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해월 최시형의 동학경전 간행의 역사적 의의 - ‘그 현재적 의미’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bout the Historical Meaning of Hae-wol, Choi, Si-hyung's Publication of the Dong-hak Scripture - Focussing on 'its present Meaning'

전석환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37호 2015.12 pp.123-15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ae-wol, Choi, Si-hyung's achievement is in the great scheme highly rated in regard that he was in succession to Su-wun’s thought, interpreted his thought and furthermore he expanded that meaning into the realm of practice. However, the background of such a change and development is due to not only compiling Su-wun’s thought but further editing and publishing. Such a change can be justified as the transformation from 'oral culture' to 'text culture'. And it can be said that the specific meaning of that change contains the feature of Dong-hak which is jumping into 'silent reading - religious community' started from 'reading aloud - religious community.' And such a change can be evaluated as an attempt of foresight preparing imminent modernization beyond tradition. From those viewpoint, the historical meaning of Hae-wol's publishing-project must be pursued not only as a reminiscence in the past, but also as a nowness living alive 'now and here'. This paper will be discussed as follows. First, I will examine the process of Hae-wol's scripture publication of Daong-hak and look at the historical meaning of it up to present. Second, I will explore the meaning of the momentum of Hae-wol's publishing-project in the microscopic dimension. That is, I will apprehend the scripture publication as a factor of structural change of Dong-hak, and justify such a fact as a transformation from 'the reading - religious community' into 'the social solidarity via the silent reading’. Third, I will discuss the contemporary meaning or the meaning of nowness of Hae-wol's publishing-project. Here, at first I speculate the effect of the transformation from 'oral culture' to 'text culture' and analyze its character. And then I will argue what is the meaning of modernity which the structural change of religious community, Dong-hak presents.

한국어

해월의 치적은 크게 보아 수운의 동학사상을 계승하면서도 그 사상을 해석하고 또한 그 의미를 실천으로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그런데 그러한 변화 · 발전의 배경은 수운 생각의 원래의 뜻을 집대성한 것에 머물지 않고 한 걸음 더 나아가 편집하고 활자화한 것에 놓여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변화의 모습을 우리는 한마디로 ‘구술문화’로부터 ‘문자문화’로의 이행이라고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변화의 구체적 의미를 ‘음독(音讀)의 종교 공동체’로부터 출발한 동학이 ‘묵독(黙讀)의 대중종교 공동체’로 도약하려는 모습으로 묘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의미로 그 모습을 전통을 넘어서 도래가 임박한 현대화를 예비한 선견지명(先見之明)적인 시도였다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해월 최시형의 동학경전 간행의 역사적 의의는 단지 지나간 역사적 회고에만 머물지 않고, ‘지금 또 여기’에 생생하게 살아있는 현재성으로서 적극적으로 찾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전개된다. 첫째는 해월 최시형의 동학경전 간행의 과정을 살펴보고, 지금까지 수행된 경전 간행의 역사적 의의를 조명해 본다. 둘째는 해월 최시형의 동학경전 간행 계기를 미시적 차원으로 고찰한다. 즉 동학경전 간행을 동학의 구조변동의 동인(動因)으로 파악하면서, 그러한 구체적 모습을 ‘음독의 종교공동체’로부터 ‘묵독을 통한 사회적 연대’로의 변화라고 규정하고 그 의미를 논의한다. 셋째는 위의 논의를 염두에 두고 해월 최시형의 동학경전 간행의 계기가 지니고 있는 현대적 의미, 혹은 그 의미의 현재성에 대해 논의한다. 여기서는 먼저 동학경전 간행으로 인하여 구술문화로부터 문자문화로의 변화가 주었던 효과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그 성격을 분석한다. 그리고 동학이라는 종교 공동체의 구조변동이 부여하고 있는 현대성의 의미가 무엇인가에 대해 논의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해월의 동학경전 간행의 역사적 의의
  1) 동학경전 간행의 의의를 간행 원인의 측면에서 보는 관점
  2) 동학경전 간행의 의의를 간행 결과의 측면에서 보는 관점
  3) 당시 동학활동의 역량을 추측해 보려는 의도에서동학경전 간행의 의의를 논의한 관점:
 3. 해월의 동학경전 간행 계기에 대한 ‘ 미시적 차원의 음미’ : ‘음독의 종교공동체’로부터 ‘묵독을 통한 사회적 연대’까지
 4. 해월의 동학경전 간행의 현대적 의미, 그 의미의 현재성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석환 Suck-Hwan Jun. 강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