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모심[侍]과 앎[知]의 동일성 문제에 관한 시론

원문정보

The Essay on the Identity of Si(侍) and Knowledge[知]

안호영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30호 2014.03 pp.333-36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moving world, the motionless is a case of the motion. Though the knowledge is related with the motion, it is misunderstood as fixed thing for a long time. Even the knowledge has fluctuated constantly in the form of the logic, this misunderstanding which is formed by generalizing the logical thing as the fixed one has been come from both the fixed idea and the habits of our thinking. Therefore ignoring consequences of these ones, our knowledge is just similar to the black images on the white papers. And as we also confine the meaning of motion as which our body just moves, we commonly ignore the fact of constantly moving our consciousness. But the movement of our consciousness makes the knowledge to move, then the knowledge is a kind of the motion. As if the Si(侍) of the ‘sicheonju’(侍天主) is understood as the motion, we address the knowledge as the motion, this study is the essay on the identity of the Si[侍] and the knowledge[知]. We would insist that it is possible to know only in the conduct as follow. Firstly we distinguish the forms of the knowledge by examining how to use the knowledge in 󰡔東經大全󰡕(Chondogyo Scripture). Then after giving a question that we could not know always to conduct we discuss the process from the knowledge to the conduct. We would confront the idea of cheonju(天主) or god, for Suwoon(水雲) thinks that god is served in human body. Therefore this delivers to the discussion that to serve[侍] is to know. We would re-define the concepts of the subject, the object, the contents, and the conduct of the knowledge. Finally through this discussion, it is get joined on the tradition as the union of knowledge and conduct with Socrates and the other philosophers, then self-reflects for knowing what does not know. Through self-awakening the cheonju(天主) which could not originally knowing, it gives the occasion that has extended the Donghak as the religion to one as the living.

한국어

움직이는 세계에서는 정지도 움직임의 한 형태일 뿐이다. 그렇지만 앎[知]은 운동과 관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랜 세월 동안 앎이 정지해있는 것이고 고정되어있는 것이라는 오해를 받아왔다. 앎은 논리적인 형태로 또 육체적인 형태로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지만, 논리적인 것은 정지해있고 고정되어있다는 생각을 일반화함으로써 형성된 이런 오해는 우리의 오래된 고정관념과 습관에 기인한 것이다. 그러므로 스스로 이런 고정관념과 습관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다면, 우리의 앎은 한갓 흰색의 종이위에 묻어있는 검은색일 뿐인 것이다. 또한 우리는 자신의 몸을 움직이는 것에 운동의 의미를 국한시킴으로써 끊임없이 움직이는 의식적 사실을 외면하기 일쑤다. 그러나 우리의 의식은 쉼 없이 흘러가고 있으므로 앎은 곧 운동일 수밖에 없다. 侍天主의 시(侍)가 운동으로 이해되는 것처럼 앎[知]도 마찬가지임을 논증함으로써, 본 논의는 앎[知]의 문제를 侍의 문제와 연결시키려는 시론적인 성격의 글이 될 것이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논의를 통해 아는 것은 오직 실천일 때에 가능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먼저 󰡔東經大全󰡕에 등장하는 앎[知]이 어떻게 쓰이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앎의 형태를 구분하였다. 이어서 언제나 실천할 뿐인 것을 우리가 스스로 알아차리지 못했다는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앎에서 실천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논의하고 있다. 이때 天主 또는 하늘님의 관념을 직면하게 되는데, 水雲은 하늘님을 인간의 몸에 모셔져 있는 존재라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天主를 모시는 것이 곧 아는 것이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검토로 나아간다. 이로부터 동학과 관련해서 앎의 주체, 앎의 대상, 앎의 내용 그리고 앎의 실천 등에 대한 개념을 다시 규정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소크라테스와 더불어 수많은 철학자들이 주장하는 지행합일(知行合一)의 전통에서 ‘모르는 줄 아는 것’에 대한 자기반성으로 이어지고, 삶이 무엇인지를 다시 묻는 질문으로 나아간다. 이를 통해 天主는 본래 알 수 없는 것임을 스스로 깨닫는 것을 통해 종교로서의 동학을 삶으로서의 동학으로 확장할 수 있는 계기를 줄 수 있음을 보여 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동학, 종교와 삶의 징검다리
 2. 『동경대전』에 등장하는 앎의 종류
 3. 앎의 주체와 천주의 관계
 4. 앎이 곧 실천이다: 知와 侍의 동일성
 5. 삶과 종교의 지행합일을 향해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호영 Ahn Ho young.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파라미타칼리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