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새로 발견된 목판본 『동경대전』에 관하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Newly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Dongkyung Daejeon (東經大全)

윤석산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20호 2010.12 pp.201-23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 newly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process known as a Gyungjin-Printing (庚辰版) called Dongkyung Daejeon (東經大全). This is the first known example of Dongkyung Daejeon wood-block printing.For this purpose, I refer to Dowongiseo (道源記書) as a very important material. And I compared 'newly discovered wood-block' with Gyuemi Chungchoon printing(癸未仲春版), Gyuemi Chungha printing(癸未仲夏版), and Mooja Gyuechoon printing(戊子季春版). In the Doweongiseo, it says a collection of works, does not say a scripture about Gyungjin printing Donggyung Daejeon. The newly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has a system of a collection of a works. There are some aspects of Gyungjin-Printing in the introduction of Gyuemi Chungchoon printing and Mooja Gyuechoon printing. They say that there is some missing sentence in Gyungjin-Printing. So I checked for the new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And I know that the newly new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has many missing sentences. There were no spaces between words in the old fashioned style Chinese character sentences, but there were spaces before a respected object. There are spaces before the word God and before the name of the founder of Donghak in the Gyuemi Chungchoon printing (癸未仲春版), Gyuemi Chungha printing(癸未仲夏版), and Mooja Gyuechoon printing (戊子季春版). There are also spaces before the names of the Spirit, the Teaching, the King, and Suun's father in the newly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The front cover of the newly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and Gyuemi Chungchoon printing were printed with the same wood-block, therefore we know that the two books were printed in very closed term. And I can confirm that the front cover of new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was printed by original, because the chines characters of front cover are the same style as the table of contents in the newly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These are the evidences to proof that the newly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is the Gyungjin-Printing (庚辰版) Dongkyung Daejeon (東經大全).

한국어

본 글은 ‘새로 발견된 목판본’이 최초의 목판본인 동경대전 경진판(1880년)임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밝히기 위하여 도원기서를 중요한 자료로 참고하였다. 또 ‘새로 발견된 목판본’과 계미중춘판(1883년 봄), 계미중하판(1883년 여름), 무자계춘판(1888년 봄) 등을 서로 비교, 고찰하였다. 도원기서에서 경진판 동경대전에 관하여, ‘경전(經典)’이라고 하지 않고, ‘문집’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새로 발견된 목판본’은 그 체제가 ‘문집(文集)’의 형태를 띠고 있다. 또한 계미중춘판 발문과 무자계춘판 발문에서 경진판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 계미중춘판과 무자계춘판의 발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새로 발견된 목판본’에서는 많은 문장들이 빠져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논학문」을 「동학론」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옛글은 띄어쓰기가 전혀 되어 있지를 않다. 띄어쓰기를 하는 경우는 존경을 나타내는 대상 앞에만 한 칸 띈다. 계미중춘판이나 계미중하판, 또는 무자계춘판은 ‘천주’나 ‘상제’, 수운 선생을 뜻하는 ‘선생’의 앞은 한 자씩 띄어 썼다. 그러나 ‘새로 발견된 목판본’은 ‘영(靈)’, ‘교(敎)’, ‘천령(天靈)’, ‘천도(天道)’, ‘강령(降靈)’, ‘왕(王)’, ‘선고(先考)’, ‘시(侍)’ 등의 앞에서도 띄어쓰기를 하고 있다. ‘새로 발견된 목판본’의 표지와 계미중춘판 표지는 같은 목판에 의하여 인쇄되었다. 따라서 이 두 판본은 상당히 비슷한 시기에 판각이 되고, 또 간행이 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두 판본을 표지와 목차를 비교해 본 결과 ‘새로 발견된 목판본’의 표지가 원본이고, 계미중춘판의 표지가 ‘새로 발견된 목판본’의 표지 목판을 빌려서 사용했음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새로 발견된 목판본’이 계미중춘판보다 먼저 간행이 된, 동경대전 목판본 중 가장 오래된 판본임이 증명이 된다. 지금까지 제기한 여러 면들이 ‘새로 발견된 목판본’이 동학 최초의 목판본인 ‘경진판 동경대전임을 증명할 수 있는 증거들이 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계미중춘판과 무자계춘판의「발문」을 통해서 본 경진판의 면모
 3. 『도원기서』를 통해서 본 경진판의 면모
 4. ‘새로 발견된 목판본’의 표기 및 체제의 문제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석산 Suk San Yoon. 한양대 한국언어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