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일제 말 『매일신보』 소재 신년 현상 한시 연구 - 칙제(勅題)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Sino-Korean Poetry Contest in New Year in 『Maeil-Sinbo』 in the late Japanese Empire - focusing on ‘chikje(勅題)’ -

한길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ontext of Times when so-called ‘genocide policy’ is enforced left a heavy trace and the Japanese Empire induced Koreans’ participation proposing ‘chikje(勅題)’ as a subject for a poem, which is suggested before ‘Utakai Hajime(歌会始)’, an event in Royal Court in New Year, is started. In short, they combined Koreans’ tradition in creation of Sino-Korean Poetry and Japanese New Year’s event and aggravated Imperial Citizen Forming structuralizing Koreans in order to accept ‘a shrine of the Japanese emperor’, chikje(勅題), in the identical way with Japanese. Roughly more than 1,000 of people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and it went successfully. Most ‘winners’’ backgrounds were not identified and some identified ones were minor officials in the provinces or from Confucians. In other words, these people constituted creating class of Sino-Korean Poetry in the late Japanese Empire and they took charge of ‘pro-Japanese’ Sino-Korean Poetry at this time. As a link, the Japanese Empire utilized Sino-Korean Poetry, a Literary Works that is still enjoyed as an instrument to make famous figures or writers‘ ‘words’ but also unknown ‘specific figures’ who are not well-known but work on all social standings include in a system. Poetry written in this background embraced the war time ideology as ‘the emotion of the context in Chinese letter’ and watched the world from a point of view of Japanese by sticking to the traditional world view. In conclusion, these works directly show the skewed aspect of combination of the war time ideology and the context in Chinese letter in Modern times, which required ‘a public duty and devotion for the country’ andself-annihilation for the sake of one's country self-annihilation for the sake of one's country indoctrinated the mythology, ‘Manseilgye(萬世一系)’.

한국어

본고는 신춘문예와 맥락을 같이하며 유지된 “신년현상한시”에 주목하며 전시체제기 한시 창작의 특징적 면모를 분석해 보았다. 당시 이른바 ‘민족말살정책’이 강행된 시대적 상황은 ‘신년현상한시’에도 짙은 흔적을 남기고 있었는데, 일제는 신년 궁중행사인 ‘우타카이 하지메(歌会始)’ 시행에 앞서 제시되는 ‘칙제(勅題)’를 『매일신보』의 신년 시제로 제시하며 조선인의 동참을 유도했다. 즉 조선인의 한시 창작 전통과 일본의 신년 행사를 결합하여 조선인 역시 일본인과 동일한 방법으로 칙제라는 ‘천황의 성지(聖旨)’를 수용하도록 구조화하며 황민화를 조장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기획에는 대략 1000여 명이 넘는 인원들이 참여할 정도로 비교적 성황리에 진행되기도 했는데 지방의 하급관리나 유림 출신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는 이들 작품들은 지배층․저명인사․문단작가들에 한정되지 않은 일제의 전방위적인 ‘총동원’의 흔적과 동시에 그것에 대응하며 살아간 각 지역 보수 엘리트 인물들의 ‘식민지적 대응’을 반영한다 할 수 있다. 즉 일제는 ‘구체제적 인사’들을 체제 속으로 편입시키는 하나의 방편으로 이들이 여전히 향유하고 있는 문예물인 ‘한시’를 하나의 고리로 활용한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작성된 시들은 전시이데올로기를 ‘유교적 에토스’로 수용하고 있었고 전통적 ‘천하관’을 견지하며 ‘일본 신민’의 입장에서 세계를 주시하는 태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들 작품은 ‘봉공과 멸사’를 의무화하고 ‘만세일계(萬世一系)’라는 신화를 주입하려던 일제의 전시이데올로기와 근대기 한문맥의 왜곡된 결합 양상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변모된 시제(詩題)의 구도와 창작 집단의 층위
 3. 한시에 드러난 칙제의 수용 및 표출 양상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한길로 Han, GilRo. 중국인민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