서 동학을 세상에 드러내려는 ‘신원현도’(伸寃顯道) 의식과 상관연동을 이루게 된다. 당시의 동학교단은 ‘신소제도’(伸訴制度)를 통해, 조선정부의 공식 인정을 받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과 함께 집단적 사위운동을 꾸준히 전개하게 된다. 동학교단은 동학교도와 농민들의 ‘공공연대’(公共連帶) 의식으로 상관연동을 이루면서 공주취회(公州聚會)를 통해, 지방 관리들의 수탈 금지라는 충청감사 감결(甘結)을 얻어낸다. 민족주의 의식의 ‘척왜양창의’(斥倭洋倡義) 실천을 강조하면서 삼례취회를 개최한다. 또한 보은집회와 같은 시기에 전라도 금구현의 원평에서 금구집회도 개최한다. 금구집회는 척왜양의 기치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정치집회로 전환하면서 사회혁명의 ‘공공연대’ 의식을 강화시켰다. ‘무장’에서 대규모의 봉기를 실현시킨 민중혁명가, 녹두장군 전봉준은 ‘다시개벽’ 의식과 연동하여 투쟁의식을 강화하면서 동학농민혁명을 주도적으로 전개하게 된다. 동학의 교조신원운동은 각종 큰 집회를 통하여 ‘반봉건’, ‘척왜양창의’의 기치(旗幟)를 내걸게 되지만, 정치적으로 대정부 투쟁과 상관연동을 이룬다. 결국 민족의 근대사회 개혁실천 의식을 갖춘, 수운의 ‘다시개벽’ 혁신을 이 땅에 성취하기 위하여 동학농민혁명의 조직기반을 구축한다. 동학농민군들은 평화적 시위에서 투쟁의 결의대회로 전환하면서 대규모의 ‘동학농민혁명’을 일으키고, 동시에 ‘다시개벽’ 의식을 상관연동으로 살려내면서, 정미의병(丁未義兵) 전쟁에 이르기까지 항일독립 투쟁의식으로 전환하는 실천적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신원현도(伸寃顯道) 의식의 상관연동
 3. 공공연대(公共連帶) 의식의 상관연동
 4. 다시개벽 의식의 상관연동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용환 Kim, Yong-hwan.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