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일부지역 인문계 고등학생의 치과위생사 이미지 및 영향요인 분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mage for Dental Hygienists and Influence Factor i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한옥성, 정경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age for dental hygienists and influence factor i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surveyed by 211 high school student in G area. the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analysis,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y using SPSS 21.0 program. In case of general high-school students, occupational and business images were higher significantly. The social images were higher significantly in case of having introduction or explanation for dental hygienists. In addition, the self-estee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oral conditio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occupational, business, personal, social images of dental hygienists and self-estee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ighest in occupational images.

한국어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생들이 치과위생사를 바라보는 이미지와 자아존중감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시행 되었다. G 지역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를 이용하 여 빈도분석과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인문계열 학생의 경우 직업적, 업무적 이미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치 과위생사에 대해 소개나 설명을 들은 경험이 있는 경우가 사회적 이미지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구 강상태에 따라 자아존중감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요인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치과위생사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직업 적 이미지(β=15.328)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1 연구대상 및 방법
 3. 결과
  3.1 고등학생이 지각한 치과위생사 이미지와 자아존중감
  3.2 고등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치과위생사이미지 및 자아존중감
  3.3 치과관련 요인과 치과위생사 이미지 및 자아존중감 분석
  3.4 연구대상자의 치과위생사 이미지와 자아존중감 상관관계
  3.5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총괄 및 고안
 REFERENCES

저자정보

  • 한옥성 Ok-Sung Han.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의공학협동과정
  • 정경이 Kyung-Yi Chung. 호남대학교 치위생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