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소셜로봇의 역할에 관한 고찰 - 1인 가구 생활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ole of Social Robot in Aspect of User Experiences - Focus on Single-person Households -

최민영, 김승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evaluates exploration of social robot's role which can emotionally communicate with human as an alternative to heal psychological isolation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t first, I conduct a study on literatured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robot then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prospects. Based on this, I organized the requirements of social robot in aspect of user experience through in-depth interview of twenties single-person household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who could be potential customers. As a result every subject require social robot specialized to them through accumulated interaction. On the other hand, degree of attachment with social robot is different from subjects. Hear by I realize every subject require social robot to different and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and personality. Therefore I could draw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that technical development in aspect of personalized user experience is necessary for social robot to settle in to human's life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1인 가구 내 개인이 직면할 수 있는 심리적 소외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 으로 인간과 정서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소셜로봇의 역할 탐색에 목적이 있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소셜로봇의 정 의와 특징을 파악 후 소셜로봇의 현황과 미래 전망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소셜로봇의 잠재적 수요자가 될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30세 이하의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하여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소 셜로봇에게 필요한 역할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자는 자신에게만 특화되어 상호작용할 수 있는 소셜로봇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나, 로봇과의 애착 형성 필요성에 대해서는 개인마다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개인별 생활 방 식 및 성향 등에 따라 소셜로봇에게 요구하는 점이 다르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향후 소셜로봇이 인간의 삶 속에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개별 맞춤형 소셜로봇의 기술 개발과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의 고려가 필요하다는 함의 를 도출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 방법과 범위
 2. 이론적 배경
  2.1 소셜로봇의 정의와 특징
  2.2 국내외 동향과 전망 분석
 3. 실험 방법과 분석 결과
  3.1 조사 목적
  3.2 연구 방법과 대상
  3.3 심층 인터뷰 진행
  3.4 심층 인터뷰 결과
  3.5 논의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최민영 Min-Young Chae.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전공
  • 김승인 Seung-In Kim.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