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독자와 독서의 효용 관점에서 본 동학 소재 시의 형상화 방식

원문정보

The Methods of Imagery in Poetry with Materials of Donghak in terms of Efficacy of Readers and Reading

지현배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37호 2015.12 pp.361-39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orming appearance ‘Donghak’ in Donghak-related Korean modern poetry. The works in anthology of Donghak Farmer’s revolution 『A song to Hwangtohyun』 are main targets of this study. The works could be divided into several groups; the one of works with strong tendency of historical record, another works with facts outside of the public records, and the others containing characteristics of reinterpretation giving a new meaning. This works were analyzed by the researcher from the utility perspective of readers and reading. The result of exploration extracted the key words of ‘record’, ‘prehension’ and ‘discovery’ from each groups of works. Records were perceived as such as the ‘black and white photographs’. They usually as to play a role of reminding the memory have strong tendency of records of the fact. They were expressed as types of records of historically important facts or records of main person’s whereabouts. This is which contrasts the ‘be forgotten’. In this group, the role of writer was highlighted is a historical recorder. Prehension was perceived as such as the ‘a picture sequence’. They play a role of grabbing a moment and are more attentive to capture the areas of which can be passed by an official record. The works that capture transient things or things related to everyday life of the grass roots. This take on a contrasting character to ‘hiddenness’. The role of writer as the discoverer or recorder of private sector were highlighted in this group. Discovery was perceived as such as ‘selfie’. It is important to look at it anew side. The vision of breaking daily mannerism is a key in these works. This is failthful to literature’s inborn function ‘viewing strangely’ and writer’s creative attempt is to be highlighted. These are the contrasting character to ‘be covered’ . The author's personality is being highlighted as an interpreter role. In this paper, researcher studied about the works with materials of historical facts or major persons related to Donghak in the Korea contemporary poetry through lenses of ‘record’, ‘prehension’ and ‘discovery’. They were groups of works highlighted the role of writer as ‘recorder’, ‘discoverer’ and ‘interpreter’, respectively. Through this study, the properties of ‘reader’s memory’, ‘extension of moment’, and ‘anew interpretation’ about Donghak and its relevant facts expressed in Korean contemporary poetry were unburied.

한국어

이 논문의 목적은 동학 관련 한국 현대시에서 ‘동학’을 형상화하는 양상을 탐구하기 위함이다. 동학농민혁명 기념시선집인 『황토현에 부치는 노래』에 실린 작품이 연구의 주요 대상이다. 작품들에는 역사 기록의 성격이 강한 작품, 공적 기록 영역 밖의 것을 담은 작품,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재해석의 성격이 강한 작품 군들이 있었다. 연구자는 작품을 독자와 독서의 효용 관점에서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고찰의 결과 각각의 작품 군들에서 ‘기록’, ‘포착’, ‘발견’의 핵심어를 추출할 수 있었다. 기록은 ‘흑백사진’과 같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억을 되살리는 역할을 하는 작품들로서 이들은 주로 사실의 기록물로서의 성격이 강한 것이었다. 역사적으로 주요한 사실의 기록 혹은 주요 인물에 대한 행적의 기록 등의 유형으로 표현되었다. 이는 ‘잊혀짐’에 대비되는 것이었다. 이 작품군들에서 작가는 역사 기록자로서의 역할이 강조 되었다. 포착은 ‘연속사진’과 같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순간을 붙잡는 역할을 하는 작품들로서 이들 작품들은 공적 기록에서 지나치기 쉬운 영역의 포착이라는 성격이 강한 것이었다. 순간적으로 지나가는 것이나 민초들의 일상과 관련된 것들을 포착하는 작품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는 ‘숨겨짐’에 대비되는 성격을 띠었다. 이 작품군들에서 작가는 사적(私的) 영역의 해설자 또는 기록자로서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발견은 ‘셀카사진’과 같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새롭게 바라보는 것이 중요한 측면이다.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타성을 벗어난 시각이 이들 작품에서 핵심이다. 낯설게 보기라는 문학 본연의 기능에 충실한 것으로서 작가의 창의적 시도가 강조되는 것이다. 이는 ‘가려짐’에 대비되는 성격의 작품군들이었다. 작가의 역할은 해석자로서의 성격이 부각되었다.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한국 현대시에서 동학과 관련된 역사적 사실이나 주요 인물을 소재로 한 시를 대상으로 ‘기록’, ‘포착’, ‘발견’이라는 렌즈를 통해서 연구를 진행했다. 각각 ‘기록자’, ‘해설자’, ‘해석자’로서의 작가의 역할이 강조된 작품군들이었다. 이번 작업을 통해서 한국 현대시에 표현된 동학과 동학 관련 사실에 대한 ‘독자의 기억’, ‘순간의 연장’, ‘새로운 해석’이라는 자산을 발굴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기록: 흑백사진, 기억을 되살림
 3. 포착: 연속사진, 순간을 붙잡음
 4. 발견: 셀카사진, 낯섦을 마주함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지현배 Hyun-Bae Ji.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파라미타칼리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