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텍스트 마이닝과 감성 분석을 통한 연애관의 변화 연구 : <공항가는 길>과 <이번 주 아내가 바람을 핍니다>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View of Love using Text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김경애, 구진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change of the view of love was analyzed by big data analysis in TV drama of married person's love. Two dramas were selected for analysis with opposite theme of love story. The sympathy of audience for the one month period from the end of the drama was analyzed by text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In particular, changes in the meaning of home meaning are identified. Home is not ‘a place where a husband and wife play a social role’, but ‘a place where they can share real sympathy and one can be happy’. If individuals are not happy, they need to break their homes. In this study, the current divorce rate and the question regarding the matter should be considered. But based on Google Trends, in Korean society, interest in marriage were still higher than romance. It means that people prefer to ‘a love to get marriage’ in Korean modern society, than ‘love for love affair’. It seems to be reflection of cognition change, marriage should be based on true lov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study of trend change through social media.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기혼자의 연애를 소재로 하는 최근 드라마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현대인의 연애 관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정반대의 서사적 지향을 지닌 드라마 두편을 선정하여 각각 드라마 종영 후부터 1 개월 기간에 대한 시청자들의 공감도를 텍스트 마이닝과 감성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현대 한국 사회에서 기혼자의 연애에 대한 생각이 변화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특히 가정의 의미 변화가 확인되는데, 가정은 ‘남편과 아내라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곳’이 아니라, ‘진정한 교감과 위안을 나눌 수 있고 개인이 행복해 야 하는 곳’으로 그 의미가 변화했다고 볼 수 있다. 개인이 행복하지 않다면, 가정을 깨뜨리는 일도 필요하다는 결론 이 가능한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현대의 이혼율과 이에 대한 문제도 고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구글 트 렌드 검색을 통하여 살핀 결과, 현대 한국 사회에서는 여전히 연애보다 결혼에 대한 관심도가 훨씬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 한국사회에서 아직까지는 ‘연애를 위한 연애’ 곧 ‘결혼을 목표로 하지 않은 연애’를 선호하고 있지 않음 을 뜻한다. 결혼에 비해 연애에 대해 관심이 적은 것이라기보다, 진정한 사랑을 전제로 결혼이 이루어져야한다는 인식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통한 트렌드 변화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연구 목표
  1.2 연구사 검토
 2. 연구 방법
  2.1 소셜 분석을 위한 텍스트 마이닝과 감성분석
  2.2 비정형 데이터의 전처리 과정
  2.3 텍스트 분석을 통한 연애관 추출
 3. 텍스트 마이닝과 감성분석 결과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경애 Kyung-Ae Kim. 목원대학교 국어교육과
  • 구진희 Jin-Hee Ku. 목원대학교 정보통신융합공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