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신유의 일본과 중국 두 나라 인식에 대한 비교 연구 - 『해사록』 및 『연대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Compare Sin Yu's Perception of China and Japan According to His Yeonhaengrok and Tongsinsahaenglok

허경진, 조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using Sin Yu's 『Yeontaerok』and 『Heasarok』as target text, study his attitude to the diplomatic travel to China and Japan, and compare his perception of China and Japan. When he went to Japan, maintaining peace between Joseon Dynasty and Japan by his ‘writings(翰墨)’ was his main purpose. In addition, he thought that going to other country is a tradition of Koyeong Sinssi(高靈申氏). Because Sin Suk Zu who is his progenitor has gone to Japan in 1443. As for China, Sin Yu showed different attitude toward the travel to China because of different target country. When Park Su Mun went to Ming Dynasty in 1635 as a Yeonhangsa (燕行使), Sin Yu hold a positive attitude on Yeonhang (燕行). He admired Park Su Mun's travel and thought Yeonhang can broaden people's knowledge. However, when he went to Qing Dynasty as a Yeonhangsa (燕行使) in 1652, he thought he was “serving two kings”, and it was a betrayal of the Ming dynasty. Sin Yu hold a negative attitude to Japan basically. But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Japan, he hold a positive attitude to scenery and literature of Japan. He communicated with the Lin family about Chinese poetry, and collected information about Japanese history, geography, literature and so on from them. In the 『Heasarok』, Sin Yu showed a variety of features such as envoy, tourists and scholars. As for China, Sin Yu showed the nostalgia for the Ming Dynasty and he was strongly against the Qing Dynasty. He went to the ancient battlefield on the way to Beijing, and expressed his nostalgia for the Ming Dynasty with poetry. However, missing the Dynasty so much led to avoiding the Qing Dynasty. So when he was in Beijing, he did not write any poetries about then Beijing, but showed a strong sense of against Qing Dynasty in his history-nostalgia poetries. There are two reasons to explain the different perception of China and Japan. First of all, he personally experienced Byeongjahoran (the Manchurian Invasion of Korea in 1636)(丙子胡亂). He went to Shen Yang as a member of Crown Prince Sohyen's Saejasigangsiwon(世子侍講院) in 1639, and in Shen Yang he suffered from disease and homesickness. While Imjinwaeran(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happened before Sin Yu was born. When Sin Yu went to Japan in 1643, it has been more than 50 years after Imjinwaeran happened. So his anger toward Japan is not as deeply as his anger toward Qing Dynasty. Second, small Sinocentric attitude(小中華意識) was prevalent in Joseon Dynasty at that time. At that time, small Sinocentric attitude was segmented into ‘restoring China attitude’ and ‘inheriting China attitude’. We can judge that Sin Yu was tended to restore the Ming Dynasty by military force from different aspects. For example, he thought back to historical stories which are related to military force and missed famous generals in his Yeonhaengrok. Also Japan were not belonged to the same cultural circle with Joseon Dynasty and China from the aspect of cultural identity. So the ruin of the Ming Dynasty and small Sinocentric attitude did not have too much effect on Sin Yu's perception of Japan.

한국어

신유의 연행록 『연대록』과 통신사행록 『해사록』을 텍스트로 삼아, 그의 사행에 대한 태도 및 대중․대일 인식을 고찰하였다. 신유는 일본 통신사행에 대해 ‘한묵(翰墨)’으로 양국간의 평화를 유지해야 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자신의 선조 신숙주가 1443년에 서장관으로 일본에 갔기 때문에 사행이 집안의 전통이라고 생각하였다. 연행(燕行)에 있어서 명나라에 갔느냐, 청나라에 갔느냐에 따라 신유의 태도가 달라졌다. 박수문이 1635년 사신으로 명나라에 갔을 때 신유는 박수문의 조천(朝天)을 부러워하며, 조천을 통해 학식과 마음을 넓힐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1652년에 신유 자신이 청나라의 연경에 갔을 때 그는 “이왕(二王)을 섬기고 있다”고 자책하며, 명나라를 배신한 행동이라고 인식하였다. 신유는 일본에 대해 기본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사행이 진행되면서 일본의 경치와 문학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갖게 되었다. 성대한 일본 풍경을 시로 기록하였으며, 일본에도 문사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하야시 부자를 비롯한 일본 승려나 문인과 문학 교류를 하였다. 그들과 한시 수창을 하고, 그들을 통해 일본의 지리․문학․역사 등의 정보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하야시 가문 부자의 문학 수준을 높이 평가하였다. 통신사행 때의 신유는 사신 이외에 여행자와 문인의 모습도 보여주었다. 신유는 연행 도중에 전쟁 유적을 탐방하며 명나라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을 시로 표현하였다. 청나라의 수도인 연경을 묘사하는 시는 한 수도 남기지 않고, 오히려 회고시를 통해 반청의식을 표출하였다. 명나라 추종자의 모습이 뚜렷하다. 이같이 대일․대중 인식의 차이가 난 것은 두 가지 원인이 있다. 첫째, 신유는 병자호란의 참상과 고통을 직접 느꼈던 사람이다. 반면에 임진왜란은 신유가 출생 전에 일어났고, 임진왜란이 이미 51년이나 지나서 일본을 방문했으므로 청나라만큼 일본을 미워하지 않았다. 둘째, 조선에서 소중화사상이 태동되었기 때문이다. 소중화사상은 구체적으로 ‘중화회복의식’과 ‘중화계승의식’이 있는데 신유는 ‘중화회복의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청나라에 대한 적개심은 명나라의 멸망으로 더욱 깊어졌으나, 일본에 대한 적개심은 명나라 멸망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아서 청나라만큼 심하지 않았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사행 경위 및 사행록 개관
 3. 사행 태도의 차이
 4. 대중ㆍ대일 인식의 차이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경진 Kyoung Jin Hur. 연세대학교
  • 조혜 Hui, Cao. 연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