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871년 영해동학혁명의 사료와 자취

원문정보

Historical Records and Traces about Younghae-Donghak Revolution in 1871

김기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day, humanity is the best value in the pursuit of human free will to live, to receive equal treatment, to protect human dignity, trying to make the quality of life will improve. In this respect the history of the Younghae-Donghak Revolution find the truth, and the descendants of those who took part in the revolution was honors will want. Jewoo-Choe the founder of a new religious Donghak on his last birthday October 28, 1863 in the village of Jikcheon in Youngduk korea. in front of so many disciples "by respecting human freedom as God and equality to the advent of the new world, the world will know that," he preached. He is saying, and then right to the moon on November 20 Government of the Joseon Dynasty sent a secret civil servant to arrest the following year on March 10 (lunar) was executed. The Younghae-Donghak Revolution is the founder of Donghak Jewoo-Choe 7th anniversary of the execution of the March 10, 1871 (lunar), it happened. 600 people took part in the revolution that was at the Rock Screens in Gyeongsang Younghaebu Sumyeon Woojungdong camped gathered in the valley. They are wearing a lampshade on the head and wore a blue coating. They caught two cows up the Mt. Hyeongjebong Sky-god memorial ceremony. After this, the Younghaebu about 10km away and then entered the authorities. Authorities towards the door of the cannon to shoot the crowd four people died. Participants are responsible for capturing the Mayor, seize the sin of asking and after killed, shot a cannon after authorities received police chief were also killed. Participants arsenal to destroy the armed revolution was. They noon the next day, while civil rule handed the money to the poor people. The Military officers caught 96 people during the revolution, standing participants executed or died of engagement. But Sihyeong-Choe the Second Donghak religious reader, Pilje-Lee general, Sawean-Kang instructor staff, Nakgyun-Kim warriors, Seongmun- Jeon, five leaders at Mt. Ilwolsan escape from such a survived. Looking at historical records, during the Younghae-Donghak Revolution, the participants stated information being captured and tortured in Kyonamkongjuk, the journal of military operations in the Younghaebu Jukbyunmunchuk, punishing the contents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like. The record of civilians leaving the Dowungisea, the Sinmiabyeonsiilgi, the Naamsulok, and so on. During the revolution, university participants 6, Confucian intellectuals in 23 patients, one person on local government officer, a commissioned officer, industrial, commercial, bobusang such as walks, etc. They gathered to see the article of DuBung-Nam’s. letters of the "Righteous Army to prevent the national crisis, this became" The Younghae- Donghak Revolution is to achieve freedom and equality, modern civil revolution. Compared with the Younghae-Donghak Revolution of the French Revolution when the revolution of human dignity, freedom and equality is similar in that you want to recover.

한국어

오늘날 인류사회에서 인간이 추구하는 최고의 가치는 자유로운 의지로 살며, 평등한 대우를 받으며,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지키고, 삶의 질이 향상되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영해동학혁명에 대한 역사의 진실을 밝혀, 당시 혁명에 참가한 사람들과 후손들의 명예를 회복시키는 데 있다. 새로운 종교인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는 그의 마지막 생일날인 1863년10월28일 영덕 직천마을에서 수많은 제자들 앞에서 "인간존엄성을 신과 같이 함으로서 자유(자존)와 평등(무극대도)의 새로운 세상이 도래한다(후천개벽)는 것을 세상에 알리라"고 설교했다. 그는 이 말을 한 후, 한 달도 못되는 11월20일 정부가 비밀로 파견한 공무원(암행어사)에게 체포되어 다음 해 3월10일(음력) 처형되었다. 영해동학혁명은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의 처형 7주년이 되는 음력 1871년 3월10일(양력 4월29일)에 일어났다. 혁명에 참가한 600여명은 당시 경상도 영해부 서면 우정동 병풍바위 아래 집결하여 산골짜기에 야영을 했다. 이들은 머리에 갓을 쓰고 푸른색 도포를 입었다. 이들은 소를 두 마리 잡아서 형제봉 산에 올라가 하늘 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그 후 10km 가량 떨어진 영해부 관청에 진입하였다. 관청문 앞에서 군중들을 향해 대포를 쏘아 4명이 죽었다. 혁명참가자들은 책임자인 부사(시장급)를 붙잡아서 포박하여 죄를 묻고 난 뒤 죽이고, 대포를 쏜 수석포교(경찰서장급)도 죽인 후에 관청을 접수하였다. 무기 창고를 파괴하여 혁명참가자들이 무장하였다. 그들은 다음 날 정오까지 민권통치를 하면서 가난한 두민(시의 동장급)들에게 돈을 나누어 주었다. 이들 혁명참가자 중에 96명이 관군에 붙잡혀서 처형되거나 교전으로 죽었다. 그러나 제2대 동학교주 최시형, 이필제 장군, 강사원 참모, 김낙균 무사, 전성문 등 5명의 지도자는 일월산 울연전에서 탈출하여 살아났다. 영해동학혁명을 기록한 사료로는, 혁명 참가자 중에 붙잡혀서 고문을 받고 진술한 내용인 교남공적, 관군의 군사작전일지인 영해부적변문축, 처벌 내용이 적힌 조선왕조실록 등이 있다. 그 밖에 민간인이 남겨둔 기록으로 도원기서, 신미아변시 일기, 나암수록, 등이 있다. 혁명참가자 중에는 대학생 6명, 지식층인 유학자 23명, 현역장교 1명, 공무원인 이방 1명, 공업, 상업, 보부상, 등이다. 그들은 “나라의 위기를 막기 위해서 의병이 되자”는 남두병의 글을 보고 모여들었다. 영해동학혁명은 프랑스혁명과 비교될 정도로 자유와 평등을 실현한 근대 시민혁명이었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영해동학혁명의 발생 배경 및 원인
  1) 역사적 문화적 배경
  2) 동학의 교조인 수운선생의 순교
  3) 수운선생 제자들의 영해부 집결
  4) 이필제와 해월의 만남
  5) 남두병의 소모문
 3. 영해동학혁명의 전개과정
  1) 영해부적변문축에 기록된 일시별 사건 요지
  2) 신미아변시일기에 기록된 주요 부분
  3) 영해부적변문축의 진술자 증언(요약)
  4) 죄인 문초기록인 교남공적의 진술자 증언
  5) 붙잡힌 사람들
  6) 보고문서와 왕조실록의 기록
  7) 살아난 사람들
 4. 영해동학혁명의 현장과 인식 제고
  1) 영해동학학명의 자취와 보존
  2) 왜곡된 역사에 대한 재인식
  3) 새로 발견된 사실
  4) 참가자와 후손들의 명예회복 필요성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기현 Kim, Ki-hyun. 동학연구자. 전 서울시청공무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2,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