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강원도 일대의 동학 전파와 홍천의 포조직 분석

원문정보

Propagation of the Donghak Gangwon-do Region and analysis Po organization of Hongcheon

임형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oe, si-hyeong inherited jellyfish given the task to propagate the Donghak of followed by Choe Je-u went out to preach the Donghak around North Gyeongsang Province. However, due to the events of 1871 have been contracted under a big hit. Choe, si-hyeong bat deon take place it gave a trace of Whitehall. Here choe, si-hyeong went out to realize the revival of the Donghak lived hidden for a long period of time, such as a second propagation Donghak and the Donghak of issuing the scriptures again It is based in Gangwon Province in the background Donghak could be successful in recovering and expanding the wide Plain Area interpersonal and Gyeonggi-do, including Jeolla than based on it. In that sense, Gangwon Province is home to the extent that it can safely Donghak second. Gangwon-do is actually impossible without Donghak was also the Donghak of the 1894 peasant revolution could not exist. Gangwon Province is hide choe, si-hyeong was able to stash again the residents of Gangwon Province assistance and cooperation Donghak was able to keep developing. In the Donghak of Gangwon-do peasant revolution was therefore a chong-gipolyeong command of choe, si-hyeong. By size farmers who resist the tyranny of the Donghak tamgwanohri over a long period of time already been able to form the ranks of peasant revolutionary Donghak. Meanwhile, the people of Gangwon Province was having difficulty communicating because of it distributed scattered around the mountainous region will finally be transformed into a revolutionary army was organized according to clear chain of command. However, Kangwon Province is nongmingun have been put to great difficulties in other than a strong government forces and minbogun this form. Po of Cha, gi-seok Hongcheon, Gangwon Province through the whole area was to shake the most powerful artillery. Cha, gi-seok, including a chief of Hongcheon, Gangwon-do Pyeongchang-gun Jeongseon, Yeongwol, was called to jeopju five towns such as commanding the donghakgun of Gangneung and elsewhere. He led the revolutionary Donghak of thousand farmers. They caught Hongcheon beyond just the place to advance to Seoul. However, the Donghak of the revolutionary peasants were oxidized Hongcheon not exceed seo-seok head.

한국어

동학을 창도한 수운 최제우의 뒤를 이어 동학을 전파할 임무를 부여받은 해월 최시형은 경상도 북부지방을 중심으로 동학을 전파해 나갔다. 그러나 1871년 영해지방의 이필제를 중심으로 한 교조신원운동으로 인하여 커다란 타격을 받고 지하화되어야 했다. 관의 추적을 받던 해월을 받아 준 곳은 강원도 지역이었다. 이곳에서 해월은 오랜 기간을 숨어 지내며 동학을 전파하고 또 동학의 경전을 발행 하는 등 제 2의 동학 부흥을 실현해 나갔다. 강원도에서의 기반을 배경으로 해서 동학은 재기에 성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넓은 평야지대인 전라도와 경기도 등으로 확대될 수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강원도 지역은 동학 제 2의 고향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이다. 실제로 강원도가 없었다면 동학은 존재할 수 없었고 1894년의 동학농민혁명 역시 불가능했다. 강원도가 있었기에 해월은 은신할 수 있었고 또 강원도 지역 주민들의 도움과 협조가 있었기에 동학은 유지 발전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강원도 포덕은 이후 동학이 본격적으로 충청도와 전라도 그리고 경기도 지역 등의 평야지대로까지 진출하는 계기가 되었고 그것은 이후 동학농민혁명의 원천이 되었다. 동학농민혁명에서 강원도는 해월의 총기포령에 따라서 기포하였다. 이미 오랜 기간에 걸쳐서 탐관오리들의 가렴주구에 저항하던 농민들이 동학에 입도함으로써 동학농민혁명군이라는 대오를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 그동안 산악지대를 중심으로 흩어져 있어 고립 또는 분산적이라 소통의 어려움을 겪고 있던 강원도의 민중들은 비로소 조직적이고 확실한 지휘계통에 따른 혁명군으로 변모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강원도 지역은 다른 곳 보다도 강한 민보군이 형성되어 있었고 관군의 활약이 역시 대단하여 농민군 토벌부대의 주축을 이루었다. 그런 가운데 홍천의 차기석 포는 강원도 지역 전체를 통 털어서 가장 강력한 포였다. 차기석 대접주는 1893년 3월 보은 장내리에서 열린 척왜양창의운동에도 참가하였으며 사실상 강원도의 총수령으로 홍천을 비롯하여 평창·영월·정선·강릉 등지의 동학군을 지휘하는 등 5읍의 접주로 불리웠다. 1000여명의 동학농민혁명군을 이끌었다고 하지만 뒤에는 이웃 지방의 동학군까지 합세하여 그 수는 더욱 불어났다. 그들은 홍천을 넘어서 서울로 진격해 해월의 총기포령에 따른 권문세가를 멸하고 성도를 밝히고자 했다. 그러나 홍천의 동학농민혁명군은 서석고개를 넘지 못하고 산화했다. 오늘 자작고개의 전설이 어릴 정도의 엄청난 피의 항쟁의 결과였다.

목차

국문초록
 1. 시작하는 글
 2. 동학초기의 포덕과 강원도
 3. 강원도 지역의 포덕과정
  1) 동학의 강원도 진출
  2) 동경대전의 간행
 4. 홍천지역의 포 조직과 서석 전투
 5. 맺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형진 HyungJin Rim. 경희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