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홍재전서』 수록 正祖의 詩에 관한 小考 - ‘아버지’와 주체형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

원문정보

King Chŏngcho's Self and his Poems in his Lineages : Blood, Politics and Philosophy

『홍재전서』 수록 정조의 시에 관한 소고 - ‘아버지’와 주체형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

이상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eals with the poems which had been ultimately selected in the literary collection of King Chŏngcho, Hongjaejŏnsŏ. The poems of The King Chŏngcho, haven't been adequately noticed yet not only because he did not leave much of the poetry, and most of which was written in rather ceremonial circumstances than from expressive motivation, but also because he, who had a rather conservative viewpoint of literature, was on the other side of poets who have been popular among the modern literary historians. This paper explores, however, several trends of King Chŏngcho's poems along with his life story beyond the modern way of historicizing the poetry in the narrow terms of literature. It aims, eventually to reveal the context of his choices and actions, as a main player of Chosŏn society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In this study, King Chŏngcho himself reflected on the poetry pieces won't be identified with his existential self but will be regarded as a literary and rather artificial self that was purposedly created by his meta-self. This paper divides his lifetime into three stages: a prince period (1765-1776), an early period of his throne (1776-1792) and a late period of his throne (1792-1800). King Chŏngcho's poems of each period had changed on the basis of his relationships with the “Father” that was metaphorical object on which he psychologically relied when he needed to defend himself against his political enemies. 「Harmonized Rhymes on Zhu Hui's Poems 謹和朱夫子詩」 8 pieces which were written just before his death (1800) were ultimate “interpretation” on his place in the diverse kinds of lineages.

한국어

본고는 『홍재전서』 수록 시를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다. 정조는 ‘시사’(詩史)적 관점에서 특기할 만한 작품을 남기지 않아 그 동안 적극적인 논의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정조는 시 자체를 많이 남기지 않았고, 있는 시도 대부분 국왕으로서 의례적으로 쓴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또한 정조는 ‘문이재도론’의 입장에서 다분히 보수적인 시관을 가지고 있어, ‘문학사적’ 성취를 중요시하는 현대의 학계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은 면도 있다. 하지만 본고는 기존의 문학사적 관점에서 다소 벗어나, 감정표현의 도구로서의 시의 역할에 주목하고, 정조 인생 단계 마다 미묘하게 변화하는 시의 내용들을 관찰하고자 했다. 궁극적으로는 18세기 후반 조선 사회의 중심에 있던 정조의 여러 선택과 행위의 맥락을 살펴볼 수 있는 배경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홍재전서』 소재 정조의 시 작품들은, 인간 정조의 본 심리를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보다는, 정조라는 메타주체가 자기 검열과 취사(取捨)를 통해, ‘선택한’ 자기의 형상이라는 관점에서 접근될 것이다. 본고는 『홍재전서』 소재 시 작품을 대략 세손시절, 왕위에서의 전반기, 왕위에서의 후반기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한다. 본고에서 이와 같은 시기 구분은 정조의 시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기준으로 나누었으나, 시와 관련하지 않더라도 정조의 인생과 정치적 조건 및 위상 변화에 의해서도 시기가 위와 같이 구분되기도 한다. 세손시절은 대략 즉위 전까지를 뜻하며, 왕위에서의 전반기는 『시관』이 편집된 1792년까지, 후반기는 이후 서거하기 직전까지이다. 본고는 정조의 시 변화가, 정적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심리적으로 은밀히 의지하는 대상, 즉 ‘은유로서의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기인했다고 보며, 정조가 서거 직전 지은 「근화주부자시(謹和朱夫子詩)」 8수는 이 필생의 문제를 정조 나름대로 ‘해결’한 결과라고 본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세손시절의 시 (1765-1776) - 영조의 시선과 타자화된 자기
 3. 왕위 전반기의 시 (1776-1792) - 탕탕평평실(蕩蕩平平室)의 군왕
 4. 왕위 후반기의 시 (1792-1800) - 육신의 아버지, 정치적 아버지, 사상적 아버지
 5.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상욱 Lee Sang Wook. 연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