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헤겔의 인륜성의 관점에서 본 동학의 인성론(人性論)

원문정보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Donghak from the Viewpoint of Hegel’s Sittlichkeit

조극훈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34호 2015.03 pp.43-8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oncept of Human Nature is meant to humanistic dignity as human being such as Personality, Disposition, Character, Nature, Natural Gift, Temperament etc. and today the study and interest of it is going on and interesting. The results of study and program of it in domestic have been also much accumulated by trying to develop program and formulate theory of it. Therefore The Human Nature program was engaged in educational fields and resulted in satisfaction. For all that, it needs to philosophical approach for understanding human being more deeply and wholly, because nowadays understanding and definition of human nature are mainly restricted to psychological and moral aspects. In this article, I will try to examine basic contents of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Donghak from the aspects of Hegel’s Sittlichkeit and what does it serve to modern human nature education and discourses. By doing so, the extent and direction of the korean human nature education will be elevated from pedagogical, psychological and moral-ethical dimension to philosophical dimension ie. ontology and epistemology. This argument was proceeded as follows. In section 2, I examined the basic concept,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human nature education, and discussed what does philosophy of ‘Si(侍)’ focusing on ‘Sichunju(侍天主)’ relate human nature education. In section 3, I suggested the basic contents of human nature theory in Donghak from Donghak Canon, in particular, Seong-Gyeong-Sin(誠敬信), Samgyeongsasang(三敬思想), Sa In Yea Cheon(事人如天), Cheonjibumo(天地父母), Bultaeksunak(不擇善惡), Susimcheonggi(守心正氣), and its related norms. In section 4, I discussed the current meaning of human nature theory in Donghak from the viewpoint of hegel’s Sittlickeit.

한국어

인성이란 인격, 성품, 인품, 성격, 기질, 품성 등과 같이 사람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간적인 품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간성 상실과 같은 사회문제로 인해 인성개념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인성교육의 이론 정립과 실천 프로그램 개발 노력에 의해 많은 연구 성과와 프로그램이 축적되었다. 이론적인 연구 축적과 함께 교육 현장에서도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효과도 거두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성개념에 대한 이해와 규정이 주로 심리학적인 측면이나 도덕적인 측면에 머물러 있어 인간을 좀더 깊이 있고 총체적으로 이해하려는 철학적인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헤겔의 인륜성의 관점에서 동학 인성론의 기본 내용을 규명하고 현대 인성교육과 인성담론에서 동학의 인성론이 기여할 수 있는 역할과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이는 한국의 인성교육 연구의 범위와 방향이 교육학이나 심리학 그리고 도덕윤리학의 차원에서 존재론과 인식론과 같은 철학적인 차원으로 심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논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2장에서는 인성교육의 기본 개념과 현재적 상황과 문제점을 밝히고 동학의 시천주를 중심으로 모심의 철학이 인성교육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논의한다. 제3장에서는 동학의 인성론의 기본 내용을 동학 경전을 전거로 제시한다. 성경신, 삼경사상, 사인여천, 천지부모, 불택선악 등을 제시하고, 그와 관련된 구체적인 인성규범을 제시한다. 제4장에서는 헤겔의 인륜성의 관점에서 동학 인성론의 현재적 의미를 제시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인성교육과 ‘모심’의 철학
 3. 동학 인성론의 기본 내용
  1) 성경신(誠敬信)
  2) 삼경(三敬)사상
  3) 사인여천(事人如天)
  4) 천지부모(天地父母)
  5) 불택선악(不擇善惡)
  6) 수심정기
 4. 헤겔의 인륜성과 동학 인성론의 의의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극훈 Keuk-Hun Cho. 경기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